목차
Ⅰ. 대상아동
Ⅱ. 장단기 목표
Ⅲ. 치료활동 및 치료 목표
Ⅳ. 향후 치료계획
참고문헌
Ⅱ. 장단기 목표
Ⅲ. 치료활동 및 치료 목표
Ⅳ. 향후 치료계획
참고문헌
본문내용
발적으로 의사소통을 시작하도록 가르치기 위해 개발한 것이다. 그림을 이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방법으로 학생들에게 기능적 의사소통 기술을 교수하고 잠재적으로 구어습득을 하도록 한다. 즉 PECS는 원하는 사물의 그림카드를 제시하여 자신의 요구를 상대에게 전달하는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이다.
박승희는(2002) 자폐아동의 시작적인 강점을 이용하여 PECS프로그램을 적용하였는데 그 결과 의사소통 능력과 언어표현이 발달했고,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했다.(박혜영 2012)
Ⅳ. 향후 치료계획
현재아동은 PECS의 2단계로 가기 위해 현재 1단계인 10개 이상의 강화물 카드를 집어 들고, 내밀고, 손에 놓을 수 있어야 하며, 의사소통 상대자와 촉진자의 역할을 바꿨을 때에도 교환하기가 가능하며, PECS 2단계인 의사소통 상대자와 아동의 거리를 늘렸을 때도 교환하기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향후 치료계획의 목표이다.
참고문헌
박혜영(2012)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가 지적장애 학생의 선택하기에 미치는 효과(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송준만,이재원(2012)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가 지적장애 학생의 선택하기에 미치는 효과(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박승희는(2002) 자폐아동의 시작적인 강점을 이용하여 PECS프로그램을 적용하였는데 그 결과 의사소통 능력과 언어표현이 발달했고,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했다.(박혜영 2012)
Ⅳ. 향후 치료계획
현재아동은 PECS의 2단계로 가기 위해 현재 1단계인 10개 이상의 강화물 카드를 집어 들고, 내밀고, 손에 놓을 수 있어야 하며, 의사소통 상대자와 촉진자의 역할을 바꿨을 때에도 교환하기가 가능하며, PECS 2단계인 의사소통 상대자와 아동의 거리를 늘렸을 때도 교환하기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향후 치료계획의 목표이다.
참고문헌
박혜영(2012)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가 지적장애 학생의 선택하기에 미치는 효과(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송준만,이재원(2012)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가 지적장애 학생의 선택하기에 미치는 효과(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