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0일 만에 6월 25일 업무에 복귀하였다.
MBC노조는 2012년 7월 17일 서울 여의도 MBC 본사에서 조합원총회를 갖고 18일 오전 9시를 기해 총파업 잠정중단을 결정했다. 파업을 시작한 지 170일 만의 일이었는데, 이는 MBC 사상 최장 파업 기간이었다. 정영하 노조위원장은 "큰 흐름에서 사장 퇴진 목적은 달성했다"며 "일상적 업무를 통해 사장 퇴진 압박을 마무리하고 MBC의 실추된 경쟁력과 채널 이미지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의미의 복귀"라고 하였다. 이어서 "8월 방문진 새 이사진이 들어오면 경영평가를 통해 김 사장 퇴진 해임안을 처리할 것으로 확신 한다"면서도 새 이사진이 현재처럼 버티기 국면을 보인다면 다시 싸울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김재철은 퇴진하지 않았고 노조도 파업을 재개하겠다고 하였으나 재개하지 않았다.
[노동자측 입장]
고 노무현 대통령의 서거 3주년 기념 행사에 대한 MBC뉴스의 단기 편성보도 민주통합당의 총선레이스 또한 단신 보도 반면에, 통합진보당의 세력 구도에 대해서는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보도하며 새누리당에 대한 좋은 뉴스 또한 비중있게 다루며 총선 과정에서는 박근혜 위원장을 띄우는 보도를 하며 언론의 자유에 대해 MBC비판
[사용자측 입장]
단순한 김재철의 아웃이 언론탄압이라는 근본적인 해결의 실마리가 되지는 못한다. 이 사람은 MBC의 사장자리에 오르기 전에 지방 MBC 사장을 역임했던 사람이고 MBC사상 최대 시청률 기록, 최대의 영업이익 갱신과 최대 매출 3관왕을 이룬 인물이다.
그저 나와 다른생각을 가짐으로써 파업을 하게 된다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긴 어려 울 것이다. 이 사람이 물러난다고 한들 제 2의 인물이 또 나타나지 말라는 법이 있을까?
[결론]
물론 독재정치를 보는듯한 일들로 인해 현 민주주의 사회에서 당연시 일어날 수 있는 파업 문제인데 내 생각은 좀 다르다. 사용자 측 입장에서 비판한 것처럼 현실적으로 생각 하였을때, 개개인의 생각이 각각 다른 것처럼 이와 같이 나와는 다른 생각을 가진다는 이유만으로 이렇게 파업을 하게 된다면 아무런 해결책을 찾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언론장악으로 국민들의 알권리를 침해한 부분 물론 같은 국민, 시청자의 입장으로서는 화가 나는게 분명하나, 사장이 OUT 된다고 해서 이 문제가 해결 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무언가 실마리를 찾아 도돌이표 같은 일들이 일어나지 않게끔 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생각한다.
MBC노조는 2012년 7월 17일 서울 여의도 MBC 본사에서 조합원총회를 갖고 18일 오전 9시를 기해 총파업 잠정중단을 결정했다. 파업을 시작한 지 170일 만의 일이었는데, 이는 MBC 사상 최장 파업 기간이었다. 정영하 노조위원장은 "큰 흐름에서 사장 퇴진 목적은 달성했다"며 "일상적 업무를 통해 사장 퇴진 압박을 마무리하고 MBC의 실추된 경쟁력과 채널 이미지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의미의 복귀"라고 하였다. 이어서 "8월 방문진 새 이사진이 들어오면 경영평가를 통해 김 사장 퇴진 해임안을 처리할 것으로 확신 한다"면서도 새 이사진이 현재처럼 버티기 국면을 보인다면 다시 싸울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김재철은 퇴진하지 않았고 노조도 파업을 재개하겠다고 하였으나 재개하지 않았다.
[노동자측 입장]
고 노무현 대통령의 서거 3주년 기념 행사에 대한 MBC뉴스의 단기 편성보도 민주통합당의 총선레이스 또한 단신 보도 반면에, 통합진보당의 세력 구도에 대해서는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보도하며 새누리당에 대한 좋은 뉴스 또한 비중있게 다루며 총선 과정에서는 박근혜 위원장을 띄우는 보도를 하며 언론의 자유에 대해 MBC비판
[사용자측 입장]
단순한 김재철의 아웃이 언론탄압이라는 근본적인 해결의 실마리가 되지는 못한다. 이 사람은 MBC의 사장자리에 오르기 전에 지방 MBC 사장을 역임했던 사람이고 MBC사상 최대 시청률 기록, 최대의 영업이익 갱신과 최대 매출 3관왕을 이룬 인물이다.
그저 나와 다른생각을 가짐으로써 파업을 하게 된다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긴 어려 울 것이다. 이 사람이 물러난다고 한들 제 2의 인물이 또 나타나지 말라는 법이 있을까?
[결론]
물론 독재정치를 보는듯한 일들로 인해 현 민주주의 사회에서 당연시 일어날 수 있는 파업 문제인데 내 생각은 좀 다르다. 사용자 측 입장에서 비판한 것처럼 현실적으로 생각 하였을때, 개개인의 생각이 각각 다른 것처럼 이와 같이 나와는 다른 생각을 가진다는 이유만으로 이렇게 파업을 하게 된다면 아무런 해결책을 찾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언론장악으로 국민들의 알권리를 침해한 부분 물론 같은 국민, 시청자의 입장으로서는 화가 나는게 분명하나, 사장이 OUT 된다고 해서 이 문제가 해결 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무언가 실마리를 찾아 도돌이표 같은 일들이 일어나지 않게끔 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Easibag사의 사례 분석을 통해 노조파업 원인과 대응 및 방지방법 등을 알아보고, 해외진출과...
[노사관계론] MBC 파업 노사 사례.pptx
노사관계론 파업 사례 분석 - 노사분규 사례 아시아나 항공 노조 파업
노사관계론 파업 사례 분석 - 2012년도 MBC 파업
노사관계론 파업 사례 분석 - 쌍용자동차 노사분규 - 쌍용자동차 노조의 파업 갈등 그리고 진실
노사관계론 파업 사례 분석 - 아시아나 항공 조종사 노조파업
노사관계론 파업 사례 분석 - MBC 파업에 대하여
노사관계론 파업 사례 분석 - 금속노조 한국쓰리엠지회
노사관계론 파업 사례 분석 - SC제일은행 노조 파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