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감독의 말
Ⅱ. 관객과의 만남
Ⅱ. 관객과의 만남
본문내용
불완전한 존재이기 때문에 불완전함까지 영화에 그대로 투영해 부족한 부분이 나오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감독의 트릭이 느껴지면 영화를 꺼버린다. 감독의 의도가 느껴지기 때문이다. 모든 것들이 모인 결정체가 영화다. 원래 하던 일이 그룹으로 일하는 것이어서 그룹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 안다. 영화는 모든 사람들의 에너지와 노력이 모인 것이다. 누구 한 사람덕분에 나오는 결과물이 아니다.
- 균형을 잡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일이다. 불완전함이 영화에 그대로 나오는 것을 실패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원 테이크 영화는 그 불완전을 처음부터 담고 있는 영화라고 생각한다. 불완전함을 배제하려면 처음부터 원 테이크로 영화를 만들 수 없다. 오히려 자연스러운 불완전함이 원 테이크에 담겨 있다고 생각한다.
7.Q. 마지막에 노인들이 대화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한 노인이 단순한 삶에 대한 얘기를 하는데 그것이 감독의 삶을 투영한 것인지, 영화를 간단하게 만드는 것을 표현한 것인지 묻고 싶다.
A. 단순한 삶을 좋아한다. 하지만 항상 화려한 장소를 찾게 된다. 때문에 애초에 우리가 무엇을 원했는지 잊을 수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기본적인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 균형을 잡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일이다. 불완전함이 영화에 그대로 나오는 것을 실패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원 테이크 영화는 그 불완전을 처음부터 담고 있는 영화라고 생각한다. 불완전함을 배제하려면 처음부터 원 테이크로 영화를 만들 수 없다. 오히려 자연스러운 불완전함이 원 테이크에 담겨 있다고 생각한다.
7.Q. 마지막에 노인들이 대화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한 노인이 단순한 삶에 대한 얘기를 하는데 그것이 감독의 삶을 투영한 것인지, 영화를 간단하게 만드는 것을 표현한 것인지 묻고 싶다.
A. 단순한 삶을 좋아한다. 하지만 항상 화려한 장소를 찾게 된다. 때문에 애초에 우리가 무엇을 원했는지 잊을 수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기본적인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