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치료의 정의와 역사 음악치료의 이론적 구성(행동주의이론 게슈탈트이론 인본주의이론과 음악치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악치료의 정의와 역사 음악치료의 이론적 구성(행동주의이론 게슈탈트이론 인본주의이론과 음악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음악치료

I. 음악치료의 역사와 정의

II. 음악치료의 이론적 구성
1. 스키너의 행동주의이론과 음악치료
2. 펄스의 게슈탈트이론과 음악치료
3. 로저스의 인본주의이론과 음악치료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신에게 바랑직한 감정과 행동을 표출하는 노력을 하며 자신감과 자존감을 회복해 갈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음악이라는 다양한 형태들이 잘 구조화되고 통합된 상황, 즉 음악의 음 음계의 연속성, 유사성, 비슷한 음색끼리의 근접성을 통한 소속감의 지각, 그리고 대칭성, 규칙성, 종료성을 통한 안정감에 접할 수 있고 집중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하게 지지적이고 통합된 집단이라는 상황에서 한 일익을 담당하면서 내담자는 자신의 무기력과 공허감을 극복하고 점진적이나마 자신의 삶의 가치의 회복을 위한 자극과 통합성을 향한 에너지의 확대를 시도하게 될 것이다.
3) 로저스의 인본주의 이론과 음악치료
Rogers를 위시한 인본주의는 인간의 진보를 위한 행동이 인간의 주관적 가치와 선택에 의해 과학적 노력 밖에서 이루어지고 판단되어야 하며, 과학 자체가 인간사회의 통제문제를 판단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음악치료에서는 한 인간으로서 실존을 있는 그대로 인정, 수용, 경험하기 위해서는 자신과 자신의 진실된 접촉과 만남이 또한 자신과 타인의 진지한 만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음악치료의 즉흥연주라는 상황에서 치료사는 그의 첫 번 과업이라고 볼 수 있는 내담자와의 접촉영역을 찾아낼 수 있다고 본다(Nordoff & Robbins, 1992). 접촉이라는 것은 치료사와 내담자 간에 형성되는 것으로 음악 안에서의 하나의 관계, 만남이 이루어지는 선행조건이다. 그것은 음악 안에서 내담자의 존재를 존중하며, 맞추어 가며, 반향하며, 반응을 나누며, 음악이라는 공유된 형태를 가지고 적절한 방향성을 가지고 나아가며, 음악적인 시간과공간의 질 안에서 '함께 존재하는 것이다. 한 음악적 현상 안에서 내담자가 만들어 내는 음악은 그 음, 음색, 리듬 등이 자연스럽게 '원하는 대로' 흘러가도록 치료사에 의해 존중되며 결국 내담자의 실존의 진정한 자아의 모습과 접촉하고 만날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만들어 준다.
마치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관계에서 볼 수 있는 현상들, 즉 타이밍과 감정적 형태의 맞춤, 칭찬에서 나오는 에너지, 감정의 합류점(Trevarthen, 1996) 상호동일성, 융통성, 창조적인 상호의존 등이 음악치료의 즉흥연주에서 음악의 즉흥적인 특색과 기본적 감정의 의사소통 등으로 나타난다. 이렇듯 치료사와 내담자 간에 친밀하고 수용적이고 안정된 관계 안에서 내담자 자신을 경험 자각하며 변화와 자아실현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 신뢰와 수용이 바탕이 되는 치유가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3.29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38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