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학교부적응청소년
ⅰ 학교부적응청소년에 대한 개념
ⅱ전문가가 생각하는 학교 부적응
ⅲ학교부적응청소년에 대한 나의 생각
Ⅱ 대안교육
ⅰ대안교육의 개념
ⅱ대안교육프로그램
Ⅲ구체적인 실천방안
ⅰ심리극
ⅱ 난타
ⅲ 요리
Ⅳ 결론
ⅰ 학교부적응청소년에 대한 개념
ⅱ전문가가 생각하는 학교 부적응
ⅲ학교부적응청소년에 대한 나의 생각
Ⅱ 대안교육
ⅰ대안교육의 개념
ⅱ대안교육프로그램
Ⅲ구체적인 실천방안
ⅰ심리극
ⅱ 난타
ⅲ 요리
Ⅳ 결론
본문내용
를 발산하며 즐거움과 흥미를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연습하여 공연을 완성시킨다면 학교생활이나 일상생활에서의 두려움이나 패배의식, 자신감 결여 등을 극복하고 사회·정서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게 된다.
ⅲ 요리
요리프로그램은 자신들이 먹는 점심을 함께 메뉴 정하기부터 재료 사기, 요리하기, 뒷정리하기 까지 모두 포함된다. 학교에서는 정해진 식단표에 따라 그냥 급식실에 가서 밥만 먹는다. 하지만 수동적인 것이 아닌 아이들끼리의 자치회의를 통해 한주동안의 식단을 정한다. 물론 영양을 고려한 교육자의 도움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함께 장을 보러가서 쓸 재료를 자신들이 고르고 산다. 요리를 할 때도 각자의 역할을 정해 밥을 하는 사람, 반찬을 만드는 사람을 정해 자신들이 맡은 일을 한다. 밥을 먹고 나면 모두 같이 설거지를 한다. 이런 과정은 아이들에게 사회화과정을 줄 뿐 아니라 수동적인 모습에서 벗어나 자기주도적인 모습을 심어줄 수 있다. 또한 자치회의를 통한 자기주장을 펼치는 법, 토론하는 법,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Ⅳ 결론
대안교육은 스스로 자신의 길을 찾아가는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일과 잘하는 일을 수동적으로 찾는 것이 아닌 자신의 힘으로 스스로 찾을 수 있다는 것에 큰 의의를 가진다. 또한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고 사회화 활동을 통해 다른 또래 아이들과의 소통이 힘들었던 아이들도 점차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최대한 개인의 특성을 반영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고 맞춤형 교육을 받을 수 있어서 효과는 배가 될 수밖에 없다.
사실 대안학교에 대해 좋지 않은 인식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그냥 노는 아이들이 학교에 다니기 싫어서 대안학교에 가는 줄만 알았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대안학교의 인식이 이와 같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인식도 개선해야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청소년들은 다른 사람의 시선에 민감하다. 낙인이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다. 왜냐하면 대안교육에 참가하고 싶은 아이들이 그러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좀 더 많은 대안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더 많은 학생들이 더 즐겁게 참여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정말 좋은 프로그램들은 많지만 모두 소개할 수 없어서 아쉽다. 내가 경험해본 청소년들에게 관심이 많이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학교 부적응 청소년들과 대안 교육에 대해서도 더욱더 공부해보고 싶어졌다.
ⅲ 요리
요리프로그램은 자신들이 먹는 점심을 함께 메뉴 정하기부터 재료 사기, 요리하기, 뒷정리하기 까지 모두 포함된다. 학교에서는 정해진 식단표에 따라 그냥 급식실에 가서 밥만 먹는다. 하지만 수동적인 것이 아닌 아이들끼리의 자치회의를 통해 한주동안의 식단을 정한다. 물론 영양을 고려한 교육자의 도움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함께 장을 보러가서 쓸 재료를 자신들이 고르고 산다. 요리를 할 때도 각자의 역할을 정해 밥을 하는 사람, 반찬을 만드는 사람을 정해 자신들이 맡은 일을 한다. 밥을 먹고 나면 모두 같이 설거지를 한다. 이런 과정은 아이들에게 사회화과정을 줄 뿐 아니라 수동적인 모습에서 벗어나 자기주도적인 모습을 심어줄 수 있다. 또한 자치회의를 통한 자기주장을 펼치는 법, 토론하는 법,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Ⅳ 결론
대안교육은 스스로 자신의 길을 찾아가는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일과 잘하는 일을 수동적으로 찾는 것이 아닌 자신의 힘으로 스스로 찾을 수 있다는 것에 큰 의의를 가진다. 또한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고 사회화 활동을 통해 다른 또래 아이들과의 소통이 힘들었던 아이들도 점차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최대한 개인의 특성을 반영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고 맞춤형 교육을 받을 수 있어서 효과는 배가 될 수밖에 없다.
사실 대안학교에 대해 좋지 않은 인식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그냥 노는 아이들이 학교에 다니기 싫어서 대안학교에 가는 줄만 알았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대안학교의 인식이 이와 같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인식도 개선해야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청소년들은 다른 사람의 시선에 민감하다. 낙인이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다. 왜냐하면 대안교육에 참가하고 싶은 아이들이 그러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좀 더 많은 대안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더 많은 학생들이 더 즐겁게 참여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정말 좋은 프로그램들은 많지만 모두 소개할 수 없어서 아쉽다. 내가 경험해본 청소년들에게 관심이 많이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학교 부적응 청소년들과 대안 교육에 대해서도 더욱더 공부해보고 싶어졌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