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나리오 - 영상매체 문학적 장치들 하위텍스트 작가주의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나리오 - 영상매체 문학적 장치들 하위텍스트 작가주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시나리오
1.영상매체
2.문학적 장치들
3.하위텍스트
4.작가주의
5.영상언어
6.영상편집
7.이야기전달장치
8.시나리오 창작

Ⅱ.실전 시나리오 창작

본문내용

, 복선, 중요대사, 장면 전환의 타이밍을 등을 적는다→ 중복된 씬은 없는지, 흐름은 어떤지를 살핀다. →구성안대로 각 씬의 지문과 대사를 쓴다.(써지지 않으면 구성안을 다시 짠다.)
3) 구성안 작성
(ㄱ) 메모식 : 전체적인 골격에 따라 세세하게 장면별로 순서와 각 장면에서 벌어지는 사 건을 일목요연하게 노트 한다.
(ㄴ) 카드식 : 명함 크기의 카드 하나에 한 장면씩 강조할 사항이나 착안점을 작성해 나간다. 편리하게 장면순서를 바꿀 수 있다.
(ㄷ) 두루마리식 : 길게 두루마리를 만들어 거기에 구성표를 작성해서 전체의 흐름과 구도를 잡아가는 방식이다. 전체 윤곽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시나라오 구성
시작
중간

ActⅠ(전환점)
ActⅡ(발견점)
ActⅢ
설정
대립
해결
1~30
30~90
90~120
1)설정
10분 이내에 누가(who), 언제(when), 어디서(where), 무엇을(what)이라는 네 가지 요소를 재빨리 밝혀 놓아야 한다.
※ 0~10분 : 주인공, 이야기 전제, 어떤 상황 등을 제시
※ 10~25분 : 기타 등장인물 소개
※ 25~27분 : 이야기의 전환점(예기치 않은 사건의 발생)
2) 대립
① 시나리오의 주된 부분으로서, 복선생략회상에피소드서스펜스 등을 구사하거나 위기를 설정하는 등 기교가 집중되는 것이다.
② 서스펜스는 불행의 암시, 막강한 적수, 양자택일, 예기치 못한 사건, 비밀의 흔적 등으로 야기된다.
③ 드라마틱 아이러니를 살려 관객에게 미리 정보를 알려주고 등장인물은 그 사실을 모르게 함으로써 재미를 유발시킨다.
예)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줄리엣은 죽은 것이 아니라 잠든 것임을 관객은 알지만 로미오는 모른다.
※ 85~90분 : 발견점(사건 해결의 열쇠 파악 - 무지에서 앎으로 이행)
3)해결
테마가 뚜렷이 결론을 맺는 곳, 주인공의 운명이 결정되는 곳, 일의 성공과 실패가 판명되는 곳, 암시성과 함축성, 풍부한 여운을 동반하여야 한다.
(5) 시나리오의 시작
1)주의점
① 희곡, 비극, 멜로드라마. 풍자극 등 작품경향을 관객에게 알려 마음의 준비를 하게 한다.
② 죽주역이나 주역에 가까운 매력 있는 인물을 등장시킨다.
③ ‘무엇이 일어날 것인가’ 의문과 호기심을 갖게 한다.
④드라마의 내용을 조금이라도 암시할 수 잇는 곳에서 시작해야한다.
2) 기본 유형
① 기습형 : 아무런 예고나 준비도 없이 갑자기 쇼킹한 장면이나 사건을 제시하여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으로서, 박력이 있지만 나중에 설명해야 할 때 맥빠질 수가 있다(액션물, 시대물)
② 설득형 : 배경과 인물을 소개하고서 순서적으로 차근차근 사건이 발생해 가는 방법으로서, 박력이 없으나 起를 짧게 承과 연결시키면 결점을 해소할 수 있다.(멜로물, 홈드라마)
(6)시나리오의 오류
1) 독선
작가의 해설을 듣고서야 비로소 내용을 알 수 있는 것으로서, 작가가 객관적이지 못했거나 표현기술이 부족해서 제대로 표현할 수 없었을 때 발생한다. 증권, 자동차, 병원, 골프 등 특이한 세계는 먼저 객관화할 수 있어야 하고, 특수하다고 생각되는 전문용어는 어떤 식으로든 미리 설명해 두어야 한다.
2) 갔다가 온다.
이야기 도중에 흥미 있는 방계 스토리를 쫓아갔다가 그 얘기가 끝나면 다시 본래의 이야기로 되돌아오는 것으로서, 통일미가 없어지고 산만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방계 스토리 중간중간에 중심인물의 감정을 나타내는 씬을 넣음으로써 주객이 전도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주제와 플롯의 통일성을 주려면 주인공이 오랫동안 화면에서 사라지는 일이 없도록 해야한다.
3) 뒷공론
사건이나 감정적인 씬은 앞에서 보여주고 나서 사실은 이렇게 된 것이라고 설명하는 방법이다. 첫부분에서는 박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삼가야 하지만 살인사건 같은 톱씬에서는 어쩔 수 없이 써야 할 때도 있다. 겉과 속의 문제가 서로 다르지 않을 때는 대사로 설명하지 말고 화면으로 보여주거나 감정의 움직임(감정적인 장면) 속에서 설명하면 뒷공론으로 보이지 않는다.
4) 헷갈림
테마, 인물, 대사, 씬 등에서 작가가 써서 호소하고 싶은 것이나 알려주어야 하는 것이 불명료하던가 잘 알 수 없는 것으로서, 스타일의 불확실, 인물비중의 불균형, 너무 긴대사, 한 씬에서 둘 이상의 테마 취급 등에 의해 발생한다.
5) 준비된 연극
이렇게 해서 이렇게 하면 이런 결과가 나온다고 미리 순서를 저해 놓음으로써 관객이 진행될 이야기를 미리 알아버리는 결과가 되는 것으로서, 등장인물이 패턴화되고 일어날 사건에 대한 호기심이나 긴장이 상실되어 흥미를 잃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6) 기다리고 있었다
등장인물이 아무 것도 하지 않고 계속 다른 등장인물을 기다리고만 있는 것으로서, 기다리고 있는 쪽의 심리가 드러나야 템포가 떨어지지 않고 테마 전달에 도움이 된다.
7) 밋밋한 구성
사건과 사건사이에 인물의 심리적인 연관이 없어 이야기의 굴곡이 없어지고 테마의 호소력도 약해진 것으로, 사건이나 심리가 점점 높이 올라가 클라이막스에서 감동을 주어야 한다.
8) 설명적인 것
어떤 상황이나 인물, 줄거리를 내레이션이 아닌 대사를 통해 설명해 주는 것으로서, 설명은 항상 감정에 따라야 한다.
9) 남용
회상, 내레이션, 사고와 재난, 기호, 카메라 지칭의 남용을 말한다.
10) 스타일의 불일치
장르의 성질, 등장인물에 대한 작가의 태도가 확실하지 못한 것으로서, 희극은 등장인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비극이나 멜러드라마는 등장인물과 같은 시점에서 그려가야 한다.
11) 잘못된 대립
갈등이나 대립 또는 상극은 구성의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외형적인 논란은 결코 대립이 되지 않는다. 진짜 대립은 감정이나 심리적인 대립이어야 한다.
(7)각색
원작가와 같은 감동의 상태로 원작의 정신을 살려야 하지만, 일단 해체되어 새로운 영상을 구사함으로써 재생산되어야 한다. 테마는 살리고 스토리는 바꾸는 경우와 삽화와 줄거리는 살리고 테마는 바꾸는 경우가 있다.
참고 자료... 문예학방법론 - 형설출판사(1999년), 저자 방영이
황선범의 시나리오 길리잡이
시나리오 작법 - 후나아시 가즈오, 번역 황왕수
한국 시나리오 선집 - 영화 진흥공사발간
  • 가격2,6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9.03.3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45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