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분장색은 인물의 중요한 특성을 나타낸다, 붉은색은 귀족 또는 용감성을 검은색은 고집세고 솔직한 성격을 자주색은 꾸준하고 조심성 많은 성격을 초록색은 고집세고 잔인한 성격을 분홍색은 나이든것을 의미한다. 유령이나 괴물 등은 금색이나 은색으로 표현한다.
←긍정을 의미하고,
용감한자와 충성스러운자를
대표한다.
←중성을 의미하고,
용맹스러운자와 지혜로운자를
대표한다.
←중성을 의미하고
초망영웅을 대표한다.
←대부분 부정을 의미하고,
흉악하고 사기를 일삼는자를
대표한다.
경극에 쓰이는 악기
경극의 음악은 주로 타악과 현악으로 연주된다. 북과 징, 박판, 호궁, 월금, 비파, 심현금, 쇄납, 횡적 등이 많이 쓰인다. 북을 치는 고수 (鼓手)가 악대의 지휘자이다.
현대경극
중공정권수립 후에는 새로 설립된 중국희곡연구원·중국경극단 등을 중심으로 \'백화제방(百花齊放)\', \'추진출신(推陳出新)\'의 기치에 따라 극 내용의 근대화를 추진하였다. 봉건적인 내용을 추방하고 국민의 창조에 의한 것을 발굴한다는 각도에서 고전상연목록의 정리개편이 적극 행해졌으나, 경극무대에서 현대인과 현대인의 생활을 표현하는 일은 극도로 세련된 격조 높은 형식으로 보아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1958년경 소위 \'대약진운동\' 때 현대화의 시도가 있었으나 반대론과 신중론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1964년 베이징에서 열린 현대경극 경연대회를 계기로 현대경극은 중국의 문화계를 석권하여 예술의 새로운 선구자가 되었다. 인민의 영웅을 주인공으로 하여 내용과 등장인물의 현대화에 따라 상징적인 스타일이 줄어드는 대신 연기는 사실적인 경향을 띠게 되었다. 가사에는 고전적인 격조가 남아 있으나 대화는 알기 쉬운 현대 표준구어(標準口語)이다.
얼굴에 그리는 선이나 여자역의 남우가 없어졌으며, 무대장치를 사용하였다. 대개 2∼3시간의 장편이며 극적 요소가 강하여 자연히 대화부분도 많아졌으나 노래나 무용적인 동작, 화려한 액션은 변함이 없다. 따라서 문화대혁명에 의한 경극의 변질은 전통을 상실하게 하였으나, 1980년대 이후 그 고유형태를 되찾으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중국에서 유명한 현대경극중 하나인 <智取威虎山>라는 경극
<智取威虎山>이라는 현대경극은 1946년 중국의 한마을을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威虎산이라는 한마을의 산에 도적들이 살고 있는데, 이곳을 공산당과 마을주민들이 힘을 합쳐 토벌한다는 내용으로. 공산당을 영웅시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긍정을 의미하고,
용감한자와 충성스러운자를
대표한다.
←중성을 의미하고,
용맹스러운자와 지혜로운자를
대표한다.
←중성을 의미하고
초망영웅을 대표한다.
←대부분 부정을 의미하고,
흉악하고 사기를 일삼는자를
대표한다.
경극에 쓰이는 악기
경극의 음악은 주로 타악과 현악으로 연주된다. 북과 징, 박판, 호궁, 월금, 비파, 심현금, 쇄납, 횡적 등이 많이 쓰인다. 북을 치는 고수 (鼓手)가 악대의 지휘자이다.
현대경극
중공정권수립 후에는 새로 설립된 중국희곡연구원·중국경극단 등을 중심으로 \'백화제방(百花齊放)\', \'추진출신(推陳出新)\'의 기치에 따라 극 내용의 근대화를 추진하였다. 봉건적인 내용을 추방하고 국민의 창조에 의한 것을 발굴한다는 각도에서 고전상연목록의 정리개편이 적극 행해졌으나, 경극무대에서 현대인과 현대인의 생활을 표현하는 일은 극도로 세련된 격조 높은 형식으로 보아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1958년경 소위 \'대약진운동\' 때 현대화의 시도가 있었으나 반대론과 신중론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1964년 베이징에서 열린 현대경극 경연대회를 계기로 현대경극은 중국의 문화계를 석권하여 예술의 새로운 선구자가 되었다. 인민의 영웅을 주인공으로 하여 내용과 등장인물의 현대화에 따라 상징적인 스타일이 줄어드는 대신 연기는 사실적인 경향을 띠게 되었다. 가사에는 고전적인 격조가 남아 있으나 대화는 알기 쉬운 현대 표준구어(標準口語)이다.
얼굴에 그리는 선이나 여자역의 남우가 없어졌으며, 무대장치를 사용하였다. 대개 2∼3시간의 장편이며 극적 요소가 강하여 자연히 대화부분도 많아졌으나 노래나 무용적인 동작, 화려한 액션은 변함이 없다. 따라서 문화대혁명에 의한 경극의 변질은 전통을 상실하게 하였으나, 1980년대 이후 그 고유형태를 되찾으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중국에서 유명한 현대경극중 하나인 <智取威虎山>라는 경극
<智取威虎山>이라는 현대경극은 1946년 중국의 한마을을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威虎산이라는 한마을의 산에 도적들이 살고 있는데, 이곳을 공산당과 마을주민들이 힘을 합쳐 토벌한다는 내용으로. 공산당을 영웅시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