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 아니라 인류와 나의 공동창작물인 것이다. 우리는 쉽게 각자가 각자의 세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슈트라서의 대화적 현상학에 있어서 각각의 세계들은 다른 종류의 한 세계를 지평하고 있다고 말한다. 각각의 자아가 가지는 세계는 두 차원의 것을 지니는데, 존재 전체로서의 세계와 개개인의 세계를 포함하는, 모든 존재를 포괄하는 보편적 지평으로서의 세계이다. 존재 전체로서의 세계는 대상화 되는 세계이나, 보편적 지평으로서의 세계는 대상화 될 수 없는 세계이다. 이들 세계는 하나의 공통의 띠로 묶여 있다. 그러므로 타자는 이러한 세계지평에로의 공속성에 의해 우리의 세계에, 또 나의 세계에 주어져 있다. 이러한 세계의 타자는 나의 대상화 넘어서 있는 것이며, 많은 세계의 타자의 대상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근원적 타자이다.
이러한 근원적 타자와의 만남은 부버식으로 말하자면, 이러한 타자와의 상호 관계는 만나는 너에서의 타고난 너의 실현이다.
슈트라서는 타자는 나에게 주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그렇게 주어진 타자를 태가 지향한다는 점 또한 지적한다. 왜냐하면 나는 수많은 세계중의 한 세계를 가진 유한한 존재로서 “나의 제한된 존재를 확장하려고 한다면 타자에게 의존하지 않으면 아니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인간 본질은 타자에로의 정향이다. 부버가 <나>는 <당신>이 존재하지 않으면 <나>가 존재 할 수 없다는 것에 맥락과 함께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슈트라서의 지향의 대상인 타자는 나로부터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나 이전에 이미 있는 것으로서 나와는 다른 것이기 때문에 나의 지향에 대하여 저항하기 마련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경험에 따르면 모든 구체적인 활동은 그 활동에 저항하는 어떤 것을 요구한다” 슈트라서는 나로부터 비롯되지 않는 나보다 오래된 타자의 나의 지향에 대한 저항으로, 우리의 지향에 따른 현전은 다음과 가은 세 원칙이 적용된다고 지적한다.
① 하나의 존재가 나에게 현전하지 않는다면 내가 그것에 현전할 수 없다.
② 내가 하나의 존재에 현전하는 방식은 양상적 규칙으로 보편적, 필연적으로 이러한
존재가 나에게 현전하는 방식에 의하여 조율된다.
③ 마찬가지로 상응하는 동태적 규칙으로, 내가 하나의 실제적 존재를 “다루는 방식”은
이러한 존재가 나를 “다루는”방식에 의하여 조율된다.
이것을 부버에 있어서 <나-당신>과의 관계의 상호성과 같은 맥락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슈트라서는 이 규칙을 부버의 용어를
이러한 근원적 타자와의 만남은 부버식으로 말하자면, 이러한 타자와의 상호 관계는 만나는 너에서의 타고난 너의 실현이다.
슈트라서는 타자는 나에게 주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그렇게 주어진 타자를 태가 지향한다는 점 또한 지적한다. 왜냐하면 나는 수많은 세계중의 한 세계를 가진 유한한 존재로서 “나의 제한된 존재를 확장하려고 한다면 타자에게 의존하지 않으면 아니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인간 본질은 타자에로의 정향이다. 부버가 <나>는 <당신>이 존재하지 않으면 <나>가 존재 할 수 없다는 것에 맥락과 함께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슈트라서의 지향의 대상인 타자는 나로부터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나 이전에 이미 있는 것으로서 나와는 다른 것이기 때문에 나의 지향에 대하여 저항하기 마련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경험에 따르면 모든 구체적인 활동은 그 활동에 저항하는 어떤 것을 요구한다” 슈트라서는 나로부터 비롯되지 않는 나보다 오래된 타자의 나의 지향에 대한 저항으로, 우리의 지향에 따른 현전은 다음과 가은 세 원칙이 적용된다고 지적한다.
① 하나의 존재가 나에게 현전하지 않는다면 내가 그것에 현전할 수 없다.
② 내가 하나의 존재에 현전하는 방식은 양상적 규칙으로 보편적, 필연적으로 이러한
존재가 나에게 현전하는 방식에 의하여 조율된다.
③ 마찬가지로 상응하는 동태적 규칙으로, 내가 하나의 실제적 존재를 “다루는 방식”은
이러한 존재가 나를 “다루는”방식에 의하여 조율된다.
이것을 부버에 있어서 <나-당신>과의 관계의 상호성과 같은 맥락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슈트라서는 이 규칙을 부버의 용어를
추천자료
의학적 인간학과 심리분석의 관계
[동양의 인간관][서양의 인간관][동양철학][인간관][자연관][철학][사상]동양의 인간관, 동양...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아리스토텔레스, 에라스무스, 루터,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코...
[교육사상][철학]엘렌케이의 교육철학(교육사상), 듀이의 교육철학(교육사상), 니일의 교육철...
20세기 후반기의 교육철학-실존주의,분석철학,포스트모더니즘
학습자(본인)가 클라이언트가 되어 상담자에게 면접을 하게 된다면 학습자의 실제적인 생활상...
[상담심리학 4공통]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을 비교·...
정신건강)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방어기제에 대해
[실존 치료] 실존 치료(실존심리치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