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흔한 일이었다. 문혁 지도부는 사람들이 문화적 전통들을 비판하고, 부모와 스승의 가르침을 의심하는 것을 장려하였다. 이것은 전통적인 유교사상에서는 상상도 못할 일이었다. 이것은 \"비림비공\" 운동때 더욱 강조되었다.
당파적 전쟁
문혁은 또한 공산당 내에서 여러 당파의 내부 권력투쟁을 야기하였다. 이중 많은 것들은 당지도자의 권력투쟁과는 상관없이 지역 당파주의와 사소한 경쟁심이 \"혁명\"에 관계없이 빚어낸 것이다. 정치적 혼란 때문에, 지방 정부는 존재하더라도 집행력과 안정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서로 다른 당파에 속한 이들은 백주의 거리에서 패싸움을 벌이기도 했으며, 농촌지역에서는 정치적 암살이 흔히 일어났다.
대중은 자발적으로 이러한 당파에 가담했고, 다른 당파에 대한 전투에 참여하였다. 이런 당파 투쟁을 야기한 사상적 차이는 사실 모호하거나 존재하지 않았고, 단지 지역적 권한을 장악하는 것이 대중이 참여한 당파투쟁의 유일한 동기였다.
문화 유적과 전통 유산의 파괴
문혁 기간 동안 건물, 공예, 서적등의 중국의 많은 역사적 유산들이 \"구시대적 산물\"로 간주되어 파괴되었다. 공예품들은 각 가정에서 탈취되거나 혹은 즉석에서 파괴되었다. 얼마나 많이 파괴되었는지 정확한 기록을 산출하기 어렵다. 서양의 목격자들은 중국의 수천년의 역사 유물이 단 10년간의 문혁기간동안 파괴되었다고 추산한다. 또한 이런 파괴는 인류 역사상 전대미문의 행위였다고 말하고 있다. 중국 역사가들은 문화 대혁명을 진시황의 분서갱유에 비유하기도 한다.
종교에 대한 박해도 이 기간 동안 심화되었다. 종교는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배치되는 것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문혁 기간 동안 중국의 전통 문화의 지위도 크게 손상되었다. 많은 전통 문화, 예를 들어 점술, 종이 공예, 풍수지리, 중국 전통의례, 음력, 중국고전학(한문), 그리고 음력 원단(1월 1일) 등의 위상이 중국에서 약화되었다. 이 중 어떤 것들은 홍콩이나 타이완과 같은 곳에서 살아남아 후에 대륙에서 복원되기도 하였다.
소수민족 문화의 핍박
문혁은 특히 소수민족의 전통 문화에 파괴적이었다. 티벳에서는 티벳인 홍위병도 참여하여 6,000개의 수도원이 파괴되었다. 내몽고에서는 수 십년전 해체된 \"내몽고 인민당\"의 분리주의자로 지목된 79만명의 인물이 박해받았다. 그중 22,900명은 학살로 사망하고, 120,00명은 불구가 되었다.
이슬람교가 지배적이었던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위구르인들이 소중히 여기는 코란이 불살라지고, 무슬림 이맘이 물감을 뒤집어 쓴 채 조리돌림 되었다.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서는 조선어로 수업하는 민족학교들이 파괴되었고 족보는(홍위병의 강요도 있었지만, 반혁명세력으로 몰릴 것을 두려워 하여 자발적으로) 불살라졌으며, 민족주의자로 지목된 인사들은 핍박 및 학대를 당했다. 윈난 성 에서는 다이 족의 왕의 궁전이 불살라졌다. 또한 1975년 샤덴 사건에서는 인민해방군이 회족 무슬림들을 학살하였는데 희생자 수는 1,600명에 이른다고 한다.
핍박과 가혹 행위
문혁 기간 동안 수백만명의 중국인들은 인권을 유린당했다. 자본주의의 \"첩자\", \"주구(走狗)\", \"수정주의자\"로 몰린 인사는 감금, 강간, 심문, 고문등을 당하는 것이 예사였다. 재산을 몰수당하고 사회적으로 매장당한 수십 만명 또는 그 이상의 인사들이 처형되거나 굶어 죽거나 또는 중노동으로 죽음에 이르렀다. 또한 수백 만명이 강제 이주를 당했다. 어떤 사람은 구타와 폭행을 견디다 못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덩샤오핑의 아들인 덩푸팡은 홍위병의 구타 때문에 4층 건물에서 뛰어내렸다. 그는 목숨을 건졌으나, 불구가 되어 휠체어에 몸을 의지하였다.
문화대혁명 여러 모습
당파적 전쟁
문혁은 또한 공산당 내에서 여러 당파의 내부 권력투쟁을 야기하였다. 이중 많은 것들은 당지도자의 권력투쟁과는 상관없이 지역 당파주의와 사소한 경쟁심이 \"혁명\"에 관계없이 빚어낸 것이다. 정치적 혼란 때문에, 지방 정부는 존재하더라도 집행력과 안정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서로 다른 당파에 속한 이들은 백주의 거리에서 패싸움을 벌이기도 했으며, 농촌지역에서는 정치적 암살이 흔히 일어났다.
대중은 자발적으로 이러한 당파에 가담했고, 다른 당파에 대한 전투에 참여하였다. 이런 당파 투쟁을 야기한 사상적 차이는 사실 모호하거나 존재하지 않았고, 단지 지역적 권한을 장악하는 것이 대중이 참여한 당파투쟁의 유일한 동기였다.
문화 유적과 전통 유산의 파괴
문혁 기간 동안 건물, 공예, 서적등의 중국의 많은 역사적 유산들이 \"구시대적 산물\"로 간주되어 파괴되었다. 공예품들은 각 가정에서 탈취되거나 혹은 즉석에서 파괴되었다. 얼마나 많이 파괴되었는지 정확한 기록을 산출하기 어렵다. 서양의 목격자들은 중국의 수천년의 역사 유물이 단 10년간의 문혁기간동안 파괴되었다고 추산한다. 또한 이런 파괴는 인류 역사상 전대미문의 행위였다고 말하고 있다. 중국 역사가들은 문화 대혁명을 진시황의 분서갱유에 비유하기도 한다.
종교에 대한 박해도 이 기간 동안 심화되었다. 종교는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배치되는 것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문혁 기간 동안 중국의 전통 문화의 지위도 크게 손상되었다. 많은 전통 문화, 예를 들어 점술, 종이 공예, 풍수지리, 중국 전통의례, 음력, 중국고전학(한문), 그리고 음력 원단(1월 1일) 등의 위상이 중국에서 약화되었다. 이 중 어떤 것들은 홍콩이나 타이완과 같은 곳에서 살아남아 후에 대륙에서 복원되기도 하였다.
소수민족 문화의 핍박
문혁은 특히 소수민족의 전통 문화에 파괴적이었다. 티벳에서는 티벳인 홍위병도 참여하여 6,000개의 수도원이 파괴되었다. 내몽고에서는 수 십년전 해체된 \"내몽고 인민당\"의 분리주의자로 지목된 79만명의 인물이 박해받았다. 그중 22,900명은 학살로 사망하고, 120,00명은 불구가 되었다.
이슬람교가 지배적이었던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위구르인들이 소중히 여기는 코란이 불살라지고, 무슬림 이맘이 물감을 뒤집어 쓴 채 조리돌림 되었다.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서는 조선어로 수업하는 민족학교들이 파괴되었고 족보는(홍위병의 강요도 있었지만, 반혁명세력으로 몰릴 것을 두려워 하여 자발적으로) 불살라졌으며, 민족주의자로 지목된 인사들은 핍박 및 학대를 당했다. 윈난 성 에서는 다이 족의 왕의 궁전이 불살라졌다. 또한 1975년 샤덴 사건에서는 인민해방군이 회족 무슬림들을 학살하였는데 희생자 수는 1,600명에 이른다고 한다.
핍박과 가혹 행위
문혁 기간 동안 수백만명의 중국인들은 인권을 유린당했다. 자본주의의 \"첩자\", \"주구(走狗)\", \"수정주의자\"로 몰린 인사는 감금, 강간, 심문, 고문등을 당하는 것이 예사였다. 재산을 몰수당하고 사회적으로 매장당한 수십 만명 또는 그 이상의 인사들이 처형되거나 굶어 죽거나 또는 중노동으로 죽음에 이르렀다. 또한 수백 만명이 강제 이주를 당했다. 어떤 사람은 구타와 폭행을 견디다 못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덩샤오핑의 아들인 덩푸팡은 홍위병의 구타 때문에 4층 건물에서 뛰어내렸다. 그는 목숨을 건졌으나, 불구가 되어 휠체어에 몸을 의지하였다.
문화대혁명 여러 모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