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이해 - 중국의 문화 대혁명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 이해 - 중국의 문화 대혁명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면서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이란?
정의
관련용어 설명
마오쩌둥(毛澤東)
대약진운동(大躍進運動)
홍위병(紅衛兵, Red Guards)
4인방
저우런라이(周恩來)
등샤오핑(鄧小平)

문화대혁명을 평가하는 3가지 관점
정치적 관점
이데올로기적 관점
사회적 관점

문화대혁명의 발발과 전개
문화대혁명의 배경
문화대혁명의 전개

문화대혁명의 영향
경제적인 영향
사회문화적인 영향
문화 분야
교육 분야
기타 - 소수민족 문화에 대한 치명적인 타격

문화대혁명의 평가
오늘날의 평가

본문내용

과학실험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1975년에는 미국과 소련에 이어 세 번째로 인공위성을 회수한 나라가 되었다. 이러한 혼란 와중에서의 꾸준한 과학기술 발전은 문화대혁명 이후 개혁개방 때 경제발전의 커다란 원동력이 되었다.
사회문화적인 영향
문화와 교육분야는 문화대혁명 기간 중 가장 재난을 겪은 분야이다. 학술계, 교육계, 신문계, 문예계, 출판계가 심각한 공격을 받았다. 또한, 10년 동안의 계속되어진 혼란은 중국 인민들을 폐쇄적이고 수동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현대중국인들이 가지는 부정적인 경향은 대부분이 문화대혁명의 영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이는 개인적으로 자기의사를 표현하지 않으려는 경향(특히 정치사상 부분에 관해)과 항상 애매모호한 태도를 취하는 경향 등으로 나타났다.
문화 분야
임표와 강청이 결탁하여 건국이래 문예계의 성과에 대한 전반적인 비판이 있었으며, 문화계의 각 협회들이 강제적으로 해산되거나 활동이 정지되었다. 또한 전국의 342종 신문과 790여종의 잡지가운데 중앙과 지방의 당신문과 소수의 간행물을 제외한 대부분이 정간되었다. 학술계의 많은 저명인사들이 총두목, 학술권위의 반동이란 멍에를 쓰고 비판받았으며 감옥에 투옥되었다. 대체로 문화대혁명기간 중 부상당하거나 장애자 또는 죽음에 이른 저명한 교수, 작가, 역사가, 예술가 등은 대략 수 백명에 이르고 전국 각지의 역사유적, 문화유산, 중국과 외국의 명저, 진귀한 보물들이 4구(舊)를 타파하자는 구호아래 파괴되었다.
교육 분야
교육방면에서의 문화대혁명은 대학교육의 질적 저하, 전문인력 양성 실패라는 부정적인 측면을 낳았다. 문화대혁명기에 폐쇄되었던 대학은 신입생을 다시 받기 시작하였으나, 대부분이 사상성을 기반으로 해서 추천된 인물들이었기 때문에 질의 하락을 가져올 수밖에 없었다. 또한 대학생을 비롯한 학생들은 농촌 등지로 강제적으로 이주하여야 했기 때문에 제대로 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없었다. 이러한 전문인력 양성 실패는 문화대혁명 이후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는 시점에 와서야 그 중요성을 절감하게 된다.
기타 - 소수민족 문화에 대한 치명적인 타격
문화대혁명은 소수민족에 있어 엄청난 불행을 몰고 왔다. 문화대혁명의 논리는 민족을 부르주아적 존재로 보고 있으므로, 종료를 포함하여 민족적 존재는 모두 ‘파구입신(破舊立神)’의 슬로건 아래 파괴의 대상이 되었다. 간섭의 범위는 종교는 물론이고 민족의상식사습관에 이르렀고, 진보적이라고 하여 한족(漢族)의 그것으로 강제당했다. 그에 따라, 언어, 의상, 전통이 파괴되었다.
문화대혁명의 평가
오늘날의 평가
중국은 1979년 10월 1일, 건국 30주년을 맞아 그 축하집회에서 예젠잉이 처음으로 문화대혁명의 잘못을 지적했다. 또한 81년 6월 중국공산당 제11기 6중전회에 의한 <건국 이래의 당의 약간의 역사적 문제에 관한 결의>에서 문화대혁명이 당의 결의에 의해 정식으로 부인되어 류사오치를 비롯하여 문화대혁명으로 타도된 지도자 모두를 복귀 또는 명예회복시키는 한편, 문혁파는 모두 실추하여 비마오쩌둥화가 진전되었다.
문화대혁명은 마오쩌둥의 <사회주의 사회에서의 계급계급투쟁계속혁명론>에 입각하여 마오쩌둥 말년의 개인적 이념정념야망의 달성을 위해 개인숭배 차원에서 활용되었으며 중국공산당의 조직원칙이나 국가기구의 법질서를 억지로 짓밟고 강행된 것이다. 또 한편으로는 현실에 불평불만을 품고 있던 대중, 특히 젊은이들이 있었기에 그들이 마오쩌둥의 호소에 호응하여 그 에너지를 폭발시킨 것이기도 했다. 출처: 20세기 중국사, 히메다 미쓰요시 등 지음, 김순호 옮김, 돌베게(1995)
결과적으로 이 젊은이들의 행동은 권력투쟁에 이용된 것이다. 공식발표 1981년 1월, 린퍄오4인조 재판의 기소장에 따른 자료
에 따르면 박해로 사망한 자 3만 4,800명, 중상박해당한 자 74만 2,511명이라는 희생자를 내면서 중국경제의 후퇴, 교육의 황폐, 문화의 파괴, 사회질서 문란이라는 부정적인 결과만을 남긴 채로 끝이 났다. 또한, 중국공산당만 하더라도 문화대혁명은 공산당 이면의 ‘당에 대한 불신감’을 뿌리깊게 남겼으며 마오쩌둥 신격화(神格化)라는 다른 나라 사람이 보기에는 이해하기 어려운 현상을 만들어 내었다.
오늘날 중국은 인류 역사를 통 털어서 그 전례를 찾기 어려운 정치경제사회적 변화를 겪고 있다. 정치적으로는 공산 혁명 세대가 퇴진하고 신중국(新中國)에서 교육받은 제4세대로의 권력이양이 마무리 되었고 2004년 9월 19일 중앙위원회 제43차 전체회의에서 장쩌민 주석이 전격사임하고 후진타오 공산당 총서기국가주석이 군사위 주석까지 위임하게 되면서 당, 정, 군 3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경제적으로는 현재 세계 경제의 견인차로서 15년 이상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10%가 넘는 고도경제성장을 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도 전통적인 가치관과 현대적인 가치관이 서로 부딪치는 엄청난 변화의 시기를 겪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여러 가지 정치경제문화사회정책을 수행하는데 항상 개혁파와 보수파 사이에서 불협화음이 발생하는 것은 문화대혁명의 후유증이라고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정책 방침을 결정하는데 있어 항상 한편에서는 정치권력투쟁이 따라다니며, 또 한편에서는 대중의 폭발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문제 상황이 그것이다. 문화대혁명이 남긴 최대 교훈은 아마도 정치적 안정과 단결만이 오늘날 중국 발전의 필수조건이라는 것일 테지만 반면에 문화대혁명의 잔영은 21세기 중국사회 전반에 걸쳐 여전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부정하기 어렵다.
들어가면서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이란?
정의
관련용어 설명 출처: http://www.naver.com 의 백과사전에서 발췌
마오쩌둥(毛澤東)
대약진운동(大躍進運動)
홍위병(紅衛兵, Red Guards)
4인방
저우런라이(周恩來)
등샤오핑(鄧小平)
문화대혁명을 평가하는 3가지 관점
정치적 관점
이데올로기적 관점
사회적 관점
문화대혁명의 발발과 전개
문화대혁명의 배경
문화대혁명의 전개
문화대혁명의 영향
경제적인 영향
사회문화적인 영향
문화 분야
교육 분야
기타 - 소수민족 문화에 대한 치명적인 타격
문화대혁명의 평가
오늘날의 평가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09.20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30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