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47
방사선측정을 통해 알게 된 것
습도는 방사선량의 큰 영향이 끼치지 않았으므로 우리의 가설이 틀렸다.
실험결과2
실험2
층수에 따른 방사선량의 변화
@@ 학교 과학 동아리 C. O. S
측정값 (μSv/h)*
측정
년 월 일
20
20
날씨
맑음
맑음
측 정 장 소
장소 명
본관 1층 화장실
본관 2층 화장실
바닥
재료
도자기
도자기
특징
햇빛이 잘 들어왔으며 습기가 많음
햇빛이 잘 들어옴
측 정 횟 수
1
0.133
0.155
2
0.136
0.146
3
0.135
0.143
4
0.139
0.147
5
0.145
0.142
합 계
0.688
0.731
평 균
0.138
0.147
방사선측정을 통해 알게 된 것
층수가 높아질수록 방사선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실험에 오차가 생겼거나 우리의 가설이 틀렸다.
실험결과3
실험3
장소에 특징에 따른 방사선량의 변화
@@ 학교 과학 동아리 C. O. S
측정값 (μSv/h)*
측정
년 월 일
20
20
날씨
맑음
맑음
측 정 장 소
장소 명
본관 2층 화장실
후관 2층 화장실
바닥
재료
도자기
도자기
특징
햇빛이 잘 들어왔으며 습기가 많음
햇빛이 잘 들어오지 않으며 다른 곳보다 서늘한 편이다.
측 정 횟 수
1
0.155
0.155
2
0.146
0.146
3
0.143
0.143
4
0.147
0.147
5
0.142
0.142
합 계
0.731
0.805
평 균
0.147
0.161
방사선측정을 통해 알게 된 것
햇빛이 적게 들고 서늘하며 습도가 적은 곳이 방사선량이 더 많고, 차이가 크다는 점에서 우리의 가설이 옳다.
10.실험결론
습도에 따라 방사능량은 달라지지 않는다. 건물의 층수 또한 실험결과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장소에 특성에 따라 서늘한 곳에서 방사능량이 더 많아진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1.느낀 점
작년에도 했던 방사능과 나비.작년보다는 안게 더 많은 거 같다. 이번에는 좀 더 재미있던 거 같다.
원래는 방사능에 별로 관심이 없었다. 우리가 생활하는 주변에 방사능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기 전까지는 말이다. 이 말을 들은 후 나는 점점 궁금해졌다. 때마침 방사능에 대하여 연구할 수 있는 기회가 찾아왔고 좀 늦었지만 실험을 했다. 그리고 방사능이 이렇게 나온 결과를 보고 정말 신기했다. 설마하고 생각했는데 정말 존재했을 줄이야. 그리고 방사능에 대한 적대감도 사라졌다. 앞으로 방사능에 대해 더 조사해보고 싶지만 내 머리가 어디까지 따라와 줄지가 미궁이다
방사능에게 있었던 거부감 이 사라지고 우리 주변의 방사능에 대해 알 수 있었던 실험 이였던 것 같다. 또 이번실험에서는 그리 실험을 멋지게 완성할 수 없었던 것 같다. 다음에 또 이런 기회가 온다면 놓치지 않고 좀 더 성숙된 머리로 실험을 완벽하게 해보고 싶다. 이번실험은 아쉬움도 많았지만 알아가고 깨달은 것 또한 많았다.
방사능에 대해서 알 수 있었고, 방사능을 재는 도구가 무엇인지 알아볼 수 있었다. 막상 방사능 하니 일본이 생각나서 위험한 자연재해인 것 같았지만 방사능의 량도 알 수 있어서 유익했다.
방사선측정을 통해 알게 된 것
습도는 방사선량의 큰 영향이 끼치지 않았으므로 우리의 가설이 틀렸다.
실험결과2
실험2
층수에 따른 방사선량의 변화
@@ 학교 과학 동아리 C. O. S
측정값 (μSv/h)*
측정
년 월 일
20
20
날씨
맑음
맑음
측 정 장 소
장소 명
본관 1층 화장실
본관 2층 화장실
바닥
재료
도자기
도자기
특징
햇빛이 잘 들어왔으며 습기가 많음
햇빛이 잘 들어옴
측 정 횟 수
1
0.133
0.155
2
0.136
0.146
3
0.135
0.143
4
0.139
0.147
5
0.145
0.142
합 계
0.688
0.731
평 균
0.138
0.147
방사선측정을 통해 알게 된 것
층수가 높아질수록 방사선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실험에 오차가 생겼거나 우리의 가설이 틀렸다.
실험결과3
실험3
장소에 특징에 따른 방사선량의 변화
@@ 학교 과학 동아리 C. O. S
측정값 (μSv/h)*
측정
년 월 일
20
20
날씨
맑음
맑음
측 정 장 소
장소 명
본관 2층 화장실
후관 2층 화장실
바닥
재료
도자기
도자기
특징
햇빛이 잘 들어왔으며 습기가 많음
햇빛이 잘 들어오지 않으며 다른 곳보다 서늘한 편이다.
측 정 횟 수
1
0.155
0.155
2
0.146
0.146
3
0.143
0.143
4
0.147
0.147
5
0.142
0.142
합 계
0.731
0.805
평 균
0.147
0.161
방사선측정을 통해 알게 된 것
햇빛이 적게 들고 서늘하며 습도가 적은 곳이 방사선량이 더 많고, 차이가 크다는 점에서 우리의 가설이 옳다.
10.실험결론
습도에 따라 방사능량은 달라지지 않는다. 건물의 층수 또한 실험결과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장소에 특성에 따라 서늘한 곳에서 방사능량이 더 많아진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1.느낀 점
작년에도 했던 방사능과 나비.작년보다는 안게 더 많은 거 같다. 이번에는 좀 더 재미있던 거 같다.
원래는 방사능에 별로 관심이 없었다. 우리가 생활하는 주변에 방사능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기 전까지는 말이다. 이 말을 들은 후 나는 점점 궁금해졌다. 때마침 방사능에 대하여 연구할 수 있는 기회가 찾아왔고 좀 늦었지만 실험을 했다. 그리고 방사능이 이렇게 나온 결과를 보고 정말 신기했다. 설마하고 생각했는데 정말 존재했을 줄이야. 그리고 방사능에 대한 적대감도 사라졌다. 앞으로 방사능에 대해 더 조사해보고 싶지만 내 머리가 어디까지 따라와 줄지가 미궁이다
방사능에게 있었던 거부감 이 사라지고 우리 주변의 방사능에 대해 알 수 있었던 실험 이였던 것 같다. 또 이번실험에서는 그리 실험을 멋지게 완성할 수 없었던 것 같다. 다음에 또 이런 기회가 온다면 놓치지 않고 좀 더 성숙된 머리로 실험을 완벽하게 해보고 싶다. 이번실험은 아쉬움도 많았지만 알아가고 깨달은 것 또한 많았다.
방사능에 대해서 알 수 있었고, 방사능을 재는 도구가 무엇인지 알아볼 수 있었다. 막상 방사능 하니 일본이 생각나서 위험한 자연재해인 것 같았지만 방사능의 량도 알 수 있어서 유익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