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위기미국의 대북정책북한의 NPT 탈퇴 선언대미관계 개선북한 봉쇄 삼각동맹북한 경제적 제재대북연합세력미국의 대북정책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핵위기미국의 대북정책북한의 NPT 탈퇴 선언대미관계 개선북한 봉쇄 삼각동맹북한 경제적 제재대북연합세력미국의 대북정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1994년 북핵 위기의 발발 원인
-북한은 왜 NPT 탈퇴를 선언했는가?

Ⅱ 미국의 대북정책 Alternatives

Ⅲ Alternatives의 적용 과정 (미국의 결정과정)

Ⅵ 미국의 최종 결정 : 1994년 북핵 위기의 결론

Ⅴ 토 론

본문내용

1970년대 들어와, 북한은 기존의 실험용 원자로를 더 확대하고자 소련과 협상에 나섰지만 뜻대로 되지 않아 원자로를 자체 건설하기로 결정

당시 영국에서 비밀해제 되어 공개된 흑연감속 원자로의 설계도를 따라 우라늄 원광을 만들고 이용해 핵탄두를 만드는데 열을 올림

미국은 이러한 시설을 1980년 포착, 뒤늦게 북한으로 하여금 핵확산금지조약(NPT)에 가입하도록 소련에 압력을 가했고, 1985년 소련이 4기의 핵발전소를 건설해주겠다는 약속에 따라 북한이 NPT에 가입


1992년, 북한은 IAEA 안전조치 협정에 서명
이에 따라 IAEA는 북한의 사찰을 6회 진행했고 이 사찰과정에서 IAEA는 북한의 핵시설을 사찰한 결과 플루토늄 추출량이 북한의 주장과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
->북한은 플루토늄을 90g을 추출하였다고 하였으나, IAEA가 실제로 추정해 본 결과 북한은 플루토늄을  90g이 아닌 수kg 추출한 것으로 보였던 것.  
IAEA는 이에 따라 특별사찰을 하려 하였지만, 북한은 IAEA의 결정에 반박하며 NPT를 탈퇴
  • 가격3,5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9.04.03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10951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