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NPT탈퇴선언사례 중심으로, 서울(서강대 대학원), 1996, 8월.
외교안보연구원(학술자료), 주요 국제문제 분석; 북核문제; 남북관계와 한미관계 동북아 역학구조, 2005년 1월.
통일연구원(학술자료), 북한경제와 남북경협; 현황과 전망, 2004.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5.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선언 합의
▲1992.1.30 = 북-IAEA 전면적 안전조치협정에 서명
▲1992.3~93.1 = 남북한, 핵통제공동위원회 진행
▲1992.5.23~6.5 = IAEA, 북한에 대한 임시사찰 실시
▲1993.2.10 = IAEA, 미신고시설 2곳 특별사찰 수락 촉구결의안 채택
▲1993.3.12 = 북한, NPT탈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선언으로 야기된 국제사회의 제재 움직임속에서 김정일은 <국방위원장>포스트를 차지함으로써 북한군부를 장악하는 치밀성을 보였다. 북한 정권은 NPT탈퇴를 김정일의 군부장악에 이용했고, 그 과정에서 이번 사태가 김정일이 주도하고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 NPT 탈퇴의 법적하자
북한이 지난 1993년 3월 12일 발표한 NPT 탈퇴 성명과 2003년 1월10일 또 다시 NPT탈퇴 선언은 ‘나라(북한)의 최고이익을 위협하는 비상상황이 조성됨에 따라 NPT 제 10조1항에 의거 이 조약에서 탈퇴한다.’고 되어 있으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에 대한제재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2. 탈퇴에 관한 법적 책임 여부
NPT 상의 요건을 충족하면 그 자체 법적인 책임을 묻기는 어렵다. 그러나 국제의무 이행을 고의적으로 면탈하기 위해 NPT 탈퇴선언을 했다고 판단한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4.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