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Ⅱ. 본 론
1. 간호 사정
2. 간호 문제
3. 간호 진단
4. 간호 과정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Ⅱ. 본 론
1. 간호 사정
2. 간호 문제
3. 간호 진단
4. 간호 과정
본문내용
상승으로 나타난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2. 기침과 가래로 나타나는 기도 내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주관적자료
객관적 자료
간호 진단
간호 목표
간호 계획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수행에 대한 평가
목표달성여부
“콧물이 뒤로 넘어가는 것 같아요”
“숨 쉴 때 그르렁
거리는 소리가 들려요”
- sputum
색깔:Yellow
- 청진시 가래 끓는 소리가 남
기침과
가래로 나타나는 기도 내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단기 목표
3일 이내에 가래가 묽어지고 콧물이 잘 흐른다.
장기 목표
퇴원 전까지 콧물, 가래가 감소된다.
1. 처방된
진해거담제를 투여한다.
1. 처방된
진해거담제
(뮤테란)를 투여하여
관찰한다.
1. 진해 거담제(뮤테란)를 투여하면 점액이 높은 가래를 묽게 해준다.
1. 숨 쉴 때 가래 끓는 소리가 줄어들었다.
목표 성취됨
진해 거담제를 투여하고
Nebulizer를 사용하여 가래 배출을 돕고
코 세척을 통해 콧물, 코 막힘 감소됨
기침은 경미함
2. 흡입치료를 한다.
2. 살부톨 흡입액
(20ml)으로 하기도 증기 흡입치료를 하도록 보호자에게 사용법을 알려준다.
2. 살부톨 흡입액은 기관지를 확장시켜주며 반드시 의사의 지시 하에 흡입기나 Nebulizer를 사용하여 투여해야 하며 주사해서는 안 된다.
2. 가래가 쉽게 배출된다.
3. 보호자에게 환아의 등을 타진하도록 교육한다.
3. 손 전체를 사용하면 안 되므로 타진은 네 손가락의 컵 모양, 3개의 손가락 중 중지가 천막을 친 것 같은 형태 용한다.
3. 손으로 컵 모양을 만들어 율동적으로 가볍게 두드려 폐의 각 분절에 있는 객담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 보호자가 환아의 등 타진을 잘해준다.
4.생리식염수로 코 세척을 해준다.
4. 환아를 눕혀 오른쪽 코 세척을 할 때에는 왼쪽 얼굴을 밑으로 가게 한다.
4. 생리 식염수로 코를 세척 해 주면 콧물 분비와 코 막힘이 감소된다.
4. 콧물, 코 막힘이 감소되었다.
5. 적절한 습도를 유지 한다
5. 침상 주변에 젖은 수건을 널어 둔다.
5. 침상 주변에 젖은 수건을 널어 두어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면 목이 덜 건조해진다.
5. 가래 섞인 기침 간헐적이다.
3. 병원체에 대한 환경적 노출 증가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주관적자료
객관적 자료
간호 진단
간호 목표
간호 계획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수행에 대한 평가
목표 달성 여부
“잠시 한 눈 팔면 복도를 뛰어다니면서 놀아요.”
간호사, 간호실습생, 다른 환아와 노출 빈도 많음
WBC 수치
3월 4일
:▲16.78
3월10일
:▼7.46
병원체에
대한 환경적 노출 증가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단기 목표
소아과 병동에 있는 5일동안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장기 목표
퇴원 전까지 병원체에 감염이 되지 않는다.
1.손을
씻도록 한다.
1. 병실 밖에서 다른
아이들과 놀다오면 손을 씻도록 한다.
1. 손 씻기는 감염예방에
아주 기본적인 것이다. 손 전염을 예방한다.
1. 병실 밖에서 놀다가 온 후 손을 잘 씻는다.
목표 성취됨
손 씻기를 철저히 하고 마스크를 써서 감염을 예방하였고 퇴원 전에 백혈구 수치 검사를 통해 입원 시 질병과 관련하여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였으며 퇴원 시 병원체에 대한 환경적 노출로 인한 감염증상은 발생하지 않음
2. 마스크를 쓰도록 한다.
2. 병실 밖으로 나갈 때 마다 마스크를 씌워주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2. 마스크를 쓰는 것만으로도 병동에 있는 병원체에 노출되는 위험이 감소한다.
2. 병실 밖으로 나갈 때 마스크를 잘 쓰고 나온다.
3.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3. 루틴 V/S 측정 시 정확하게 측정한다.
3. 활력징후는 기본적인 환아의 정보를 제공하므로 필요하다. 환아의 경우 활력징후를 주기적으로 비정상적인 변화는 보고해야한다.
감염발생 시 혈압, 호흡수, 맥박, 체온이 상승된다.
3. 활력징후
맥박 124회/분
호흡 26회/분
체온 37.0°C 로 정상범위이다.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간호 진단
간호 목표
간호 계획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수행에 대한 평가
목표 달성 여부
“침대 위에서 뛰어 놀아요”
“휴게실 바닥에 물기가 있을 때가 있어요”
“아동 폴대를 밀면서 뛰어다녀요”
- 낙상 위험 도구사정: 10점
(낙상 고위험군 환아임)
- 보호자 낙상 위험에 대한 인식부족
과잉 활동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단기 목표
소아과 병동에 있는 5일 동안 낙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장기 목표
퇴원 전까지 낙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1. 침대위에 일어서서 놀지 않도록 한다.
1-1. 침대위에 일어서서 놀지 않고 앉아서 놀 수 있도록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다른 놀이를 한다.
1-2. 침대 난간을 양쪽 다 올리도록 교육한다.
1-3. 침대 바퀴 4개다 고정시킨다.
1-1. 침대위에 앉아서 노는 놀이를 하면 일어서서 놀 때 보다 낙상 위험이 감소한다.
1-2. 침대 난간을 양쪽 다 올리고 침대바퀴를 잘 고정시키는 것만으로도 낙상이 예방된다.
1-1. 침대에서 한 번씩 뛰기는 하지만 앉아서 노는 시간이 더 많다.
1-2. 양쪽 침대난간이 올려 져 있다.
1-3. 침대바퀴 4개다 고정되어 있다.
목표 성취됨
퇴원 전 까지 낙상 발생하지 않음
2. 발에 맞고 미끄러지지 않는 신발을 착용하도록 한다.
2. 환아의 발보다 큰 신발은 신고 있었으므로 부모에게 발에 맞는 신발을 신기도록 교육한다.
2. 발에 맞지 않는 신발을 신고 다니면 걸려서 넘어질 위험이 크기 때문에 발에 맞는 신발을 신어야한다.
2. 발에 맞는 신발 착용 후 걷거나 뛸 때 안정적이다.
3. 바닥에 물기가 있는지 확인한다.
3. 바닥에 물기가 있으면 즉시 닦는다.
3. 바닥이 젖어 있으면 말라있을 때 보다 미끄러질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3. 바닥이 젖어 있는 곳이 없어 미끄러질 위험이 줄어들었다.
4. 보호자에게 낙상 위험성에 대해 교육한다.
4. 보호자에게 낙상위험에 대해 재교육한다.
4. 낙상 고위험군 환아이기 때문에 보호자가 낙상위험에 대해 잘 인지하고 알고 있어야한다.
4. 보호자 낙상 위험에 대한 교육내용을 잘 인지하고 있다.
4. 과잉 활동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2. 기침과 가래로 나타나는 기도 내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주관적자료
객관적 자료
간호 진단
간호 목표
간호 계획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수행에 대한 평가
목표달성여부
“콧물이 뒤로 넘어가는 것 같아요”
“숨 쉴 때 그르렁
거리는 소리가 들려요”
- sputum
색깔:Yellow
- 청진시 가래 끓는 소리가 남
기침과
가래로 나타나는 기도 내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단기 목표
3일 이내에 가래가 묽어지고 콧물이 잘 흐른다.
장기 목표
퇴원 전까지 콧물, 가래가 감소된다.
1. 처방된
진해거담제를 투여한다.
1. 처방된
진해거담제
(뮤테란)를 투여하여
관찰한다.
1. 진해 거담제(뮤테란)를 투여하면 점액이 높은 가래를 묽게 해준다.
1. 숨 쉴 때 가래 끓는 소리가 줄어들었다.
목표 성취됨
진해 거담제를 투여하고
Nebulizer를 사용하여 가래 배출을 돕고
코 세척을 통해 콧물, 코 막힘 감소됨
기침은 경미함
2. 흡입치료를 한다.
2. 살부톨 흡입액
(20ml)으로 하기도 증기 흡입치료를 하도록 보호자에게 사용법을 알려준다.
2. 살부톨 흡입액은 기관지를 확장시켜주며 반드시 의사의 지시 하에 흡입기나 Nebulizer를 사용하여 투여해야 하며 주사해서는 안 된다.
2. 가래가 쉽게 배출된다.
3. 보호자에게 환아의 등을 타진하도록 교육한다.
3. 손 전체를 사용하면 안 되므로 타진은 네 손가락의 컵 모양, 3개의 손가락 중 중지가 천막을 친 것 같은 형태 용한다.
3. 손으로 컵 모양을 만들어 율동적으로 가볍게 두드려 폐의 각 분절에 있는 객담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 보호자가 환아의 등 타진을 잘해준다.
4.생리식염수로 코 세척을 해준다.
4. 환아를 눕혀 오른쪽 코 세척을 할 때에는 왼쪽 얼굴을 밑으로 가게 한다.
4. 생리 식염수로 코를 세척 해 주면 콧물 분비와 코 막힘이 감소된다.
4. 콧물, 코 막힘이 감소되었다.
5. 적절한 습도를 유지 한다
5. 침상 주변에 젖은 수건을 널어 둔다.
5. 침상 주변에 젖은 수건을 널어 두어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면 목이 덜 건조해진다.
5. 가래 섞인 기침 간헐적이다.
3. 병원체에 대한 환경적 노출 증가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주관적자료
객관적 자료
간호 진단
간호 목표
간호 계획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수행에 대한 평가
목표 달성 여부
“잠시 한 눈 팔면 복도를 뛰어다니면서 놀아요.”
간호사, 간호실습생, 다른 환아와 노출 빈도 많음
WBC 수치
3월 4일
:▲16.78
3월10일
:▼7.46
병원체에
대한 환경적 노출 증가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단기 목표
소아과 병동에 있는 5일동안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장기 목표
퇴원 전까지 병원체에 감염이 되지 않는다.
1.손을
씻도록 한다.
1. 병실 밖에서 다른
아이들과 놀다오면 손을 씻도록 한다.
1. 손 씻기는 감염예방에
아주 기본적인 것이다. 손 전염을 예방한다.
1. 병실 밖에서 놀다가 온 후 손을 잘 씻는다.
목표 성취됨
손 씻기를 철저히 하고 마스크를 써서 감염을 예방하였고 퇴원 전에 백혈구 수치 검사를 통해 입원 시 질병과 관련하여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였으며 퇴원 시 병원체에 대한 환경적 노출로 인한 감염증상은 발생하지 않음
2. 마스크를 쓰도록 한다.
2. 병실 밖으로 나갈 때 마다 마스크를 씌워주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2. 마스크를 쓰는 것만으로도 병동에 있는 병원체에 노출되는 위험이 감소한다.
2. 병실 밖으로 나갈 때 마스크를 잘 쓰고 나온다.
3.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3. 루틴 V/S 측정 시 정확하게 측정한다.
3. 활력징후는 기본적인 환아의 정보를 제공하므로 필요하다. 환아의 경우 활력징후를 주기적으로 비정상적인 변화는 보고해야한다.
감염발생 시 혈압, 호흡수, 맥박, 체온이 상승된다.
3. 활력징후
맥박 124회/분
호흡 26회/분
체온 37.0°C 로 정상범위이다.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간호 진단
간호 목표
간호 계획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수행에 대한 평가
목표 달성 여부
“침대 위에서 뛰어 놀아요”
“휴게실 바닥에 물기가 있을 때가 있어요”
“아동 폴대를 밀면서 뛰어다녀요”
- 낙상 위험 도구사정: 10점
(낙상 고위험군 환아임)
- 보호자 낙상 위험에 대한 인식부족
과잉 활동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단기 목표
소아과 병동에 있는 5일 동안 낙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장기 목표
퇴원 전까지 낙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1. 침대위에 일어서서 놀지 않도록 한다.
1-1. 침대위에 일어서서 놀지 않고 앉아서 놀 수 있도록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다른 놀이를 한다.
1-2. 침대 난간을 양쪽 다 올리도록 교육한다.
1-3. 침대 바퀴 4개다 고정시킨다.
1-1. 침대위에 앉아서 노는 놀이를 하면 일어서서 놀 때 보다 낙상 위험이 감소한다.
1-2. 침대 난간을 양쪽 다 올리고 침대바퀴를 잘 고정시키는 것만으로도 낙상이 예방된다.
1-1. 침대에서 한 번씩 뛰기는 하지만 앉아서 노는 시간이 더 많다.
1-2. 양쪽 침대난간이 올려 져 있다.
1-3. 침대바퀴 4개다 고정되어 있다.
목표 성취됨
퇴원 전 까지 낙상 발생하지 않음
2. 발에 맞고 미끄러지지 않는 신발을 착용하도록 한다.
2. 환아의 발보다 큰 신발은 신고 있었으므로 부모에게 발에 맞는 신발을 신기도록 교육한다.
2. 발에 맞지 않는 신발을 신고 다니면 걸려서 넘어질 위험이 크기 때문에 발에 맞는 신발을 신어야한다.
2. 발에 맞는 신발 착용 후 걷거나 뛸 때 안정적이다.
3. 바닥에 물기가 있는지 확인한다.
3. 바닥에 물기가 있으면 즉시 닦는다.
3. 바닥이 젖어 있으면 말라있을 때 보다 미끄러질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3. 바닥이 젖어 있는 곳이 없어 미끄러질 위험이 줄어들었다.
4. 보호자에게 낙상 위험성에 대해 교육한다.
4. 보호자에게 낙상위험에 대해 재교육한다.
4. 낙상 고위험군 환아이기 때문에 보호자가 낙상위험에 대해 잘 인지하고 알고 있어야한다.
4. 보호자 낙상 위험에 대한 교육내용을 잘 인지하고 있다.
4. 과잉 활동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추천자료
아동간호학 실습 신생아 중환자실 NICU 케이스
[아동간호학] 급성편도염 Acute Tonsilitis 실습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실습, nicu, 신생아 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고위험 신생아, 기저귀 ...
아동간호학케이스/미숙아/아동간호학실습/premature infant/아동간호실습/신생아/NICU
아동간호학 폐렴 케이스입니다. (아동 간호과정) (폐렴간호과정)
소아 폐렴 pneumonia case study
아동간호학 임상실습 폐렴 케이스폐렴 간호과정Pneumonia case study A+
아동간호학 임상실습 급성 세기관지염 케이스급성 세기관지염 간호과정급성 세기관지염 간호...
Croup CASE 간호진단 5개 A+
[아동] APT(급성인두편도선염) 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