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행동주의이론
I. 고전적 조건형성
II. 조작적 조건형성
III. 모델링
IV. 강화
V. 소거
VI. 토큰경제
VII. 벌
VIII. 정신병리
* 참고문헌
I. 고전적 조건형성
II. 조작적 조건형성
III. 모델링
IV. 강화
V. 소거
VI. 토큰경제
VII. 벌
VIII. 정신병리
* 참고문헌
본문내용
. 문제행동의 소거를 위한 기초선 측정과 행동수정의 효과
VI. 토큰경제
바람직한 항동에 대한 칭찬이나 물건으로 보상해주는 긍정적인 강화의 방법이 효과가 없을 때 강화물로 사용하는 체계적인 강화 프로그램이다. 스티커나 상표 등의 토큰을 바람직한 행동에 대해 일차적으로 강화하고, 후에 토큰들을 모아 희망하는 후속 강화물음식, 놀잇감, 희망활동)로 교환된다. 목표행동을 템을 때 얻어지는 토큰의 수, 토큰으로 바꿀 수 있는 후속 강화물의 선정 그리고 후속 강화물로 교환할
수 있는 토큰 수는 아동의 발달수준과 행동 특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한다. 문제행
동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데 바람직한 방법이다. 목표행동의 결과에 대해
즉각적인 보상을 즘과 동시에 후속 강화뮬토큰으로 바꿀 수 있는 물건이나 활돈의
큰 만족을 얻기 위해 토큰을 모아가는 과정은 욕구와 만족을 지연시킬 수 있다.
VII. 벌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 후에 혐오적인 사건을 출현시키거나 긍정적인 사건을 제거함으로써 바람직하지 않은 항동의 빈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벌이다. 그러나 벌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에 대한 반응이기 때문에 벌의 내용이 중요하다. 벌은 내담자에게는 혐오스러워야 하지만, 벌이 흥밋거리를 제시하면 행동수정에 대한 효과가 감소한다.
VIII. 정신병리
행동주의 상담에서는 이상행동이나 정상행동이나 형성과 유지의 과정이 동일하다고 본다. 행동주의에서는 특정한 행동을 이끌어내고 유지시키고 제거하는 환경적 반응이나 사건들 간의 상호작용과 관련성을 강조한다. 인간의 사고 정서 항동 모두가 내담자를 둘러싼 자극과 반응 간의 연결을 통해 조건형성을 한다. 정신병리는 이러한 조건형성 과정을 거쳐 잘못 학습된 습관이 환경의 규범이나 가치와 부조화할 때 나타나는 행동양상이다. 따라서 행동주의 상담자는 이상행동의 원인을 행동 이면의 무의식에서 찾고 진단명에 의미를 두지 않는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VI. 토큰경제
바람직한 항동에 대한 칭찬이나 물건으로 보상해주는 긍정적인 강화의 방법이 효과가 없을 때 강화물로 사용하는 체계적인 강화 프로그램이다. 스티커나 상표 등의 토큰을 바람직한 행동에 대해 일차적으로 강화하고, 후에 토큰들을 모아 희망하는 후속 강화물음식, 놀잇감, 희망활동)로 교환된다. 목표행동을 템을 때 얻어지는 토큰의 수, 토큰으로 바꿀 수 있는 후속 강화물의 선정 그리고 후속 강화물로 교환할
수 있는 토큰 수는 아동의 발달수준과 행동 특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한다. 문제행
동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데 바람직한 방법이다. 목표행동의 결과에 대해
즉각적인 보상을 즘과 동시에 후속 강화뮬토큰으로 바꿀 수 있는 물건이나 활돈의
큰 만족을 얻기 위해 토큰을 모아가는 과정은 욕구와 만족을 지연시킬 수 있다.
VII. 벌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 후에 혐오적인 사건을 출현시키거나 긍정적인 사건을 제거함으로써 바람직하지 않은 항동의 빈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벌이다. 그러나 벌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에 대한 반응이기 때문에 벌의 내용이 중요하다. 벌은 내담자에게는 혐오스러워야 하지만, 벌이 흥밋거리를 제시하면 행동수정에 대한 효과가 감소한다.
VIII. 정신병리
행동주의 상담에서는 이상행동이나 정상행동이나 형성과 유지의 과정이 동일하다고 본다. 행동주의에서는 특정한 행동을 이끌어내고 유지시키고 제거하는 환경적 반응이나 사건들 간의 상호작용과 관련성을 강조한다. 인간의 사고 정서 항동 모두가 내담자를 둘러싼 자극과 반응 간의 연결을 통해 조건형성을 한다. 정신병리는 이러한 조건형성 과정을 거쳐 잘못 학습된 습관이 환경의 규범이나 가치와 부조화할 때 나타나는 행동양상이다. 따라서 행동주의 상담자는 이상행동의 원인을 행동 이면의 무의식에서 찾고 진단명에 의미를 두지 않는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