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상징적 활동의 증가
2. 자기중심적 사고
3. 직관적 사고
4. 물활론적 사고
5. 실재론
6. 목적론
7. 분류 및 유목화
* 참고문헌
2. 자기중심적 사고
3. 직관적 사고
4. 물활론적 사고
5. 실재론
6. 목적론
7. 분류 및 유목화
*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명관에 기초를 두는 단계로 변화하고 발달하는데 이 단계는 구체적 조작기인 학령기에 해당한다.
(5) 실재론
이 시기의 유아는 마음으로 생각한 것이 객관적으로도 실재하는 것으로 믿는다. 유아는 꿈에서 보였던 사람이나 사건 또는 현상들이 정말 있었으며 깨어나면서 사라졌다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들도 유아 자신의 꿈을 볼 수 있으며, 꿈을 꾸는 동안 그 꿈의 내용이 실제로 일어난 것이라고 믿는다.
또한 이 시기의 유아는 놀이의 규칙이란 변할 수 없고 반드시 지켜야 되는 것이라고 믿으며 행위에 대한 결과 여부에 따라 잘못한 정도를 판단한다. 즉, 행위의 잘잘못을 판단할 때 행위자의 의도했던 마음과 실제 결과가 서로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유아들은 마음은 고려하지 못하고 실제 결과에만 치중해 잘잘못을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어머니를 도우려다 5개의 컵을 깨뜨린 아동이 엄마 몰래 과자를 꺼내려다 1개의 컵을 깬 아동보다 더 나쁘다고 판단한다.
(6) 목적론
유아는 이 세상 모든 사물은 신 혹은 사람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생각하며 태양, 바다, 산등의 자연물, 그리고 밤과 낮과 같은 자연적인 현상은 인간의 목적에 의해 창조하였다고 추측하는 사고를 인공론 혹은 목적론이라고 한다. 유아들은 밤이 존재하는 것은 우리가잠을 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믿으며 딸은
해가 진 후에 사람들이 걸어 다니는 길을 비추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믿는 것이다.
목적론적인과 개념은 유아가 "왜라는 질문을 자주 하는 것도 이 특유의 사고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예컨대, "해는 왜 뜨느냐?“ “바닷물은 왜 파랗냐?“, “달은 왜 밤에만 나오느냐?” 등의 질문은 여러 현상의 목적을 알고 싶다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므로 유아는 이러한 질문들을 끊임없이 하게 되는 것이다.
(7) 분류 및 유목화
이 시기의 유아들은 사물들을 모양, 색, 크기와 같은 범주로 묶는 분류능력이 부족하다. 두 개 이상의 특성에 따라 범주화 될 수 있는 사물들을 순서 없이 제시하면 전조작기 유아들은 사물들을 크기와 속성 등으로 범주화하는 데 어려움을 가진다.
<그림> 삼각형, 사각형, 원을 이용한 분류과제
유목화란 전체와 부분의 관계를 이해하는 능력으로 전조작기의 유아들은 상위 유목과 하위유목 간의 포함관계를 잘 이해하지 못한다. 유아는 전체와 부분 중 어느 한 가지에만 초점을 맞추는 경향으로 인해 두 사물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지 못한다.
<그림> 유목포함의 과제
피아제의 7세 이전의 유아들이 분류나 범주에 대한 이해가 불전하다고 검증한 결과에 의하면, 유아에게 16송이의 꽃을 보여주었는데 이 중 흰색 꽃은 12송이, 유색 꽃은 4송이였다. 그리고 유아에게 "꽃이 더 많니? 흰색 꽃이 더 많니? "라고 물으면 유아는 흰색 꽃이 더 많다고 대답한다. 이 경우에 유아는 아직 흰색 꽃과 유색 꽃이 모두 꽃이라는 상위 유목에 포함된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고, 색깔이라는 지각적 특성에만 맞추어 주의를 집중하게 된다. 이는 아직 유아들이 전체와 부분의 논리적인 관계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5) 실재론
이 시기의 유아는 마음으로 생각한 것이 객관적으로도 실재하는 것으로 믿는다. 유아는 꿈에서 보였던 사람이나 사건 또는 현상들이 정말 있었으며 깨어나면서 사라졌다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들도 유아 자신의 꿈을 볼 수 있으며, 꿈을 꾸는 동안 그 꿈의 내용이 실제로 일어난 것이라고 믿는다.
또한 이 시기의 유아는 놀이의 규칙이란 변할 수 없고 반드시 지켜야 되는 것이라고 믿으며 행위에 대한 결과 여부에 따라 잘못한 정도를 판단한다. 즉, 행위의 잘잘못을 판단할 때 행위자의 의도했던 마음과 실제 결과가 서로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유아들은 마음은 고려하지 못하고 실제 결과에만 치중해 잘잘못을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어머니를 도우려다 5개의 컵을 깨뜨린 아동이 엄마 몰래 과자를 꺼내려다 1개의 컵을 깬 아동보다 더 나쁘다고 판단한다.
(6) 목적론
유아는 이 세상 모든 사물은 신 혹은 사람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생각하며 태양, 바다, 산등의 자연물, 그리고 밤과 낮과 같은 자연적인 현상은 인간의 목적에 의해 창조하였다고 추측하는 사고를 인공론 혹은 목적론이라고 한다. 유아들은 밤이 존재하는 것은 우리가잠을 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믿으며 딸은
해가 진 후에 사람들이 걸어 다니는 길을 비추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믿는 것이다.
목적론적인과 개념은 유아가 "왜라는 질문을 자주 하는 것도 이 특유의 사고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예컨대, "해는 왜 뜨느냐?“ “바닷물은 왜 파랗냐?“, “달은 왜 밤에만 나오느냐?” 등의 질문은 여러 현상의 목적을 알고 싶다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므로 유아는 이러한 질문들을 끊임없이 하게 되는 것이다.
(7) 분류 및 유목화
이 시기의 유아들은 사물들을 모양, 색, 크기와 같은 범주로 묶는 분류능력이 부족하다. 두 개 이상의 특성에 따라 범주화 될 수 있는 사물들을 순서 없이 제시하면 전조작기 유아들은 사물들을 크기와 속성 등으로 범주화하는 데 어려움을 가진다.
<그림> 삼각형, 사각형, 원을 이용한 분류과제
유목화란 전체와 부분의 관계를 이해하는 능력으로 전조작기의 유아들은 상위 유목과 하위유목 간의 포함관계를 잘 이해하지 못한다. 유아는 전체와 부분 중 어느 한 가지에만 초점을 맞추는 경향으로 인해 두 사물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지 못한다.
<그림> 유목포함의 과제
피아제의 7세 이전의 유아들이 분류나 범주에 대한 이해가 불전하다고 검증한 결과에 의하면, 유아에게 16송이의 꽃을 보여주었는데 이 중 흰색 꽃은 12송이, 유색 꽃은 4송이였다. 그리고 유아에게 "꽃이 더 많니? 흰색 꽃이 더 많니? "라고 물으면 유아는 흰색 꽃이 더 많다고 대답한다. 이 경우에 유아는 아직 흰색 꽃과 유색 꽃이 모두 꽃이라는 상위 유목에 포함된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고, 색깔이라는 지각적 특성에만 맞추어 주의를 집중하게 된다. 이는 아직 유아들이 전체와 부분의 논리적인 관계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유아의 발달적 특징과 교육
영유아의 발달과 교육에 관한 고찰
피아제(삐아제 / Piaget)의 인지발달단계에서 있어서 2-7세에 해당되는 전조작기의 사고특징...
[유아발달 A형] 유아기의 인지 발달의 특성을 설명하고 적절한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또한...
피아제는 유아기를 전조작기 단계로 그 특징을 상징적 사고 자아중심적 사고 직관적 사고로 ...
영유아기 사고의 발달(전조작기 유아의 사고) - 상징적 사고 직관적 사고 자아중심적 사고 물...
피아제는 유아기를 전조작기 단계로 그 특징을 상징적 사고 자아중심적 사고 직관적 사고로 ...
유아기 인지적 발달 및 심리사회적 발달
피아제는 유아기를 전조작기 단계로 그 특징을 상징적 사고 자아중심적 사고 직관적 사고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