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아기의 신체운동발달
I. 신체적 성장
1. 키와 몸무게
2. 뼈의 발달
3. 치아의 발달
II. 뇌 발달
III. 운동발달
1. 대근육 운동
2. 소근육 운동
3. 자조기능
* 참고문헌
I. 신체적 성장
1. 키와 몸무게
2. 뼈의 발달
3. 치아의 발달
II. 뇌 발달
III. 운동발달
1. 대근육 운동
2. 소근육 운동
3. 자조기능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곳을 뛰어올라 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를 좋아한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자신감과 성취감을 얻는다. 운동 능력의 향상은 유아의 자아 인식을 발달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즉, 몸 움직임을 통해 자신의 신체적인 이미를 형성하므로 이 시기의 정상적인 운동 발달은 매우 중요하다.
4세가 되면, 유아들은 아직도 같은 종류의 활동을 반복해서 하기를 좋아하나, 좀 더 모험적인 활동을 한다. 정글짐을 기어 올라가거나 한 번에 한 발씩 계단을 밟아가며 올라갈 뿐만 아니라 내려올 때도 한 발씩 내딛으며 내려올 수 있다.
5세가 되면, 유아들은 4세 때보다 훨씬 모험적이 된다. 빠르게 뛰며 경주하기를 좋아해 부모나 또래들과 많은 경주를 한다. 다음은 유아들이 할 수 있는 대근육 운동의 예이다.
<표> 유아기 대근육 운동의 예
이 시기에 유아들이 많이 하는 활동인 공차기와 던지기, 잡기 등의 활동을 통해 유아의 대근육 운동 발달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그러나 대근육 운동의 속도나 시기는 유아들마다 다르며 마지막 단계에 이르는 시기도 유아의 성숙이나 학습, 그리고 훈련이나 연습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한 단계씩 진행될수록 유아들의 불필요한 움직임은 없어지고 힘과 강도가 세지며 점차 숙련된 선수와 같은 움직임으로 발전한다.
이 시기의 유아들은 굉장히 적극적이다. 3세 유아는 일생을 통틀어 가장 높은 활동 수준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TV을 볼 때도 가만히 있지를 못한다. 식사를 위해 식탁에 앉아서도 가만히 있지를 못하며 심지어 잘 때도 많이 뒤척인다. 활동 수준이 높고 팔과 다리와 같은 대근육의 발달 때문에 이 시기의 유아들은 매일 운동이 필요하다.
(2) 소근육 운동
3세에 유아들은 아직 물건을 움직이고 다를 때 영아기의 능력이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때때로 엄지와 검지를 사용하여 작은 물건을 잡을 수 있는 능력이 있어도 아직은 미숙하다. 3세 유아는 블록으로 높은 합을 쌓을 수 있지만 똑바로 세우지는 못하고 삐뚤삐뚤하게 쌓는다. 딱딱한 보드나 그림 맞추기 퍼즐을 가지고 놀 때도 조각들을 움직이는 데 아직은 서툴다. 어떤 경우는 조각이 들어가야 할 정확한 위치를 알아도 조각을 잘 끼워 넣지 못한다. 끼워 넣기 위해 안간힘을 쓰거나 우격다짐으로 넣으려고 한다.
4세에 유아들의 소근육 협응은 놀라울 정도로 향상되고 훨씬 정확해진다. 때때로 마음대로 되지 않는 블록 쌓기에 속상해 하기도 한다. 5세에 소근육 협응은 훨씬 향상된다. 손, 팔, 그리고 몸 모두가 눈의 명령에 의하여 함께 움직인다. 이제 집을 짓거나 교회를 지을 수 있는 유아들에게 단순히 탑을 높게 쌓는 것은 재미있지가 않다.
그림 그리기도 중요한 소근육 운동 능력으로 아동기를 통해 계속 발달해 나가는데 켈로그(Kellog, 1970)는 아래의 표와 같이 유아의 그리기 과정을 4개의 발달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표> 유아의 그리기 과정
이 시기에 어떤 유아는 오른손을 사용하여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고 어떤 유아는 왼손을 사용하는데, 오랫동안 왼손잡이는 오른손잡이가 주류인 세상에서 차별을 받아왔다. 오랫동안 교사들은 유아들이 오른쪽 손을 사용하도록 가르쳐왔다. 그러나 오늘날은 아동들이 편하게 생각하는 손을 쓸 수 있도록 한다.
<표> 유아기 소근육 발달의 예
(3) 자조 기능
유아기 에는 다양한 자조 기능(self-help skills)이 발달한다. 2세경 에는 대소변 가리기를 할 수 있으며 혼자서 음식을 먹을 수도 있다. 3세경에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6-7세경이 되면 오른손으로 제대로 식사를 할 수 있다.
3세경에는 옷을 벗을 수 있고, 4세경에는 음을 입을 수 있으며, 5-6세가 되면 혼자서 옷을 입고 벗으며 단추나 지퍼를 열고 닫을 수 있다. 또한 신발도 신고 벗어서 가지런히 놓을 수 있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4세가 되면, 유아들은 아직도 같은 종류의 활동을 반복해서 하기를 좋아하나, 좀 더 모험적인 활동을 한다. 정글짐을 기어 올라가거나 한 번에 한 발씩 계단을 밟아가며 올라갈 뿐만 아니라 내려올 때도 한 발씩 내딛으며 내려올 수 있다.
5세가 되면, 유아들은 4세 때보다 훨씬 모험적이 된다. 빠르게 뛰며 경주하기를 좋아해 부모나 또래들과 많은 경주를 한다. 다음은 유아들이 할 수 있는 대근육 운동의 예이다.
<표> 유아기 대근육 운동의 예
이 시기에 유아들이 많이 하는 활동인 공차기와 던지기, 잡기 등의 활동을 통해 유아의 대근육 운동 발달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그러나 대근육 운동의 속도나 시기는 유아들마다 다르며 마지막 단계에 이르는 시기도 유아의 성숙이나 학습, 그리고 훈련이나 연습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한 단계씩 진행될수록 유아들의 불필요한 움직임은 없어지고 힘과 강도가 세지며 점차 숙련된 선수와 같은 움직임으로 발전한다.
이 시기의 유아들은 굉장히 적극적이다. 3세 유아는 일생을 통틀어 가장 높은 활동 수준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TV을 볼 때도 가만히 있지를 못한다. 식사를 위해 식탁에 앉아서도 가만히 있지를 못하며 심지어 잘 때도 많이 뒤척인다. 활동 수준이 높고 팔과 다리와 같은 대근육의 발달 때문에 이 시기의 유아들은 매일 운동이 필요하다.
(2) 소근육 운동
3세에 유아들은 아직 물건을 움직이고 다를 때 영아기의 능력이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때때로 엄지와 검지를 사용하여 작은 물건을 잡을 수 있는 능력이 있어도 아직은 미숙하다. 3세 유아는 블록으로 높은 합을 쌓을 수 있지만 똑바로 세우지는 못하고 삐뚤삐뚤하게 쌓는다. 딱딱한 보드나 그림 맞추기 퍼즐을 가지고 놀 때도 조각들을 움직이는 데 아직은 서툴다. 어떤 경우는 조각이 들어가야 할 정확한 위치를 알아도 조각을 잘 끼워 넣지 못한다. 끼워 넣기 위해 안간힘을 쓰거나 우격다짐으로 넣으려고 한다.
4세에 유아들의 소근육 협응은 놀라울 정도로 향상되고 훨씬 정확해진다. 때때로 마음대로 되지 않는 블록 쌓기에 속상해 하기도 한다. 5세에 소근육 협응은 훨씬 향상된다. 손, 팔, 그리고 몸 모두가 눈의 명령에 의하여 함께 움직인다. 이제 집을 짓거나 교회를 지을 수 있는 유아들에게 단순히 탑을 높게 쌓는 것은 재미있지가 않다.
그림 그리기도 중요한 소근육 운동 능력으로 아동기를 통해 계속 발달해 나가는데 켈로그(Kellog, 1970)는 아래의 표와 같이 유아의 그리기 과정을 4개의 발달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표> 유아의 그리기 과정
이 시기에 어떤 유아는 오른손을 사용하여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고 어떤 유아는 왼손을 사용하는데, 오랫동안 왼손잡이는 오른손잡이가 주류인 세상에서 차별을 받아왔다. 오랫동안 교사들은 유아들이 오른쪽 손을 사용하도록 가르쳐왔다. 그러나 오늘날은 아동들이 편하게 생각하는 손을 쓸 수 있도록 한다.
<표> 유아기 소근육 발달의 예
(3) 자조 기능
유아기 에는 다양한 자조 기능(self-help skills)이 발달한다. 2세경 에는 대소변 가리기를 할 수 있으며 혼자서 음식을 먹을 수도 있다. 3세경에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6-7세경이 되면 오른손으로 제대로 식사를 할 수 있다.
3세경에는 옷을 벗을 수 있고, 4세경에는 음을 입을 수 있으며, 5-6세가 되면 혼자서 옷을 입고 벗으며 단추나 지퍼를 열고 닫을 수 있다. 또한 신발도 신고 벗어서 가지런히 놓을 수 있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유아 발달과 보육, 학동기 아동의 발달과 보육
[A+ 레포트] 영유아기의 신체/운동 발달 특징과 지도방안
학령기 아동의 생활환경과 특성
유아기 신체 운동능력 발달 특징 및 유아체육 교육(유아체육교실 프로그램)의 개념 필요성 내...
[아동발달] 유아기 운동발달과 인지발달 - 대근육 운동발달, 소근육 운동발달, 지각의 이론 ...
영아기와 유아기 발달적 특징과 이에 적절한 그림책을 각각 3권 이상 소개하며 어떻게 그림책...
[유아기 신체운동발달] 유아기 신체발달 및 운동발달 - 유아기의 발달특성(특징), 유아의 신...
[유아기 발달특징] 유아기의 발달특성(신체운동발달 인지발달 언어발달 정서발달 사회성 발달...
[영유아기 발달특성] 영유아기 신체 및 운동발달, 심리적 발달, 사회정서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