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영아기 운동발달
I. 운동발달의 순서
II. 대근육 발달
III. 소근육 발달 : 손 뻗기와 잡기
* 참고문헌
I. 운동발달의 순서
II. 대근육 발달
III. 소근육 발달 : 손 뻗기와 잡기
*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생아의 잡기 반사가 약화되면 이 반사는 손가락을 손바닥 쪽으로 오므리는 서투른 움직임(ulnar grasp)으로 대치된다. 4-5개월쯤 되면 대상을 탐색하기 위해 두 손이 협응할 수 있게 된다. 이 시기의 영아는 한손에 물체를 쥐고 다른 손가락 끝으로 사물을 살필 수 있게 되며 물체를 한 손에서 다른 손으로 자주 옮길 수 있게 된다. 한 살 가량이 되면 물체를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끝으로 집는 손끝집기(pincer grasp)를 할 수 있게 된다. 일단 손끝집기(pincer grasp)가 나타나면 사물을 조작하는 능력이 크게 향상된다. 한 삶이 되면 영아는 건포도나 유리 조각을 집어들 수 있고 문의 손잡이를 돌릴 수 있으며 작은 상자를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된다.
8-11개월경에는 별 어려움 없이 별기와 잡기를 잘 할 수 있게 된다. 손은 사물을 조작하고 탐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여 영아가 학습하는 데 상당히 기여한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8-11개월경에는 별 어려움 없이 별기와 잡기를 잘 할 수 있게 된다. 손은 사물을 조작하고 탐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여 영아가 학습하는 데 상당히 기여한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