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발달 연구방법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발달 연구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아동발달 연구방법

A. 아동발달 연구의 특징
I. 아동발달 연구의 목적
1. 아동발달의 기술
2. 아동발달의 기제
3. 아동 교육 및 복지를 위한 활용
II. 아동발달 연구방법의 필요성

B. 아동발달과 과학적 연구
I. 아동발달의 과학적 연구
II. 과학적 연구의 개념
III. 아동발달 연구의 과학적 절차

C. 아동발달 연구의 설계
I. 종단적 설계
II. 횡단적 설계
III. 계열적 설계

D. 아동발달 연구의 유형
I. 상관 연구
II. 실험 연구
III. 사례 연구

E. 아동발달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방법
I. 관찰법
II. 질문지법과 면접법 III. 검사법

F. 아동발달 연구의 동향과 과제
I. 아동발달 연구의 동향
II. 아동발달 연구의 윤리적 문제

* 참고문헌

본문내용

맥락 속에서 나타나는 발달의 특수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경향은 연구 방법에 있어서도 특정 연구 방법에 의존하기보다는 다양한 연구 방법에 기초한 생태학적인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영아 연구의 확대는 아동 발달 연구의 새로운 경향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난 현상이다. 아동 발달에 있어서 영아 연구의 확대는 무엇보다도 연구 방법의 발전에 기초하고 있다. 영아의 발달에 관한 연구는 영아의 발달적 특성상 매우 힘든 영역이었다.
영아의 행동 특성을 영아의 맥박수, 뇌활성화 등을 다양한 의학기기를 동원하여 측정하거나, 영아의 정서적 반응이나 지각을 습관화와 탈습관화, 지각선호성 등을 활용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해 냄으로써 발달 초기의 특성에 대한 과학적 연구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 발달 연구의 최근 동향으로 두드러진 현상은 전반적으로 아동 발달에 관한 과학적 접근이 다양하게 모색되었을 뿐만 아니라 발달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아동 발달의 연구는 단순히 발달 현상을 기술하고 발달 과정을 밝히는 것에서 교육, 복지, 제도에 필요한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되기 위한 연구로 발전되어가고 있다. 특히 발달심리학 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유아교육과 아동학 분야에서도 아동의 발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아동 발달의 연구가 아동 발달의 일반적 경향을 이해하고 발달기제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뿐만 아니라 아동을 둘러싸고 있는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현장 연구를 중심으로 한 연구 방법의 다양화가 강조되고 있다.
그렇다면 국내의 아동 발달 연구의 동향은 어떠한가? 국내에서 이루어진 1991년 이후 아동 및 유아 관련 학술지에 발표된 발달 연구 논문의 연구 경향을 탐색한 최미숙과 황윤세(2004)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분석 대상 총 239편의 연구 중 횡단적 설계가 226편(94.6%), 종단적 설계는 10편(4.2%)과 계열적 설계는 단 3편(1.3%)으로 대부분의 연구가 횡단적 설계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연구 설계의 용이성에 의한 편중된 연구 경향으로 볼 수 있다. 앞으로 아동의 발달적 변화 과정을 볼 수 있는 종단적 설계나 계열적 설계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연구 유형의 경우, 분석 대상 논문 총 265편 중 실험 연구가 124편(46.8%), 상관 연구가 63편(23.8%), 사례 연구가 14편(5.3%), 문헌 연구 등을 포함한 기타 연구 유형이 64편(24.1%)으로 대부분의 연구들이 실험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료 수집방법에 있어서는 총 275편 중 관찰 연구가 80편, 검사법이 118편, 질문지법(43편)과 면접법(34편)이 총 77편으로 나타나 자료 수집에 있어서는 비교적 고른 분포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에서도 아동 발달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으며, 동시에 아동 발달 연구에 있어서 다양한 연구 방법의 활용이 앞으로의 주된 과제로 부각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 아동의 발달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 발달 연구 방법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관심이 요구된다.
II. 아동발달 연구의 윤리적 문제
아동 발달에 관한 연구 방법은 아동의 발달과 변화에 대한 연구와 이론과 더불어 발전해왔다. 아동 발달 연구 방법에 기초하여 아동의 발달 과정을 기술하고,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아동 발달에 적합한 환경을 구성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아동 발달 연구 방법은 아동 발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위한 기본적인 틀을 제공함으로써 아동 발달의 이론과 실천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아동 발달 연구에 있어서 윤리적인 문제에 대하여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윤리적인 문제는 절대 간과될 수 없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외국의 경우 연구 참여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모든 연구가 일정한 윤리 기준을 마련하여 연구 수행에 앞서 이러한 기준을 검토하는 절차를 거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이러한 기준과 절차가 구체적으로 마련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연구대상자의 권리를 보호한다는 관점에서 연구 참여에 대한 사전 동의, 사생활 보호 및 비밀 보장에 대한 기준이 제시되고 있다. 그 밖에 연구대상자에게 부정적 영향을 입히거나 상대적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 것을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있어 이러한 윤리적 기준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절대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연구 과정 중 아동은 얼마나 많은 불안을 수용할 수 있는가? 각종 검사나 여러 가지 실험들의 정서적인 긴장이나 장기적인 효과에 대해 충분히 고려하였는가? 실험 연구에서 실험 처치의 유해성과 상대적 박탈감에 대하여 고려하였는가? 아동의 진정한 권리는 무엇인가? 아동 권리를 위한 안전장치는 마련되어 있나? 지금까지 수행되어져 온 발달에 대한 연구가 아동의 권리에 기여하고 있는가? 이러한 질문은 아동 대상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윤리적 기준이 될 수 있다. 아동의 권리와 연구의 윤리적 기준을 잘 고려하여 연구 결과뿐만 아니라 연구 과정이 아동에게 유익한 과정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아동 발달 연구를 수행할 때 이러한 아동의 권리와 연구 윤리를 고려하여 면구 방법을 조심스럽게 설계하고 적절한 자료 수집 방법을 선정하여야 한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3,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9.05.06
  • 저작시기201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79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