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개론 ) 모음과 자음은 모두 인간의 발성에 의한 음성이라는 동질의 연속선 위에 놓여있다를 자음과 모음 그리고 반(자)모음의 특징을 통해서 설명하세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학개론 ) 모음과 자음은 모두 인간의 발성에 의한 음성이라는 동질의 연속선 위에 놓여있다를 자음과 모음 그리고 반(자)모음의 특징을 통해서 설명하세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 자음이 어떤 조음 방법으로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순서를 보인다. 따라서 자음 명칭의 우리말 구조는 조음 위치+발성 유형+조음 방법의 순서를 따른다. [d]의 이름은 치경 유성 폐쇄음이지만 [t]의 이름은 치경 무성 폐쇄음이다. 모음의 명명법은 조음의 중요한 변수를 따져 보았을 때 조음 시 입술 모양은 어떠한지 부터 살핀다. 이는 입술이 돌출 되었는지 알아보는 것이며 혀와 입천장의 가장 가까운 부분이 혀를 기준으로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가, 그리고 혀의 높이가 어떠한가를 차례로 살펴본다. 이에 모음은 입술 모양+혀의 전후+혀의 고저의 순서로 명명되어지는데, 예를 들어 [i]는 평순 전설 고모음이며 [u]는 원순 후설 고모음이다.
말소리에 대해 이야기를 할 때에도 다양한 부분에서 언급할 수 있다. 두 사람이 같은 책을 함께 읽었다고 했을 때, 이를 같은 소리를 냈다고 할지 다른 소리를 냈다고 할지에 대해서 나누어지기 때문이다. 같은 소리를 냈다고 한 것은 같은 뜻을 나타내는 소리로 인식되었기에 같은 소리로 정의내릴 수 있는 것이지만 다른 소리라고 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다른 소리를 냈기 때문에 다르다는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말소리에 대해 물리적인 측면도 고려되어져야함을 볼 수 있다. 학문의 발전으로 소리가 명명되어지지만 결국 소리의 큰 줄기는 물리적인 것을 벗어나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공기의 순환으로 생기는 소리의 개념으로 소리 자체를 이해하려는 시도는 필요한 것이다.
IV. 참고문헌
신지영, 차재은 (2013). 우리말 소리의 체계. 서울:한국문화사
이기문 (2006). 국어음운론. 서울:학연사
  • 가격3,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5.16
  • 저작시기201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93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