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친사회성의 육성
I. 부모의 양육태도
II. 귀납적 방법에 의한 지도
III. 친사회성의 모델 제시
* 참고문헌
I. 부모의 양육태도
II. 귀납적 방법에 의한 지도
III. 친사회성의 모델 제시
* 참고문헌
본문내용
먼저 제3집단과 제4집단은 모두 동일하게 돕기 행동으로 인한 손실감이 낮은 집단이지만, 돕기 모델을 관찰한 제3집단은 중성 모델을 관찰한 제4집단보다 돕기행동의 생성률이 약 4배나 가까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돕기 행동으로 인해 미로놀이의 즐거움에 대한 손실감이 큰 제1, 2 집단에서는 돕기 행동이 거의 생성되지 않았으며, 이 두 집단 간의 차이도 거의 없었다.
이 실험 결과를 통해 친사회성의 육성에 있어 모델링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관찰자의 동기 유발이나 친사회적인 행동으로 인한 손질감의 정도가 행동 발생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유아에게는 주위의 모든 사람이 친사회성 모델의 역할을 하고 있지만 그 가운데 부모나 교사의 영향력이 가장 크다. 유아는 그들의 일거수일투족에 관심을 가지고 바라보고 있기 때문에 부모나 교사는 평소 친사회적 행동을 몸소 실천하고, 이런 행동을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태도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동시에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직접적으로 유아의 친사회성 학습을 촉진시키는 보육자의 역할도 요구된다. 여기서 유의할 점은 평소 보육자의 교육 내용과 행동 사이, 즉 모델로서의 행동 사이에 모순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평소 유아들에게는 "작은 동물들은 약하니까 잘 보살펴 주고 귀여워 해줘야 해I"라고 말해놓고, 자신은 정작 교실에 몰래 들어온 고양이를 보고는 화를 내거나 짜증내는 등 매정하게 대하는 보육자의 모습을 유아들이 보았다고 가정해 보자. 교육 내용과 실제 행동의 불일치로는 친사회성 교육의 학습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것을 실험적인 방법으로 검증한 연구(Midlarsky, 1973)가 있다. 이 실험에서 실험자는 이기적인 모델의 역할을 하게 되는데, 게임에 이겨서 얻은 금전 교환권을 아동이 보는 앞에서 "내가 필요한 물건을 사는 데 사용해야겠다. "고 말한다. 뒤이어 계속되는 게임에서는 아동이 참여하게 되고, 이들도 게임에 이겨서 금전 교환권을 받게 된다. 이때 이기적 모델 역할을 하고 있는 실험자는 아동에게 불장한 아이를 위해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는 이러한 제안을 받았던 아동이 제안을 받지 않았던 아동보다 돕기 행동이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부모나 교사 자신의 행동과 교육 내용의 불일치는 오히려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발생을 억제시킨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이 실험 결과를 통해 친사회성의 육성에 있어 모델링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관찰자의 동기 유발이나 친사회적인 행동으로 인한 손질감의 정도가 행동 발생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유아에게는 주위의 모든 사람이 친사회성 모델의 역할을 하고 있지만 그 가운데 부모나 교사의 영향력이 가장 크다. 유아는 그들의 일거수일투족에 관심을 가지고 바라보고 있기 때문에 부모나 교사는 평소 친사회적 행동을 몸소 실천하고, 이런 행동을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태도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동시에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직접적으로 유아의 친사회성 학습을 촉진시키는 보육자의 역할도 요구된다. 여기서 유의할 점은 평소 보육자의 교육 내용과 행동 사이, 즉 모델로서의 행동 사이에 모순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평소 유아들에게는 "작은 동물들은 약하니까 잘 보살펴 주고 귀여워 해줘야 해I"라고 말해놓고, 자신은 정작 교실에 몰래 들어온 고양이를 보고는 화를 내거나 짜증내는 등 매정하게 대하는 보육자의 모습을 유아들이 보았다고 가정해 보자. 교육 내용과 실제 행동의 불일치로는 친사회성 교육의 학습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것을 실험적인 방법으로 검증한 연구(Midlarsky, 1973)가 있다. 이 실험에서 실험자는 이기적인 모델의 역할을 하게 되는데, 게임에 이겨서 얻은 금전 교환권을 아동이 보는 앞에서 "내가 필요한 물건을 사는 데 사용해야겠다. "고 말한다. 뒤이어 계속되는 게임에서는 아동이 참여하게 되고, 이들도 게임에 이겨서 금전 교환권을 받게 된다. 이때 이기적 모델 역할을 하고 있는 실험자는 아동에게 불장한 아이를 위해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는 이러한 제안을 받았던 아동이 제안을 받지 않았던 아동보다 돕기 행동이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부모나 교사 자신의 행동과 교육 내용의 불일치는 오히려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발생을 억제시킨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