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Ⅰ. 문헌고찰
A. 전치태반 (Placenta previa)의 정의---------------------------------------------------- p. 1-2
B. 전치태반 (Placenta previa)의 빈도 및 원인 ------------------------------------------ p. 2
C. 전치태반 (Placenta previa)의 병태생리 ----------------------------------------------- p. 2
D. 전치태반 (Placenta previa)의 증상과 징후 ------------------------------------------ p. 2-3
E. 전치태반 (Placenta previa)의 진단 --------------------------------------------------- p. 3-4
F. 전치태반 (Placenta previa)의 치료 및 간호관리 ------------------------------------- p. 4-6
G. 전치태반 (Placenta previa)의 합병증 ------------------------------------------------- p. 6
H. 전치태반 (Placenta previa)의 예방법 ------------------------------------------------- p. 6
Ⅱ. 간호정보수집
1. 간호정보 조사지 ----------------------------------------------------------------------- p. 8-9
2. 신체 사정 ----------------------------------------------------------------------------- p. 9-10
3. Intake & Output 섭취량과 배설량 ------------------------------------- p. 10
4. V/S (BP-PR(회/분)-RR(회/분)-BT(℃)) ----------------------------------------------- p. 10-11
5. 진단검사 -------------------------------------------------------- p. 11-15
6. 영상의학 판독 보고서 ------------------------------------------------ p. 15
7. 경과 기록지 -------------------------------------------------------- p. 16
8. 투약 ------------------------------------------------------------ p. 17-25
Ⅲ. 간호과정 ---------------------------------------------------------------------------- p. 25- 36
Ⅳ. 느낀 점 --------------------------------------------------------------------------------- p.37
Ⅴ. 참고문헌 --------------------------------------------------------------------------------- p.37
A. 전치태반 (Placenta previa)의 정의---------------------------------------------------- p. 1-2
B. 전치태반 (Placenta previa)의 빈도 및 원인 ------------------------------------------ p. 2
C. 전치태반 (Placenta previa)의 병태생리 ----------------------------------------------- p. 2
D. 전치태반 (Placenta previa)의 증상과 징후 ------------------------------------------ p. 2-3
E. 전치태반 (Placenta previa)의 진단 --------------------------------------------------- p. 3-4
F. 전치태반 (Placenta previa)의 치료 및 간호관리 ------------------------------------- p. 4-6
G. 전치태반 (Placenta previa)의 합병증 ------------------------------------------------- p. 6
H. 전치태반 (Placenta previa)의 예방법 ------------------------------------------------- p. 6
Ⅱ. 간호정보수집
1. 간호정보 조사지 ----------------------------------------------------------------------- p. 8-9
2. 신체 사정 ----------------------------------------------------------------------------- p. 9-10
3. Intake & Output 섭취량과 배설량 ------------------------------------- p. 10
4. V/S (BP-PR(회/분)-RR(회/분)-BT(℃)) ----------------------------------------------- p. 10-11
5. 진단검사 -------------------------------------------------------- p. 11-15
6. 영상의학 판독 보고서 ------------------------------------------------ p. 15
7. 경과 기록지 -------------------------------------------------------- p. 16
8. 투약 ------------------------------------------------------------ p. 17-25
Ⅲ. 간호과정 ---------------------------------------------------------------------------- p. 25- 36
Ⅳ. 느낀 점 --------------------------------------------------------------------------------- p.37
Ⅴ. 참고문헌 --------------------------------------------------------------------------------- p.37
본문내용
하부의 기준점 변화를 유발 하여 열이 발생하는 것이 발열이론이다.
3. 1일 1회 감염을 시사하는 혈액검사(WBC, CRP, ESR, 호중구) 결과를 관찰한다.
→ WBC가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것은 감염의 증상을 나타낸다. 눈에 띠게 WBC의 수가 감소하는 경우는 비타민과 amino의 심각한 결핍이나 극심한 쇠약의 결과 WBC 생산의 감소를 나타낸다. CRP의 증가는 심근감염, 정신적 충격, 감염, 염증, 수술, 종양적 증식일 때 급격히 증가한다.
4. 패드를 통해 출혈과 질 분비물을 확인한다.
→ 태반 조직의 노출로 인한 감염의 징후를 조기 사정하기 위해 자궁 긴장도와 냄새나는 질분비물을 확인한다. -
5. Foley 카테터, JP drain 삽입부위를 사정하고 관리한다.
1) Foley 카테터 삽입부위에 감염 징후( 발적, 부종, 화농성 배액이 있는지 악취가 나거나 출혈이 없는지 ) 관찰한다. → 상처부위에 발적, 부종, 화농성 배액이 있는지 악취가 나는 것은 감염을 의심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2) 상행성 회음부 간호를 매일 시행하며 요로감염 증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 감염 발생 시 혼탁한 소변, 강한 냄새, 요도작열감, 열, 오한 등
3) foley catheter를 통한 배액량 측정 시 청결술을 적용한다.
4) foley catheter 드레싱을 실시할 때 무균술을 적용한다.
6. 적절한 영양 및 수분공급을 하도록 교육한다.
7.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8. 면회를 위해 방문하는 부모 및 가족에게 감염예방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1) 환자와 보호자에게 카데터 삽입부위 관리방법을 교육한다.
- 삽입된 카테터는 배뇨, 청결 등과 관련이 있으므로 관리방법을 교육하여 청결을 유지하도록 한다.
① 소변주머니는 침상보다는 낮은 위치에 소변주머니를 위치시키고 이동하도록 한다.
② 소변의 줄이 꼬이거나 접히지 않도록 교육한다.
9. 처방된 예방적 항생제(Flumarin) 약물을 투여한다.
1. 간호활동 시 (물품 및 접촉하기 전 후) 알코올 손소독제로 손소독함.
2. 4시간마다 V/S를 측정함.
일자
시간
BP
PR
RR
BT(℃)
11/03
op날
13:45
130/83
85
20
36.9
14:00
131/90
85
20
36.9
14:15
145/85△
85
20
37.2
14:30
145/85△
84
20
37.2
14:45
145/80△
83
20
37.4△
15:00
145/80△
82
20
37.4△
21:00
120/75
72
20
37.6△
11/04
05:00
110/60
78
20
37.1
11/05
05:00
110/60
87
20
36.9
11/06
05:00
130/70
61
20
36.7
11/07
05:00
120/70
75
20
36.9
11/08
05:00
120/70
80
20
37.0
- C/SEC 후 당일 BP, BT은 높았으나 정상 회복됨.
3. 1일 1회 감염을 시사하는 혈액검사(WBC, CRP, ESR, 호중구) 결과를 관찰함.
검사명
11/03
AM 10
11/03
PM 2
11/03
PM 5
11/04 AM5
11/06
정상치
(단위표기)
WBC
8.26
22.52△
22.97△
18.55△
8.64
4.0-10.0 10^3/㎕
CRP
0.82
0-5.0mg/L
ESR
30
0~30mm/hr
- C/SEC 후 2일간 WBC은 높았으나 정상 회복됨.
4. 패드를 통해 출혈과 질분비물을 확인함.
- 11/05 깔아둔 패드에 분비물이 보이지 않음
5. Foley 카테터, JP drain 삽입부위를 사정하고 관리 확인 못함 (11/04 제거)
6. 적절한 영양 및 수분공급을 하도록 교육함.
- 500cc 물통에 물을 담아 드시는 모습 보임.
7. 음악을 들으시면서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보임
8. 면회를 위해 방문하는 부모 및 가족에게 감염예방 방법에 대해 교육함.
9. 처방된 예방적 항생제(Flumarin) 약물을 투여함.
간호평가
대상자는 11/03 C/SEC 후 2일간 WBC은 높았으나 정상 회복되었고,
퇴원 시까지 자궁 내 감염의 징후는 나타나지 않음.
Ⅳ. 느낀 점
예전부터 분만실 실습은 정말 가장 해보고 싶은 실습이였다. 내가 모성 실습을 기다렸던 이유는 내가 1지망으로 지원하고자 하는 부서가 분만실이였기 때문이다. 특수파트였기 때문에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은 했었지만 acting 선생님께서 13명이나 되는 임부를 care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산과에서 사용하는 수술도구의 이름을 외우고 척척 준비하시는 모습이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했으며, 산모들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실 뿐만 아니라 미리 예견하시는 ‘촉’에 감탄하였다. c/sec을 하기로 예정되어 있던 환자에게서 분만 1기를 끝내고 질구에서 태아가 나오기 위해 꿈틀꿈틀 bulging이 되어 NSVD을 하게 되어야하는 상황이었다. 선생님께서 환자의 하부가 bulging되어 있는 것을 보시고 5분만에 NSVD를 할 준비를 다 마치셨다. 준비를 마치자 태아가 분만 7가지 기전을 통해서 나온다고 배웠지만, 쑥 빠져나오는 모습을 보았다. 신생아가 푸르딩딩하게 나와서 바로 suction을 하자마자 응애~하는 울음소리를 듣게되는 경이로운 순간을 경험하였다. 회음절개의 과정까지 볼 수 있었는데, 이 고통을 참고서 ‘엄마’가 된다는 것을 정말 놀라운 일이였고 나의 어머니에게도 감사함을 느끼게 되는 순간이었다. 선생님들의 신속한 손의 skill을 본 이 날은 절대 있을 수 없는 경험이었다. 처음 며칠간의 처음 접해본 특수 파트라서 어려움도 있었다.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v/s, nst, doppler, bed making 등의 하면서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회복하고 안녕을 취하시는 모습에 보람을 느꼈다. 이번 실습을 통해 더 분만실을 지원하고 싶은 계기가 된 것 같다.
Ⅴ. 참고문헌
「모성-여성 건강간호학 Ⅰ」, 강남미 외 공저, 정담미디어, 2016, p
「여성 건강간호학 Ⅱ」, 김혜원 외 공저, 현문사, 2014, p 275- 280
「여성 건강간호학」, 김태진 외 공저, 정담미디어 2005, p 614-61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3. 1일 1회 감염을 시사하는 혈액검사(WBC, CRP, ESR, 호중구) 결과를 관찰한다.
→ WBC가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것은 감염의 증상을 나타낸다. 눈에 띠게 WBC의 수가 감소하는 경우는 비타민과 amino의 심각한 결핍이나 극심한 쇠약의 결과 WBC 생산의 감소를 나타낸다. CRP의 증가는 심근감염, 정신적 충격, 감염, 염증, 수술, 종양적 증식일 때 급격히 증가한다.
4. 패드를 통해 출혈과 질 분비물을 확인한다.
→ 태반 조직의 노출로 인한 감염의 징후를 조기 사정하기 위해 자궁 긴장도와 냄새나는 질분비물을 확인한다. -
5. Foley 카테터, JP drain 삽입부위를 사정하고 관리한다.
1) Foley 카테터 삽입부위에 감염 징후( 발적, 부종, 화농성 배액이 있는지 악취가 나거나 출혈이 없는지 ) 관찰한다. → 상처부위에 발적, 부종, 화농성 배액이 있는지 악취가 나는 것은 감염을 의심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2) 상행성 회음부 간호를 매일 시행하며 요로감염 증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 감염 발생 시 혼탁한 소변, 강한 냄새, 요도작열감, 열, 오한 등
3) foley catheter를 통한 배액량 측정 시 청결술을 적용한다.
4) foley catheter 드레싱을 실시할 때 무균술을 적용한다.
6. 적절한 영양 및 수분공급을 하도록 교육한다.
7.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8. 면회를 위해 방문하는 부모 및 가족에게 감염예방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1) 환자와 보호자에게 카데터 삽입부위 관리방법을 교육한다.
- 삽입된 카테터는 배뇨, 청결 등과 관련이 있으므로 관리방법을 교육하여 청결을 유지하도록 한다.
① 소변주머니는 침상보다는 낮은 위치에 소변주머니를 위치시키고 이동하도록 한다.
② 소변의 줄이 꼬이거나 접히지 않도록 교육한다.
9. 처방된 예방적 항생제(Flumarin) 약물을 투여한다.
1. 간호활동 시 (물품 및 접촉하기 전 후) 알코올 손소독제로 손소독함.
2. 4시간마다 V/S를 측정함.
일자
시간
BP
PR
RR
BT(℃)
11/03
op날
13:45
130/83
85
20
36.9
14:00
131/90
85
20
36.9
14:15
145/85△
85
20
37.2
14:30
145/85△
84
20
37.2
14:45
145/80△
83
20
37.4△
15:00
145/80△
82
20
37.4△
21:00
120/75
72
20
37.6△
11/04
05:00
110/60
78
20
37.1
11/05
05:00
110/60
87
20
36.9
11/06
05:00
130/70
61
20
36.7
11/07
05:00
120/70
75
20
36.9
11/08
05:00
120/70
80
20
37.0
- C/SEC 후 당일 BP, BT은 높았으나 정상 회복됨.
3. 1일 1회 감염을 시사하는 혈액검사(WBC, CRP, ESR, 호중구) 결과를 관찰함.
검사명
11/03
AM 10
11/03
PM 2
11/03
PM 5
11/04 AM5
11/06
정상치
(단위표기)
WBC
8.26
22.52△
22.97△
18.55△
8.64
4.0-10.0 10^3/㎕
CRP
0.82
0-5.0mg/L
ESR
30
0~30mm/hr
- C/SEC 후 2일간 WBC은 높았으나 정상 회복됨.
4. 패드를 통해 출혈과 질분비물을 확인함.
- 11/05 깔아둔 패드에 분비물이 보이지 않음
5. Foley 카테터, JP drain 삽입부위를 사정하고 관리 확인 못함 (11/04 제거)
6. 적절한 영양 및 수분공급을 하도록 교육함.
- 500cc 물통에 물을 담아 드시는 모습 보임.
7. 음악을 들으시면서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보임
8. 면회를 위해 방문하는 부모 및 가족에게 감염예방 방법에 대해 교육함.
9. 처방된 예방적 항생제(Flumarin) 약물을 투여함.
간호평가
대상자는 11/03 C/SEC 후 2일간 WBC은 높았으나 정상 회복되었고,
퇴원 시까지 자궁 내 감염의 징후는 나타나지 않음.
Ⅳ. 느낀 점
예전부터 분만실 실습은 정말 가장 해보고 싶은 실습이였다. 내가 모성 실습을 기다렸던 이유는 내가 1지망으로 지원하고자 하는 부서가 분만실이였기 때문이다. 특수파트였기 때문에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은 했었지만 acting 선생님께서 13명이나 되는 임부를 care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산과에서 사용하는 수술도구의 이름을 외우고 척척 준비하시는 모습이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했으며, 산모들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실 뿐만 아니라 미리 예견하시는 ‘촉’에 감탄하였다. c/sec을 하기로 예정되어 있던 환자에게서 분만 1기를 끝내고 질구에서 태아가 나오기 위해 꿈틀꿈틀 bulging이 되어 NSVD을 하게 되어야하는 상황이었다. 선생님께서 환자의 하부가 bulging되어 있는 것을 보시고 5분만에 NSVD를 할 준비를 다 마치셨다. 준비를 마치자 태아가 분만 7가지 기전을 통해서 나온다고 배웠지만, 쑥 빠져나오는 모습을 보았다. 신생아가 푸르딩딩하게 나와서 바로 suction을 하자마자 응애~하는 울음소리를 듣게되는 경이로운 순간을 경험하였다. 회음절개의 과정까지 볼 수 있었는데, 이 고통을 참고서 ‘엄마’가 된다는 것을 정말 놀라운 일이였고 나의 어머니에게도 감사함을 느끼게 되는 순간이었다. 선생님들의 신속한 손의 skill을 본 이 날은 절대 있을 수 없는 경험이었다. 처음 며칠간의 처음 접해본 특수 파트라서 어려움도 있었다.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v/s, nst, doppler, bed making 등의 하면서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회복하고 안녕을 취하시는 모습에 보람을 느꼈다. 이번 실습을 통해 더 분만실을 지원하고 싶은 계기가 된 것 같다.
Ⅴ. 참고문헌
「모성-여성 건강간호학 Ⅰ」, 강남미 외 공저, 정담미디어, 2016, p
「여성 건강간호학 Ⅱ」, 김혜원 외 공저, 현문사, 2014, p 275- 280
「여성 건강간호학」, 김태진 외 공저, 정담미디어 2005, p 614-61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추천자료
전치태반으로 인한 제왕절개수술
[간호학]여성간호-제왕절개
(모성 간호학 실습) 분만실 케이스 CASE STUDY - 전치태반 (前置胎盤/Placenta Previa)
여성, 모성간호학 실습- 전치태반 case study 컨퍼런스
모성 전치태반 케이스 및 간호과정, 간호진단 3개 case study
[모성간호학A+] 스토리텔링을 통한 전치태반과 자간전증 산모의 간호과정 적용
A+) Placenta Previa 전치태반 케이스 스터디, 전치태반 간호과정, 전치태반 case study, 전...
전치태반&제왕절개 케이스
전치태반 케이스 스터디 (전치태반 C-SEC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CSEC)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