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사회적 영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사회적 영향

I. 태도변화
1. 태도의 개념
2. 태도의 형성 경로
3. 태도의 변화

II. 동조

III. 순종

* 참고문헌

본문내용

dience)이란 명령, 지시, 요청 등 남의 말에 따르는 행위를 의미한다. 순종 가운데서도 말을 하는 사람과 따르는 사람의 지위가 다를 때 일어나는 순종을 복종(Obedience)이라 한다. 복종은 어떤 권위에 대한 순종이다. 복종은 사회에서 가장 흔히 보이는 순종의 예이다. 복종이 없이는 사회가 질서를 유지하기 힘들고 또 사회가 효과적으로 기능을 할 수 없다. 그래서 부모와 학교는 일찍부터 아이들에게 복종을 길들인다. 문제는 이런 버릇이 때때로 맹목적인 복종을 불러일으켜 이차 대전 중의 나치 독일의 유태인 대학살이나 월남전에서 미라이 학살과 같은 불상사를 내는 것이다.
순종은 비슷한 지위에 있는 사람에게 어떤 부탁을 하는 경우, 약하거나 불방한 사람이 도울 능력이 있는 사람에게 구조를 요청하는 경우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일어나는 순종 행위는 대개 남을 도와주는 행동의 성격을 띄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남을 돕는 행위는 순종하는 사람에게 이익이 있을수록, 그리고 돌아가는 손해가 적을수록, 더욱 잘 일어날 것이다. 남의 요청을 들어 주면서 그 사람이 얻을 수 있는 이익으로는 첫째로 남의 신뢰와 사랑, 둘째로 물질적 보상, 셋째로 남을 도왔다는 자긍심, 넷째로 도움을 거절할 때 생길 비난과 죄책감으로부터의 해방, 다섯째로 처벌로부터의 회피를 들 수 있다. 보상과 처벌은 요청을 하는 사람 쪽에서 그런 가능성을 제시할 때에만 해당된다. 요청을 들어 주는 과정에서 들어 주는 사람이 입을 수 있는 손해는 첫째로 실수를 함으로써 겪는 창피감, 둘째로 비합법성 때문에 남으로부터 받는 비난, 셋째로 물질적, 시간적 손실, 넷째로 지식을 제공할 때 상대적 우위의 손실, 다섯째로 노력 등을 들 수 있다.
순종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죄책감이 있는데 죄책감에 빠져 있는 사람이 그렇지 않는 사람보다 더 잘 순종한다. 또 남에게 부탁할 때 처음부터 큰 부탁을 하는 것보다는 작은 부탁부터 시작해서 큰 부탁을 뒤에 하는 것이 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전자의 경우에는 부탁을 들어 주지 않았을 때 생길 죄책감이 이미 있을 때 훨씬 커질 것이기 때문이고, 후자는 무엇보다도 순종의 부담감을 줄이기 때문에 일어났다고 볼 수 있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이상심리학 - V. Mark Durand, David H. Barlow 저 / 정경미 외 5명 역 / 사회평론아카데미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지심리학 / 하코다 유지, 츠즈키 타카시 외 2명 저 / 한국뇌기반교육연구소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6.03
  • 저작시기201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13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