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장애인 이동권의 개념정의
3. 국내와 해외의 장애인 이동권 보장 정책 비교
4. 장애인 이동권 보장 실태와 문제점
2. 장애인 이동권의 개념정의
3. 국내와 해외의 장애인 이동권 보장 정책 비교
4. 장애인 이동권 보장 실태와 문제점
본문내용
끊이지 않는 안전사고
2001년 1월22일 오전 11시경 지하철 4호선 오이도역 수직형 리프트(로우프식)가 끊어지면서 7m 아래로 추락, 리프트에 타고 있던 박소엽(여, 71, 지체장애 3급) 씨가 사망하고 고재영(남, 71세) 씨가 중상을 입는 참사가 발생했다. (오마이뉴스 2002년 5월 23일 기사)
이 사건을 계기로 ‘장애인 이동권 쟁취를 위한 연대회의’가 발족
이후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관심이 고취되었다
2001년 1월22일 오전 11시경 지하철 4호선 오이도역 수직형 리프트(로우프식)가 끊어지면서 7m 아래로 추락, 리프트에 타고 있던 박소엽(여, 71, 지체장애 3급) 씨가 사망하고 고재영(남, 71세) 씨가 중상을 입는 참사가 발생했다. (오마이뉴스 2002년 5월 23일 기사)
이 사건을 계기로 ‘장애인 이동권 쟁취를 위한 연대회의’가 발족
이후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관심이 고취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