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상의 신을 계승하는 것, 가족 경제를 유지 번영시키는 것, 아들을 획득하는 것이었다. 전통가족의 특징은 가부장의 절대적 권한, 여성의 낮은 지위, 여자 특히 아버지와 장남과의 관계 중심, 효사상의 실천, 부부간의 거리감, 축첩, 가족 내에서의 세대와 성과 출생 순에 따른 엄격한 서열제도, 강한 친족의식 등이다.
한마디로 전통가족은 웃어른 중심, 남성 중심이었다. 또한 전통사회의 구성원들은 부모가 생존하는 한 심리적인 면에서 아이의 위치에서 살았다. 전통사회의 이성들은 심한 심리적 육체적 어려움에 대한 심리적 지지를 아들에 대한 기대, 잡신의 숭상, 무당 방문, 또는 들에서 다른 여성들과 함께 민요(民謠)를 부르는 데서 받았다. 이들이 무당 앞에서 집단 춤을 춘다든가 들에서 함께 노래를 부르는 것은 일종의 집단 치료적 양상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한국가족의 전통적 형태인 가부장제의 특징은 남녀불평등 형제서열의 차등, 어른과 자녀의 위계질서, 산업화 가족형(핵가족) 추세와는 다른 직계 가족형을 지지함으로써 현대의 젊은이들이 추구하는 개인주의 평등주의 합리주의 개방주의 등의 가치와는 간격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가부장제는 인격적 제도적인 면에서 여성을 예속함으로써 여성의 비인간화 현상을 강조하며, 가정 내에서의 부부 불평등 역할 모델은 자녀의 사회화에 영향을 주어 결국 비민주적 가정에서 성장하게 하고, 민주시민으로서의 훈련이 미약한 성인을 산출하게 된다. 이러한 영향으로 한국의 가정뿐만 아니라 사회에서도 남녀노소 사이에 이중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의 공적 업무가 때로는 가족주의적 사적 가치에 의해 공정성을 잃는 일도 있으며, 사회적 관계망은 지연, 혈연, 학연의 울타리에 의해 움직이는 면이 많아 개방적이고 합리적이며 공리적인 원칙에 의한 사회질서 수립에 큰 장애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한마디로 전통가족은 웃어른 중심, 남성 중심이었다. 또한 전통사회의 구성원들은 부모가 생존하는 한 심리적인 면에서 아이의 위치에서 살았다. 전통사회의 이성들은 심한 심리적 육체적 어려움에 대한 심리적 지지를 아들에 대한 기대, 잡신의 숭상, 무당 방문, 또는 들에서 다른 여성들과 함께 민요(民謠)를 부르는 데서 받았다. 이들이 무당 앞에서 집단 춤을 춘다든가 들에서 함께 노래를 부르는 것은 일종의 집단 치료적 양상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한국가족의 전통적 형태인 가부장제의 특징은 남녀불평등 형제서열의 차등, 어른과 자녀의 위계질서, 산업화 가족형(핵가족) 추세와는 다른 직계 가족형을 지지함으로써 현대의 젊은이들이 추구하는 개인주의 평등주의 합리주의 개방주의 등의 가치와는 간격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가부장제는 인격적 제도적인 면에서 여성을 예속함으로써 여성의 비인간화 현상을 강조하며, 가정 내에서의 부부 불평등 역할 모델은 자녀의 사회화에 영향을 주어 결국 비민주적 가정에서 성장하게 하고, 민주시민으로서의 훈련이 미약한 성인을 산출하게 된다. 이러한 영향으로 한국의 가정뿐만 아니라 사회에서도 남녀노소 사이에 이중적 가치를 지니며 사회의 공적 업무가 때로는 가족주의적 사적 가치에 의해 공정성을 잃는 일도 있으며, 사회적 관계망은 지연, 혈연, 학연의 울타리에 의해 움직이는 면이 많아 개방적이고 합리적이며 공리적인 원칙에 의한 사회질서 수립에 큰 장애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