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글로벌재무의 특징(글로벌기업 재무관리, 재무활동의 특징)
I. 다원적 자금조달의 원천과 선택기준
1. 현지외부자금(좌하)
2. 현지내부자금(좌상)
3. 외국외부자금(우하)
4. 외국내부자금(우상)
II. 다면적인 기업 내 재무링크
III. 트랜스퍼 가격결정
* 참고문헌
I. 다원적 자금조달의 원천과 선택기준
1. 현지외부자금(좌하)
2. 현지내부자금(좌상)
3. 외국외부자금(우하)
4. 외국내부자금(우상)
II. 다면적인 기업 내 재무링크
III. 트랜스퍼 가격결정
*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 보다 적극적으로 트랜스퍼 가격설정이나 헤지(hedge), 국제투기의 자금원으로서 활용된다.
II. 다면적인 기업내 재무 링크
글로벌기업이 기업에서 서로 트랜스퍼하는 현금항목과 그 재무 링크는 아래의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극히 다면적이다.
<그림> 글로벌기업의 기업 내 재무링크
또한 아래의 그림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회사 수의 증가에 따라 기업 내에서 필요한 현금의 흐름을 자사 내에서 흐르게 하기 위한 명목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그림> 기업 내 재무링크수가 재무시스템에 주는 효과
따라서 기업의 글로벌화 동기를 재무의 측면에서 설명하면 마치 이 같은 메커니즘의 활용에 따른 세계적 규모에서의 기업 내 자금최적배분과 이윤의 극대화에 있다고 할 수 있다.
III. 트련스퍼 가격설정
트랜스퍼 가격(transfer price : 이전가격)은 글로벌기업이 기업 내 거래에 대해서 설정할 가격이다. 글로벌기업은 세계적 규모의 관리시스템을 구사해서 기업 내에서 상호간에 원료 부품 제품의 판매 각종 서비스의 제공이라는 상호지원활동은 전개하지만 그때 선정된 가격은 독립된 기업 간의 거래에서 설정된 시장가격과는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기업 내 트랜스퍼가격 조작을 하는 주된 목적은 아래의 두 가지 점으로 집약된다.
첫째, 시스템 전체에서 경영자원을 최적배분하고, 장기이윤의 최대화를 꾀한다.
둘째, 자회사의 이익 성과를 측정하는 기준을 제공한다.
단지, 그 외에도 신장규모의 확장, 경쟁력의 증가,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 달성, 내외정부에 의한 규제완화 등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절세, 환차손의 극소화, 신규 자회사나 적자 자회사에의 자금 원조, 이윤 폭 조정, 합자기업으로부터의 이윤 도피, 관세 비관세 장벽의 회피 등이 동기로서 열거된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II. 다면적인 기업내 재무 링크
글로벌기업이 기업에서 서로 트랜스퍼하는 현금항목과 그 재무 링크는 아래의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극히 다면적이다.
<그림> 글로벌기업의 기업 내 재무링크
또한 아래의 그림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회사 수의 증가에 따라 기업 내에서 필요한 현금의 흐름을 자사 내에서 흐르게 하기 위한 명목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그림> 기업 내 재무링크수가 재무시스템에 주는 효과
따라서 기업의 글로벌화 동기를 재무의 측면에서 설명하면 마치 이 같은 메커니즘의 활용에 따른 세계적 규모에서의 기업 내 자금최적배분과 이윤의 극대화에 있다고 할 수 있다.
III. 트련스퍼 가격설정
트랜스퍼 가격(transfer price : 이전가격)은 글로벌기업이 기업 내 거래에 대해서 설정할 가격이다. 글로벌기업은 세계적 규모의 관리시스템을 구사해서 기업 내에서 상호간에 원료 부품 제품의 판매 각종 서비스의 제공이라는 상호지원활동은 전개하지만 그때 선정된 가격은 독립된 기업 간의 거래에서 설정된 시장가격과는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기업 내 트랜스퍼가격 조작을 하는 주된 목적은 아래의 두 가지 점으로 집약된다.
첫째, 시스템 전체에서 경영자원을 최적배분하고, 장기이윤의 최대화를 꾀한다.
둘째, 자회사의 이익 성과를 측정하는 기준을 제공한다.
단지, 그 외에도 신장규모의 확장, 경쟁력의 증가,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 달성, 내외정부에 의한 규제완화 등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절세, 환차손의 극소화, 신규 자회사나 적자 자회사에의 자금 원조, 이윤 폭 조정, 합자기업으로부터의 이윤 도피, 관세 비관세 장벽의 회피 등이 동기로서 열거된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추천자료
국제 마케팅 전략의 모든것(A+받았슴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국제화 전략
기업의 자금조달 ‘신디케이티드 론(Syndicated Loan)’ 이란 무엇인가? (별첨, 표를 통해 본 ...
[국제금융]국제금융시장의 흐름, 국제금융시장에 대한 개관, 국제금융의 순기능과 역기능, 국...
대구은행 재무분석 및 스왓분석, 기업분석, 나아갈 방향
[환위험 관리] 환노출의 유형과 환산노출의 측정, 환위험의 관리
관리자에게 필요한 효과적인 경영기법을 열거하고 특징을 설명하시오. - 아웃소싱, 스피드경...
[기업][기업 패러다임][기업 위기][기업 부실예측][기업 생존][기업 개혁][지속가능발전][글...
[기업][기업관리][기업경영][기업공시][기업커뮤니케이션][기업시스템][기업운영][기업자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