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자별 활력징후(사례포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상자별 활력징후(사례포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오른쪽 팔로 맥박을 재야 한다.
: 맥박을 잴 때 동시에 호흡도 함께 재야 한다. (흉부로 확인한다.)
: 2,3번째 손가락 끝을 대상자의 요골동맥 위에 대고 맥박을 확인 한 다음에, 손가락에 살짝 힘을 주어 동맥을 누른다.
호흡 : 성인 정상호흡수는 분당 12~20회로 환자의 호흡 곤란 정도를 사정하기 위해서 1분의 호흡 수를 측정
: 무기폐는 통증조절을 하고 심호흡, 기침을 하여 분비물을 잘 뱉도록 해야한 다.
: 호흡수, 깊이, 리듬, 호흡음의 특성을 사정하고 대상자가 의식하지 못하게 측 정 (흉부로 확인한다.)
: 호흡의 깊이를 관찰할 때 흉벽의 움직임을 깊게, 정상적, 얕게로 기술
혈압 : 정상 성인의 평균혈압 120/80mmHg
: 무기폐의 증상으로는 혈압이 하강할 수 있으므로 혈압을 잘 체크해주어야 한다.
: 측정부위는 거의 상박 측정을 하지만 우측유방절제술 시행했으므로
오른쪽팔 또는 대퇴혈압을 측정(좌측팔금지)
(상황 2)
심부전으로 디곡신을 투약받고 있는 80세 박OO씨는 몇 일 전 심한 기침과 가래, 고열 증상이 있어 병원을 내원했다가 급성 폐렴을 진단받았다.
평소 청력 장애가 심해 양측 귀에 보청기를 착용하고 있는 박씨의 활력징후 측정시 주의깊게 사정해야 할 부분을 말하고 활력징후를 측정 기록하시오.
체온 : 정상은 36~37℃
: 측정 전 보청기를 제거 후 고막체온계로 잰다.
: 탐침커버 씌우거나 소독솜으로 탐침 끝부분닦고 사용 (접근용이&매우 빠름)
: 성인은 후상방으로 당겨 이도를 곧게 펴서 고막체온계를 삽입한다.
: 심질환이 있을때는 미주신경을 건드릴수 있기 때문에 직장을 통해서는 체온 을 잴 수 없다.
맥박 : 1분에 정상인의 맥박수는 60-100회로 환자의 비정상징후를 사정하기 위해서 1분의 맥박 수를 측정
: 부위 - 매일 요골동맥과 경동맥에서 맥박을 잴 것
: 심부전이 있고 디곡신을 투여할 경우 서맥이 나타날 수 있다.
: 맥박이 60회 미만인 경우 디곡신을 투여하지 못하므로 맥박을 주의깊게 관 찰 해야한다.
: 맥박이 60회 미만인 경우 디곡신 투여 중단하고 의료인에게 알려야 한다.
: 디곡신 투약하기 전, 심첨박동의 수, 리듬, 질을 주시하면서 1분 동안
심첨맥박을 측정한다.
: 심첨맥박은 흉골체와 흉골병 사이의 좌측 중앙 쇄골선과 5번째 늑간 이 만나는 지점이 최대박동점이며, 이 부위에 청진기를 대어 심첨맥 박을 듣는다.
호흡 : 성인 정상호흡수는 분당 12~20회이다.
: 호흡수, 깊이, 리듬, 호흡음의 특성을 사정하고 대상자가 의식하지 못하게 측정 (흉벽의 움직임을 관찰)
: 기도개방 유지불능, 비효율적 호흡양상, 가스교환 장애가 있는지 간호과정을 이해해야 한다.
: 기침 및 가래가 심할 시 호흡장애가 올 수 있으므로 주의깊게 관찰해야 한 다.
혈압 : 정상 성인의 평균혈압 120/80mmHg
: 심장질환이나 혈압에 이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상지와 하지의 혈압을 비교 해야 한다.
: 하지의 수축기 혈압은 상지보다 수축기압이 10~40mmHg 높다.
: 디곡신은 혈압을 올리기

키워드

대상자별,   활력징후,   사례,   노인,   성인,   유아,   맥박,   호흡,   체온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6.22
  • 저작시기201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3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