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오른쪽 팔로 맥박을 재야 한다.
: 맥박을 잴 때 동시에 호흡도 함께 재야 한다. (흉부로 확인한다.)
: 2,3번째 손가락 끝을 대상자의 요골동맥 위에 대고 맥박을 확인 한 다음에, 손가락에 살짝 힘을 주어 동맥을 누른다.
호흡 : 성인 정상호흡수는 분당 12~20회로 환자의 호흡 곤란 정도를 사정하기 위해서 1분의 호흡 수를 측정
: 무기폐는 통증조절을 하고 심호흡, 기침을 하여 분비물을 잘 뱉도록 해야한 다.
: 호흡수, 깊이, 리듬, 호흡음의 특성을 사정하고 대상자가 의식하지 못하게 측 정 (흉부로 확인한다.)
: 호흡의 깊이를 관찰할 때 흉벽의 움직임을 깊게, 정상적, 얕게로 기술
혈압 : 정상 성인의 평균혈압 120/80mmHg
: 무기폐의 증상으로는 혈압이 하강할 수 있으므로 혈압을 잘 체크해주어야 한다.
: 측정부위는 거의 상박 측정을 하지만 우측유방절제술 시행했으므로
오른쪽팔 또는 대퇴혈압을 측정(좌측팔금지)
(상황 2)
심부전으로 디곡신을 투약받고 있는 80세 박OO씨는 몇 일 전 심한 기침과 가래, 고열 증상이 있어 병원을 내원했다가 급성 폐렴을 진단받았다.
평소 청력 장애가 심해 양측 귀에 보청기를 착용하고 있는 박씨의 활력징후 측정시 주의깊게 사정해야 할 부분을 말하고 활력징후를 측정 기록하시오.
체온 : 정상은 36~37℃
: 측정 전 보청기를 제거 후 고막체온계로 잰다.
: 탐침커버 씌우거나 소독솜으로 탐침 끝부분닦고 사용 (접근용이&매우 빠름)
: 성인은 후상방으로 당겨 이도를 곧게 펴서 고막체온계를 삽입한다.
: 심질환이 있을때는 미주신경을 건드릴수 있기 때문에 직장을 통해서는 체온 을 잴 수 없다.
맥박 : 1분에 정상인의 맥박수는 60-100회로 환자의 비정상징후를 사정하기 위해서 1분의 맥박 수를 측정
: 부위 - 매일 요골동맥과 경동맥에서 맥박을 잴 것
: 심부전이 있고 디곡신을 투여할 경우 서맥이 나타날 수 있다.
: 맥박이 60회 미만인 경우 디곡신을 투여하지 못하므로 맥박을 주의깊게 관 찰 해야한다.
: 맥박이 60회 미만인 경우 디곡신 투여 중단하고 의료인에게 알려야 한다.
: 디곡신 투약하기 전, 심첨박동의 수, 리듬, 질을 주시하면서 1분 동안
심첨맥박을 측정한다.
: 심첨맥박은 흉골체와 흉골병 사이의 좌측 중앙 쇄골선과 5번째 늑간 이 만나는 지점이 최대박동점이며, 이 부위에 청진기를 대어 심첨맥 박을 듣는다.
호흡 : 성인 정상호흡수는 분당 12~20회이다.
: 호흡수, 깊이, 리듬, 호흡음의 특성을 사정하고 대상자가 의식하지 못하게 측정 (흉벽의 움직임을 관찰)
: 기도개방 유지불능, 비효율적 호흡양상, 가스교환 장애가 있는지 간호과정을 이해해야 한다.
: 기침 및 가래가 심할 시 호흡장애가 올 수 있으므로 주의깊게 관찰해야 한 다.
혈압 : 정상 성인의 평균혈압 120/80mmHg
: 심장질환이나 혈압에 이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상지와 하지의 혈압을 비교 해야 한다.
: 하지의 수축기 혈압은 상지보다 수축기압이 10~40mmHg 높다.
: 디곡신은 혈압을 올리기
: 맥박을 잴 때 동시에 호흡도 함께 재야 한다. (흉부로 확인한다.)
: 2,3번째 손가락 끝을 대상자의 요골동맥 위에 대고 맥박을 확인 한 다음에, 손가락에 살짝 힘을 주어 동맥을 누른다.
호흡 : 성인 정상호흡수는 분당 12~20회로 환자의 호흡 곤란 정도를 사정하기 위해서 1분의 호흡 수를 측정
: 무기폐는 통증조절을 하고 심호흡, 기침을 하여 분비물을 잘 뱉도록 해야한 다.
: 호흡수, 깊이, 리듬, 호흡음의 특성을 사정하고 대상자가 의식하지 못하게 측 정 (흉부로 확인한다.)
: 호흡의 깊이를 관찰할 때 흉벽의 움직임을 깊게, 정상적, 얕게로 기술
혈압 : 정상 성인의 평균혈압 120/80mmHg
: 무기폐의 증상으로는 혈압이 하강할 수 있으므로 혈압을 잘 체크해주어야 한다.
: 측정부위는 거의 상박 측정을 하지만 우측유방절제술 시행했으므로
오른쪽팔 또는 대퇴혈압을 측정(좌측팔금지)
(상황 2)
심부전으로 디곡신을 투약받고 있는 80세 박OO씨는 몇 일 전 심한 기침과 가래, 고열 증상이 있어 병원을 내원했다가 급성 폐렴을 진단받았다.
평소 청력 장애가 심해 양측 귀에 보청기를 착용하고 있는 박씨의 활력징후 측정시 주의깊게 사정해야 할 부분을 말하고 활력징후를 측정 기록하시오.
체온 : 정상은 36~37℃
: 측정 전 보청기를 제거 후 고막체온계로 잰다.
: 탐침커버 씌우거나 소독솜으로 탐침 끝부분닦고 사용 (접근용이&매우 빠름)
: 성인은 후상방으로 당겨 이도를 곧게 펴서 고막체온계를 삽입한다.
: 심질환이 있을때는 미주신경을 건드릴수 있기 때문에 직장을 통해서는 체온 을 잴 수 없다.
맥박 : 1분에 정상인의 맥박수는 60-100회로 환자의 비정상징후를 사정하기 위해서 1분의 맥박 수를 측정
: 부위 - 매일 요골동맥과 경동맥에서 맥박을 잴 것
: 심부전이 있고 디곡신을 투여할 경우 서맥이 나타날 수 있다.
: 맥박이 60회 미만인 경우 디곡신을 투여하지 못하므로 맥박을 주의깊게 관 찰 해야한다.
: 맥박이 60회 미만인 경우 디곡신 투여 중단하고 의료인에게 알려야 한다.
: 디곡신 투약하기 전, 심첨박동의 수, 리듬, 질을 주시하면서 1분 동안
심첨맥박을 측정한다.
: 심첨맥박은 흉골체와 흉골병 사이의 좌측 중앙 쇄골선과 5번째 늑간 이 만나는 지점이 최대박동점이며, 이 부위에 청진기를 대어 심첨맥 박을 듣는다.
호흡 : 성인 정상호흡수는 분당 12~20회이다.
: 호흡수, 깊이, 리듬, 호흡음의 특성을 사정하고 대상자가 의식하지 못하게 측정 (흉벽의 움직임을 관찰)
: 기도개방 유지불능, 비효율적 호흡양상, 가스교환 장애가 있는지 간호과정을 이해해야 한다.
: 기침 및 가래가 심할 시 호흡장애가 올 수 있으므로 주의깊게 관찰해야 한 다.
혈압 : 정상 성인의 평균혈압 120/80mmHg
: 심장질환이나 혈압에 이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상지와 하지의 혈압을 비교 해야 한다.
: 하지의 수축기 혈압은 상지보다 수축기압이 10~40mmHg 높다.
: 디곡신은 혈압을 올리기
추천자료
골관절염사례연구
아동간호사례연구 - 세기관지염 bronchiolitis, 칸디다성 구내염 candidal stomatitis
내과_실습_일지
[전후간호, 제왕절개수술 전후간호, 안수술 전후간호, 뇌수술 전후간호, 흉곽수술 전후간호, ...
[성인간호학][ESRD][만성신부전][말기신장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End-stage rena...
뇌출혈 케이스스터디 신경외과케이스스터디 경막외출혈 케이스 문헌고찰 뇌출혈간호과정 뇌출...
방통대 간호학과 3학년 고위험모아간호학 과제물] 고위험 신생아의 고빌리루빈 혈증에 대한 ...
[성인 케이스 case study] 장폐색 (ileus) 사례보고서 - 진단명 : paralytic ileus, small bo...
Pneumonia 폐렴케이스 스터디(폐렴케이스, 폐렴간호과정, 폐렴, 폐렴 사례연구, 폐렴실습, 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