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최선의 친애와 열등한 친애
1) 최선의 친애
- 각자가 상대방에게서 자기가 주는 것과 같거나 비슷한 혜택을 받는데, 이는 친구들 사이에서는 당연한 일임.
(쾌락을 위한 친애는 이런 점에서 비슷함)
- 좋은 사람들의 우애만이 중상모략을 막아줌.
- 오랜 기간 검증된 사람에 대해 남들이 비난하는 말을 믿기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
2) 열등한 우애
- 혜택을 오래 받을 때 특히 오래 감. 젊음이 시들면 친애도 시듦. (하지만 상대방의 성격을 좋아하게 되면, 여전히 친구로 남는 경우도 허다함.)
- 이익을 교환하는 경우, 우애의 강도는 낮고 그다지 오래가지도 못함.
- 쾌락과 유용성이 목적이라면 어떤 성격의 소유자 사이에서도 친애는 가능함.
=> 인간 자체를 위해서는 오직 선한 사람들만이 친구가 될 수 있음.
(나쁜 사람들은 어떤 이득이 생기지 않으면 남과 함께하는 것이 즐겁지 않기 때문)
5. 품성상태로서의 친애
1) 공간적 거리가 있다고 해서 친애가 무조건 소멸되는 것이 아니고, 활동만이 소멸되는 것임. but, 서로 떨어져 있긴 기간이 오래되면, 친애의 감정을 잊기 쉬움. => “몸이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진다.”
2) 자신에게 괴로움을 주는 사람이나 즐거움을 주지 않는 사람과 함께 시간을 보낼 수는 없음. 자연 본성임.
3) 서로를 받아들이지만 함께 살지는 않는 사람들은 친구라기 보다 우호적인 사람임. 함께 생활하는 것만큼 친구를 친구답게 만드는 것은 없음. 지극히 복된 사람은 함께 보내는 시간 추구.
4) 선한 사람들의 친애가 최고의 친애.
5) 애정은 감정이지만 친애는 품성상태. 애정은 무생물에 대해서도 느낄 수 있음. 서로 간의 애정은 서로 간의 호의적 선택(성품의 상태에 기초하는)이 있어야 함.
6) 친구를 사랑함으로써 그들 자신에게의 선을 사랑하는 것. 선한 사람의 친구가 되는 것은 본인에게도 선이 됨.
=> ‘친애의 균등(선의와 유쾌함이 균등하게 있는 이상적인 친애)’는 선한 사람들의 친애에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남.
6. 친애의 특징
- 성미마른 사람들이나 노인들 사이에는 친애가 쉽사리 생기지 않음.
1) 많은 사람들과 동시에 연애를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처럼, 많은 사람들과 완전한 친애를 갖는 일도 불가능함.
2) 많은 사람을 경험하고 친숙한 만남을 거듭할 필요가 있지만 정말 어려운 일임.
-> 유익함이나 쾌락을 위해 많은 사람이 한 사람을 기쁘게 하는 것은 가능. 짧은 시간으로도 충분..
3) 쾌락(기쁨)을 이유로 성립하는 것이 친애와 더 닮아 있음. 이러한 친애에는 자유인 다운 특징이 더 많지만 반면에 유익을 이유로 성립하는 친애는 장사꾼 같은 특징을 가진 것
4) 권위 있는 자리에 있는 사람들은 친구를 잘 나누는 것 같음. 어떤이가 유익하고, 어떤이가 유쾌한지. 이 둘을 모두 겸비한 사람은 거의 없음. 선한 사람은 이 둘을 겸비한 사람임. 이러한 사람은 자신보다 지위가 높은 사람이 덕에 있어서 자신보다 우월하지 않는 한 친구가 되려 하지 않음.
=> 지금까지 언급된 친애들은 동등성에서 성립하는 것. 친구란 같은 것을 원하고, 같은 것을 얻으며, 같은 것을 나누는 사람이기 때문. ex) 친구와 유용성과 쾌락을 나누는 것.
7. 우월성(불평등)에 기초한 친애
1) 친애의 다른 종류는 우월성(불평등)에 기초한 것. 각자의 탁월성과 해야할 기능이 서로 다르며 서로 사랑하는 이유도 다름. ex) 아들에 대한 아버지의 친애, 일반적으로 아랫사람을 향한 윗사람의 친애, 일반적으로 피지배자를 향한 지배자의 친애, 아내에 대한 남편의 친애 등
=> 이러한 사랑, 친애는 저마다의 덕과 기능이 서로 다르며 또 그들이 사랑하는 까닭도 다름. -> 어느 경우에서든지 상대방에게서 얻는 양이 서로 같지도 않으며 같은 것을 얻으려고 해도 안됨. ex) 자식들은 나아준 부모에게 해야 할 의무를 다하며, 부모는 부모대로 자식들에게 해야할 의무를 다할 때, 부자간의 친애는 영속적이고 훌륭한 것이다.
불평등에 입각한 모든 친애에 있어서는 애정 역시 비례적으로 보상되어야만 함. 더 훌륭한 사람이 그가 사랑하는 상대에게서 더 큰 사랑을 받아야함. 애정에 참여하는 대상들의 가치에 따라 애정이 비레하게 되면 어떤 의미의 동등성이 생김. => 친애의 특징
2) 친애에서의 동등성은 정의와 같은 방식으로 성립되지 않음.
정의의 동등성 1차적 : 가치에 비례, 2차적 : 양적인 동등성
친애의 동등성 1차적 : 양적인 동등성, 2차적 : 가치에 비례
=> 동등성은 악덕, 부 이외의 어떤 것과 간련하여 그 둘 사이에 큰 거리가 있을 때 중요성이 더욱 도드라짐.
ex) 동등성이 없다면 친구 관계를 끊으며 친구가 될 것을 기대조차 하지 않을 것임. 신들의 경우 모든 선한 것들에 있어서 우리보다 능가하기 때문에 이러한 것이 가장 잘 나타남. 군주의 경우 지위가 낮은 사람들은 군주와 친구가 될 것을 기대하지 않고, 변변치 못한 사람들은 아주 선한 사람들이나 아주 형면한 사람들과 친구가 될 것을 기대하지 않음 -> 어느 한도까지 친구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가를 정확하게 규정하는 것이 어려움.
3) ‘사람들은 그들의 친구들이 선들 가운데 최고의 선인 신이 되는 것은 왜 바라지 않는가?’
-> 이렇게 되는 날에는 그들의 친구들은 더 이상 친구가 되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선을 잃게 될 것이기 때문.
=> 사람은 그 친구가 인간으로 머물러 있는 한 그 친구에게 최고의 선이 있기를 원함. 어쩌면 최고의 선 모두를 원하지 않을지도 모름. 사람은 누구보다 자기 자신을 위하여 선을 원함.
8. 사랑하는 것과 사랑받는 것
1) 다중은 명예욕 때문에 사랑 받기를 더 바라는 것 같음. 아첨꾼이 많음. 아첨꾼: ‘상대방보다 낮은 지위이거나 낮은 지위인 척하면서 자기가 사랑받는 이상으로 상대방에게 사랑을 주는 척 하는 사람’
사랑 받는 것 => 존경을 받는 것과 비슷해보임, 누구나가 바라는 것.
2) 명예를 좋아하는 것은 명예 그 자체 때문이 아니라 따르는 부수적인 것을 좋아하기 때문.
ex) 사람들이 권위있는 자리에 있는 사람들로부터 존경받기를 좋아하는 것은 여러 가지 생각이 옳다고 인정받기를 기대하기
1) 최선의 친애
- 각자가 상대방에게서 자기가 주는 것과 같거나 비슷한 혜택을 받는데, 이는 친구들 사이에서는 당연한 일임.
(쾌락을 위한 친애는 이런 점에서 비슷함)
- 좋은 사람들의 우애만이 중상모략을 막아줌.
- 오랜 기간 검증된 사람에 대해 남들이 비난하는 말을 믿기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
2) 열등한 우애
- 혜택을 오래 받을 때 특히 오래 감. 젊음이 시들면 친애도 시듦. (하지만 상대방의 성격을 좋아하게 되면, 여전히 친구로 남는 경우도 허다함.)
- 이익을 교환하는 경우, 우애의 강도는 낮고 그다지 오래가지도 못함.
- 쾌락과 유용성이 목적이라면 어떤 성격의 소유자 사이에서도 친애는 가능함.
=> 인간 자체를 위해서는 오직 선한 사람들만이 친구가 될 수 있음.
(나쁜 사람들은 어떤 이득이 생기지 않으면 남과 함께하는 것이 즐겁지 않기 때문)
5. 품성상태로서의 친애
1) 공간적 거리가 있다고 해서 친애가 무조건 소멸되는 것이 아니고, 활동만이 소멸되는 것임. but, 서로 떨어져 있긴 기간이 오래되면, 친애의 감정을 잊기 쉬움. => “몸이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진다.”
2) 자신에게 괴로움을 주는 사람이나 즐거움을 주지 않는 사람과 함께 시간을 보낼 수는 없음. 자연 본성임.
3) 서로를 받아들이지만 함께 살지는 않는 사람들은 친구라기 보다 우호적인 사람임. 함께 생활하는 것만큼 친구를 친구답게 만드는 것은 없음. 지극히 복된 사람은 함께 보내는 시간 추구.
4) 선한 사람들의 친애가 최고의 친애.
5) 애정은 감정이지만 친애는 품성상태. 애정은 무생물에 대해서도 느낄 수 있음. 서로 간의 애정은 서로 간의 호의적 선택(성품의 상태에 기초하는)이 있어야 함.
6) 친구를 사랑함으로써 그들 자신에게의 선을 사랑하는 것. 선한 사람의 친구가 되는 것은 본인에게도 선이 됨.
=> ‘친애의 균등(선의와 유쾌함이 균등하게 있는 이상적인 친애)’는 선한 사람들의 친애에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남.
6. 친애의 특징
- 성미마른 사람들이나 노인들 사이에는 친애가 쉽사리 생기지 않음.
1) 많은 사람들과 동시에 연애를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처럼, 많은 사람들과 완전한 친애를 갖는 일도 불가능함.
2) 많은 사람을 경험하고 친숙한 만남을 거듭할 필요가 있지만 정말 어려운 일임.
-> 유익함이나 쾌락을 위해 많은 사람이 한 사람을 기쁘게 하는 것은 가능. 짧은 시간으로도 충분..
3) 쾌락(기쁨)을 이유로 성립하는 것이 친애와 더 닮아 있음. 이러한 친애에는 자유인 다운 특징이 더 많지만 반면에 유익을 이유로 성립하는 친애는 장사꾼 같은 특징을 가진 것
4) 권위 있는 자리에 있는 사람들은 친구를 잘 나누는 것 같음. 어떤이가 유익하고, 어떤이가 유쾌한지. 이 둘을 모두 겸비한 사람은 거의 없음. 선한 사람은 이 둘을 겸비한 사람임. 이러한 사람은 자신보다 지위가 높은 사람이 덕에 있어서 자신보다 우월하지 않는 한 친구가 되려 하지 않음.
=> 지금까지 언급된 친애들은 동등성에서 성립하는 것. 친구란 같은 것을 원하고, 같은 것을 얻으며, 같은 것을 나누는 사람이기 때문. ex) 친구와 유용성과 쾌락을 나누는 것.
7. 우월성(불평등)에 기초한 친애
1) 친애의 다른 종류는 우월성(불평등)에 기초한 것. 각자의 탁월성과 해야할 기능이 서로 다르며 서로 사랑하는 이유도 다름. ex) 아들에 대한 아버지의 친애, 일반적으로 아랫사람을 향한 윗사람의 친애, 일반적으로 피지배자를 향한 지배자의 친애, 아내에 대한 남편의 친애 등
=> 이러한 사랑, 친애는 저마다의 덕과 기능이 서로 다르며 또 그들이 사랑하는 까닭도 다름. -> 어느 경우에서든지 상대방에게서 얻는 양이 서로 같지도 않으며 같은 것을 얻으려고 해도 안됨. ex) 자식들은 나아준 부모에게 해야 할 의무를 다하며, 부모는 부모대로 자식들에게 해야할 의무를 다할 때, 부자간의 친애는 영속적이고 훌륭한 것이다.
불평등에 입각한 모든 친애에 있어서는 애정 역시 비례적으로 보상되어야만 함. 더 훌륭한 사람이 그가 사랑하는 상대에게서 더 큰 사랑을 받아야함. 애정에 참여하는 대상들의 가치에 따라 애정이 비레하게 되면 어떤 의미의 동등성이 생김. => 친애의 특징
2) 친애에서의 동등성은 정의와 같은 방식으로 성립되지 않음.
정의의 동등성 1차적 : 가치에 비례, 2차적 : 양적인 동등성
친애의 동등성 1차적 : 양적인 동등성, 2차적 : 가치에 비례
=> 동등성은 악덕, 부 이외의 어떤 것과 간련하여 그 둘 사이에 큰 거리가 있을 때 중요성이 더욱 도드라짐.
ex) 동등성이 없다면 친구 관계를 끊으며 친구가 될 것을 기대조차 하지 않을 것임. 신들의 경우 모든 선한 것들에 있어서 우리보다 능가하기 때문에 이러한 것이 가장 잘 나타남. 군주의 경우 지위가 낮은 사람들은 군주와 친구가 될 것을 기대하지 않고, 변변치 못한 사람들은 아주 선한 사람들이나 아주 형면한 사람들과 친구가 될 것을 기대하지 않음 -> 어느 한도까지 친구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가를 정확하게 규정하는 것이 어려움.
3) ‘사람들은 그들의 친구들이 선들 가운데 최고의 선인 신이 되는 것은 왜 바라지 않는가?’
-> 이렇게 되는 날에는 그들의 친구들은 더 이상 친구가 되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선을 잃게 될 것이기 때문.
=> 사람은 그 친구가 인간으로 머물러 있는 한 그 친구에게 최고의 선이 있기를 원함. 어쩌면 최고의 선 모두를 원하지 않을지도 모름. 사람은 누구보다 자기 자신을 위하여 선을 원함.
8. 사랑하는 것과 사랑받는 것
1) 다중은 명예욕 때문에 사랑 받기를 더 바라는 것 같음. 아첨꾼이 많음. 아첨꾼: ‘상대방보다 낮은 지위이거나 낮은 지위인 척하면서 자기가 사랑받는 이상으로 상대방에게 사랑을 주는 척 하는 사람’
사랑 받는 것 => 존경을 받는 것과 비슷해보임, 누구나가 바라는 것.
2) 명예를 좋아하는 것은 명예 그 자체 때문이 아니라 따르는 부수적인 것을 좋아하기 때문.
ex) 사람들이 권위있는 자리에 있는 사람들로부터 존경받기를 좋아하는 것은 여러 가지 생각이 옳다고 인정받기를 기대하기
추천자료
니코마코스 윤리학 8권 9권 정리&요약
2009년 1학기 동서양고전 중간시험과제물 E형(니코마코스윤리학)
2007년 1학기 동서양고전 A형(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윤리학을 읽고)
2012년 1학기 동서양고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D형(니코마코스윤리학)
(철학의이해 2E형) 니코마코스윤리학에 대한 발췌요약 및 독후감
[[철학의이해 2E형]] 니코마코스윤리학에 대한 발췌요약 및 독후감
윤리학의 이해,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행복
동서양고전의이해C형 2017-자신의 유형에 속한 책들 중 한 권을 선택하여 읽은 후, 과제를 작...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윤리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