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발췌요약
2. 독후감
-참고문헌
2. 독후감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간은 이성적인 부분뿐 아니라 비이성적인 면도 함께 가지고 있는데 이성적인 면이 욕망이나 충동 과 같은 비이성적인 면을 이겨내 올바른 행동을 하도록 하였을 때 이때의 정신 상태를 ‘덕’ 이라고 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행복을 위하여 제시한 많은 조건들 중에 내가 선택하여 잃게 된 부분은 바로 ‘친애’ 에 관한 이야기 들이다. 친애는 일상적 삶에서 찾을 수 있는 즐거움과 관련한 중용의 품성상태 라고 정의된다. 덧붙여 말하자면 우리가 지닌 모든 품성들이 각각 좋은 상태로 발현되고, 그래서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조화를 이루는 상태의 삶은 가장 좋은 상태의 삶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의 어려운 말들을 빌리지 않더라도 인간이 사회적 본성을 가지고 있는 한 혼자서는 결고 행복해 질 수 없다는 사실은 자명하다. 책을 읽는 동안 나에게 많은 생각거리를 던져준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이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친구는 또 다른 자신’ 이라는 말이었다.
완전히 이해하기는 어려웠으나 아마도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친애에 관한 요점을 한마디로 압축해 놓은 말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들은 서로 좋아서, 나눌 것이 있어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 위해서. 등 수많은 이유로 관계를 맺는다. 그런 과정에서 색다른 사람에게 끌리는 일도 있지만 서로 비슷하고 마음이 맞는 사람과 더 오래 친밀한 관계를 맺는경우가 많은 것 같다. 나와 비슷한 상대방을 좋아하고 편하게 여기는 것은 나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친구는 비단 시간을 함께 보내고 어려움을 나누거나 즐거움을 위한 존재만이 아닌 우리 자신의 자아를 비추는 또 다른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비슷한 친구의 모습을 통하여 내 모습을 고찰하고 그들과의 관계 속에서 새로운 것을 배우고 느끼게 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인간의 관계와 친애란 혼자서 얻을 수 있는 행복이 아닌 또 다른 자신의 모습인 주변사람들에서 찾는 확장된 자아 인 것이다. 몇 천년 이나 떨어진 시간 속의 사상들 이었지만 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인간의 행복과, 또 그것을 통해 더 깊은 자아의 모습을 찾아 근본적인 행복에 조금 더 가까이 가려고 노력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은,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의 삶에도 좋은 지침이 되어 준다는 사실을 알고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시간이 허락한다면 책의 전문을 천천히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며 감상문을 마치려 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행복을 위하여 제시한 많은 조건들 중에 내가 선택하여 잃게 된 부분은 바로 ‘친애’ 에 관한 이야기 들이다. 친애는 일상적 삶에서 찾을 수 있는 즐거움과 관련한 중용의 품성상태 라고 정의된다. 덧붙여 말하자면 우리가 지닌 모든 품성들이 각각 좋은 상태로 발현되고, 그래서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조화를 이루는 상태의 삶은 가장 좋은 상태의 삶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의 어려운 말들을 빌리지 않더라도 인간이 사회적 본성을 가지고 있는 한 혼자서는 결고 행복해 질 수 없다는 사실은 자명하다. 책을 읽는 동안 나에게 많은 생각거리를 던져준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이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친구는 또 다른 자신’ 이라는 말이었다.
완전히 이해하기는 어려웠으나 아마도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친애에 관한 요점을 한마디로 압축해 놓은 말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들은 서로 좋아서, 나눌 것이 있어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 위해서. 등 수많은 이유로 관계를 맺는다. 그런 과정에서 색다른 사람에게 끌리는 일도 있지만 서로 비슷하고 마음이 맞는 사람과 더 오래 친밀한 관계를 맺는경우가 많은 것 같다. 나와 비슷한 상대방을 좋아하고 편하게 여기는 것은 나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친구는 비단 시간을 함께 보내고 어려움을 나누거나 즐거움을 위한 존재만이 아닌 우리 자신의 자아를 비추는 또 다른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비슷한 친구의 모습을 통하여 내 모습을 고찰하고 그들과의 관계 속에서 새로운 것을 배우고 느끼게 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인간의 관계와 친애란 혼자서 얻을 수 있는 행복이 아닌 또 다른 자신의 모습인 주변사람들에서 찾는 확장된 자아 인 것이다. 몇 천년 이나 떨어진 시간 속의 사상들 이었지만 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인간의 행복과, 또 그것을 통해 더 깊은 자아의 모습을 찾아 근본적인 행복에 조금 더 가까이 가려고 노력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은,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의 삶에도 좋은 지침이 되어 준다는 사실을 알고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시간이 허락한다면 책의 전문을 천천히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며 감상문을 마치려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자연관에 대한 동양철학적 이해와 서양철학적 이해 비교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의 이해와 요점정리)
[철학의 이해] [영화감상문-삶의 철학]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철학의 이해 요약 [제1장 철학이란 무엇인가, 제2장 진리란 무엇인가, 제3장 세계란 무엇인가...
과학기술의 철학적 이해 (말라리아 대처의 역사와 과학기술의 철학적 함의 & 침대, 해왕...
철학의 이해(철학이란, 문화와철학, 인간의이해, 논리진리지식, 현실과역사) 이론요점정리
방통대 중간과제 방통대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A형 철학의 개념과 주요문제
방통대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B형 2,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피타고라스’
방통대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B형 서양철학사(렘프레히트)- 제 13장 칸트와 그 후계자들에 있...
방통대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공통유형 서양철학사(렘프레히트) - 9장 17세기 대륙의 철학 데...
2017/유교과/동서양고전의이해/철학,삶을묻다/철학삶을묻다/방송통신대학교/방통대/독후감
철학 독서보고 - ‘철학의 이해’
철학 독서 보고서 - 철학의 이해를 읽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