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니코마코스 윤리학>중 선택한 부분에 대한 요약
Ⅱ. 요약한 부분에 대한 독후감
-참고문헌
Ⅱ. 요약한 부분에 대한 독후감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느낌이 들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평생 읽어보질 못할 책을 이번 기회에 읽어 보았다는 것에 좋은 의미로 두고 싶다.
이 책의 저자 아리스토텔레스는 현실적인 의미의 선, 즉 전체적으로 좋은 삶을 윤리학의 기준으로 삼는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매우 흥미 있는 질문을 던진다. “그렇다면 우리가 추구하는 것의 마지막인 최고의 목적은 과연 존재하는가? 그리고 존재한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이 물음은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윤리학 전체에서 끊임없이 제기된 물음이다. 이 물음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는 일단 최고의 목적을 ‘최고선(最高善)’이라는 단어를 섰다. 즉 최고선을 행복이라고 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인간만의 고유한 기능은 이성 활동이다. 물론 인간에게는 이성 활동 외에 다른 기능도 있다. 그러나 먹고 마시는 영양 섭취의 기능은 동물이나 식물에도 있으며, 감각과 운동 기능 또한 모든 동물에게 있다. 따라서 오직 이성 활동만이 인간의 고유한 기능이다. 그러므로 인간의 행복은 이러한 인간의 고유한 일과 기능인 이성 활동과 그 능력을 완전히 발휘하고 실현하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인간의 행복은 이성 활동에 기반 한 관조하는 생활, 즉 정신 활동에서 얻어진다는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또한 그는 인간이 행복에 다다를 수 있는 길은 덕을 잘 기르는데 있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덕을 갖추기 위해 우리는 어떤 행위를 해야 하며 어떤 감정들을 가져야만 하는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는 유명한 중용의 이론을 내놓는다. 그는 우리 육체의 상태가 “지나침과 모자람에 의해서 파괴되는 본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중용의 이론을 전개한다.
그는 절제, 용기, 우애, 이성, 실천적 지혜 등과 같은 중용의 덕을 추구해가는 과정 속에서 인간이 자신에게 숨겨진 가능성을 무한대로 넓혀갈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실천을 우리에게로 끌어당기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신적인 행복은 이성적인 관조만을 통해 느낄 수 있지만 인간적인 행복은 현실에서 중용을 통해 습득하는 것이라고 보았는데 궁극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가 추구하려 했던 것은 신적인 행복이었으나, 인간 생활 속에서의 실천을 통해서 중용의 덕을 내세우며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최고의 행복을 추구하려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행복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을 따르는 이성의 활동이 완전한 행복임을 우리에게 알려 주고 있다. 즉 자기의 이성에 따라 활동하고 그 이성을 가꾸고 자라게 하는 사람은 최선의 정신 상태에 있는 것으로써 이러한 정신 상태 속에서 인간은 행복하게 된다.
끝으로 , 《니코마코스 윤리학》은 오늘날 사는 우리에게 의미 있는 책이라 생각이 든다. 오늘날 우리 역시 보다 행복한 삶을 원하고 있다. 그런데 행복해지려면 행복에 이르는 올바른 길을 알아야 한다.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길은 가끔 우리를 불행으로 이끌기도 한다. 그렇다면 행복에 이르는 올바른 길은 무엇일까?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이 책의 저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책을 통해 알려 준 게 아닐까 한다.
이 책의 저자 아리스토텔레스는 현실적인 의미의 선, 즉 전체적으로 좋은 삶을 윤리학의 기준으로 삼는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매우 흥미 있는 질문을 던진다. “그렇다면 우리가 추구하는 것의 마지막인 최고의 목적은 과연 존재하는가? 그리고 존재한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이 물음은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윤리학 전체에서 끊임없이 제기된 물음이다. 이 물음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는 일단 최고의 목적을 ‘최고선(最高善)’이라는 단어를 섰다. 즉 최고선을 행복이라고 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인간만의 고유한 기능은 이성 활동이다. 물론 인간에게는 이성 활동 외에 다른 기능도 있다. 그러나 먹고 마시는 영양 섭취의 기능은 동물이나 식물에도 있으며, 감각과 운동 기능 또한 모든 동물에게 있다. 따라서 오직 이성 활동만이 인간의 고유한 기능이다. 그러므로 인간의 행복은 이러한 인간의 고유한 일과 기능인 이성 활동과 그 능력을 완전히 발휘하고 실현하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인간의 행복은 이성 활동에 기반 한 관조하는 생활, 즉 정신 활동에서 얻어진다는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또한 그는 인간이 행복에 다다를 수 있는 길은 덕을 잘 기르는데 있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덕을 갖추기 위해 우리는 어떤 행위를 해야 하며 어떤 감정들을 가져야만 하는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는 유명한 중용의 이론을 내놓는다. 그는 우리 육체의 상태가 “지나침과 모자람에 의해서 파괴되는 본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중용의 이론을 전개한다.
그는 절제, 용기, 우애, 이성, 실천적 지혜 등과 같은 중용의 덕을 추구해가는 과정 속에서 인간이 자신에게 숨겨진 가능성을 무한대로 넓혀갈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실천을 우리에게로 끌어당기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신적인 행복은 이성적인 관조만을 통해 느낄 수 있지만 인간적인 행복은 현실에서 중용을 통해 습득하는 것이라고 보았는데 궁극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가 추구하려 했던 것은 신적인 행복이었으나, 인간 생활 속에서의 실천을 통해서 중용의 덕을 내세우며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최고의 행복을 추구하려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행복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을 따르는 이성의 활동이 완전한 행복임을 우리에게 알려 주고 있다. 즉 자기의 이성에 따라 활동하고 그 이성을 가꾸고 자라게 하는 사람은 최선의 정신 상태에 있는 것으로써 이러한 정신 상태 속에서 인간은 행복하게 된다.
끝으로 , 《니코마코스 윤리학》은 오늘날 사는 우리에게 의미 있는 책이라 생각이 든다. 오늘날 우리 역시 보다 행복한 삶을 원하고 있다. 그런데 행복해지려면 행복에 이르는 올바른 길을 알아야 한다.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길은 가끔 우리를 불행으로 이끌기도 한다. 그렇다면 행복에 이르는 올바른 길은 무엇일까?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이 책의 저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책을 통해 알려 준 게 아닐까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자연관에 대한 동양철학적 이해와 서양철학적 이해 비교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의 이해와 요점정리)
[철학의 이해] [영화감상문-삶의 철학]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철학의 이해 요약 [제1장 철학이란 무엇인가, 제2장 진리란 무엇인가, 제3장 세계란 무엇인가...
과학기술의 철학적 이해 (말라리아 대처의 역사와 과학기술의 철학적 함의 & 침대, 해왕...
철학의 이해(철학이란, 문화와철학, 인간의이해, 논리진리지식, 현실과역사) 이론요점정리
방통대 중간과제 방통대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A형 철학의 개념과 주요문제
방통대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B형 2,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피타고라스’
방통대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B형 서양철학사(렘프레히트)- 제 13장 칸트와 그 후계자들에 있...
방통대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공통유형 서양철학사(렘프레히트) - 9장 17세기 대륙의 철학 데...
2017/유교과/동서양고전의이해/철학,삶을묻다/철학삶을묻다/방송통신대학교/방통대/독후감
철학 독서보고 - ‘철학의 이해’
철학 독서 보고서 - 철학의 이해를 읽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