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RDS 개념, 환아 case, 간호진단
본문내용
상자의 생년월일 : 2014년 7월 20일 (7/22)
대상자의 입원일 : 2014년 7월 22일 (7/22)
Apgar score가 1분 후 2점, 5분 후 5점 (7/22)
출생 시 CPR 시행 함 (7/22)
출생 시 체중 : 1.15kg (VLBW) (7/22)
환아는 출생 후 NICU에서 care 중일 것임 (7/22)
간호 진단
#4. 미숙아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부모역할 장애 위험성
일차적인 돌봄 제공자가 아동의 최적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시키는 환경을 조성, 유지, 회복시켜주지 못할 위험성이 있는 상태
간호 목표
장기
대상자의 부모는 대상자를 위한 가정간호 방법에 대해 세 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단기
대상자의 부모는 2014년 7월 24일까지 미숙아의 정의와 특성 3가지 이상을 말할 수 있다.
대상자의 부모는 2014년 7월 25일까지 미숙아 질병(RDS)의 정의와 특성 3가지 이상을 말할 수 있다.
대상자의 부모는 2014년 7월 26일까지 미숙아에게 제공 되어야 하는 적절한 환경에 대해 3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대상자 부모의 미숙아와 미숙아의 질병(RDS)에 대한 이해 정도를 사정한다.
대상자 부모의 이해 정도에 따라 교육의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대상자 부모의 불안 정도를 사정한다.
대상자 부모의 불안은 부모 역할 수행에 있어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치료적
대상자 부모에게 두려움을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대상자 부모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현재 상태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대상자 부모에게 대상자에 대한 질문의 기회를 제공한다.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 부모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대상자에 대한 긍정적인 관계를 유도할 수 있다.
대상자 부모에게 대상자 간호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대상자에 대한 간호를 직접 제공해 봄으로써 대상자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유도할 수 있다.
교육적
대상자 부모에게 미숙아에 대해 교육한다.
→ 미숙아의 정의, 특징
적절한 정보제공을 통해 불안을 감소시키고 지식수준을 증진할 수 있다.
대상자 부모에게 미숙아의 질병에 대해 교육한다.
→ RDS의 원인, 증상, 치료, 합병증 및 예후, 간호 등
적절한 정보제공을 통해 불안을 감소시키고 지식수준을 증진할 수 있다.
대상자 부모에게 미숙아에 대한 치료 및 간호에 대해 교육한다.
대상자의 부모가 치료 및 간호 과정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대상자와의 관계를 유도한다.
간호
평가
대상자의 부모는 2014년 7월 24일에 미숙아의 정의와 특성 3가지에 대해 말했다. 대상자의 부모는 2014년 7월 25일까지 대상자의 질병의 정의와 특성 4가지를 말했다. 대상자의 부모는 2014년 7월 26일에 대상자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적절한 환경에 대해 5가지 이상 말했다. 대상자의 부모는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가정간호방법에 대해 세 가지 이상 말했다.
#4. 미숙아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부모역할 장애 위험성 (2014/ 7/ 22) *이탤릭체는 가정된 사정 자료임
D. 참고문헌
홍경자 외(2012), 영아와 아동을 위한 아동간호학 1, 서울:수문사, 373p~425p
최순희 외(2013), 제3판 간호과정, 서울:현문사, p295~p423 (NANDA 2009-2011 간호진단목록)
서울대학교병원(2006),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80p~82p
임인석(2008), 한눈에 알 수 있는 소아과학, 서울:이퍼블릭, 44p~45p, 50p~51p
McCloskey&Bulechek 저, 염영희 외 역(1998),간호중재분류(NIC),서울:현문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대상자의 입원일 : 2014년 7월 22일 (7/22)
Apgar score가 1분 후 2점, 5분 후 5점 (7/22)
출생 시 CPR 시행 함 (7/22)
출생 시 체중 : 1.15kg (VLBW) (7/22)
환아는 출생 후 NICU에서 care 중일 것임 (7/22)
간호 진단
#4. 미숙아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부모역할 장애 위험성
일차적인 돌봄 제공자가 아동의 최적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시키는 환경을 조성, 유지, 회복시켜주지 못할 위험성이 있는 상태
간호 목표
장기
대상자의 부모는 대상자를 위한 가정간호 방법에 대해 세 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단기
대상자의 부모는 2014년 7월 24일까지 미숙아의 정의와 특성 3가지 이상을 말할 수 있다.
대상자의 부모는 2014년 7월 25일까지 미숙아 질병(RDS)의 정의와 특성 3가지 이상을 말할 수 있다.
대상자의 부모는 2014년 7월 26일까지 미숙아에게 제공 되어야 하는 적절한 환경에 대해 3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대상자 부모의 미숙아와 미숙아의 질병(RDS)에 대한 이해 정도를 사정한다.
대상자 부모의 이해 정도에 따라 교육의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대상자 부모의 불안 정도를 사정한다.
대상자 부모의 불안은 부모 역할 수행에 있어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치료적
대상자 부모에게 두려움을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대상자 부모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현재 상태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대상자 부모에게 대상자에 대한 질문의 기회를 제공한다.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 부모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대상자에 대한 긍정적인 관계를 유도할 수 있다.
대상자 부모에게 대상자 간호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대상자에 대한 간호를 직접 제공해 봄으로써 대상자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유도할 수 있다.
교육적
대상자 부모에게 미숙아에 대해 교육한다.
→ 미숙아의 정의, 특징
적절한 정보제공을 통해 불안을 감소시키고 지식수준을 증진할 수 있다.
대상자 부모에게 미숙아의 질병에 대해 교육한다.
→ RDS의 원인, 증상, 치료, 합병증 및 예후, 간호 등
적절한 정보제공을 통해 불안을 감소시키고 지식수준을 증진할 수 있다.
대상자 부모에게 미숙아에 대한 치료 및 간호에 대해 교육한다.
대상자의 부모가 치료 및 간호 과정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대상자와의 관계를 유도한다.
간호
평가
대상자의 부모는 2014년 7월 24일에 미숙아의 정의와 특성 3가지에 대해 말했다. 대상자의 부모는 2014년 7월 25일까지 대상자의 질병의 정의와 특성 4가지를 말했다. 대상자의 부모는 2014년 7월 26일에 대상자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적절한 환경에 대해 5가지 이상 말했다. 대상자의 부모는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가정간호방법에 대해 세 가지 이상 말했다.
#4. 미숙아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부모역할 장애 위험성 (2014/ 7/ 22) *이탤릭체는 가정된 사정 자료임
D. 참고문헌
홍경자 외(2012), 영아와 아동을 위한 아동간호학 1, 서울:수문사, 373p~425p
최순희 외(2013), 제3판 간호과정, 서울:현문사, p295~p423 (NANDA 2009-2011 간호진단목록)
서울대학교병원(2006),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80p~82p
임인석(2008), 한눈에 알 수 있는 소아과학, 서울:이퍼블릭, 44p~45p, 50p~51p
McCloskey&Bulechek 저, 염영희 외 역(1998),간호중재분류(NIC),서울:현문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키워드
추천자료
Case Study:심근경색증
미숙아,신생아특발성 호흡곤란 증후군 CASE STUDY
RDS case study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케이스 스터디)
[아동간호학][신생아 RDS][신생아 호흡부전]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학실습]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곤란증후군) 케이스 case study
모성간호학 IIOC STUDY CASE - 자궁목 무력증 ; 자궁경부 무력증 ; 자궁경관 무력증 (Incompe...
간호중재,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 RDS,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진
정신간호학 case study-schizophrenia
NICU RDS cas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