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특성이론(자질론)
II. 행위이론(행동이론)
1. 오하이오대학의 연구
2. 미시간대학의 연구
3. 관리격자이론
* 참고문헌
II. 행위이론(행동이론)
1. 오하이오대학의 연구
2. 미시간대학의 연구
3. 관리격자이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해 개발된 리더십 유형에 관한 2차원의 표를 말한다.
그들은 인간에 대한 관심과 생신(산출)에 대한 관심에 대한 유형에 근거해서 관리격자를 제시하였다.
그런데 본질적으로 배려와 구조주도에 대한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관점과 직원중심과 과업중심에 대한 미시간 대학의 관점을 나타낸다고 보고 있다.
2차원의 표에 묘사된 관리격자는 각 축마다 9개의 위치가 있어서 리더의 유형에 적합한 81개의 다른 위치를 만들어 낸다. 여기서 관리격자는 생산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결과물을 얻어 내는데 관련된 리더의 생각에 있어서 지배적인 요소가 어떠한 것인지를 보여준다. 이 가운데서 기본적인 리더유형 다섯 가지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표와 같다.
<표> 관리격자에 대한 설명
브레이크와 뮤톤은 팀형(9. 9형)의 리더십이 업무수행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이 이론이 실무에 적용되는 것을 보면 다음과 같다. 현재 한 집단 리더의 리더십이 이들이 개발한 설문지에 의해서 조사한 결과(2. 7)로 나타났다고 가정을 한다면, 이 리더는 생산에 대한 관심보다 인간에 대한 관심을 더 두고 있는 리더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리더에게는 여러 가지의 훈련기법을 동원하여 생산에 대한 관심을 높여 가장 이상적인 (9. 9)형의 리더로 만든다는 것이 이 이론의 기본적인 발상이다. 그러나 관리격자는 무엇이 리더를 만드는지에 관한 해답을 제공해 주지는 못하고, 단지 리더십을 개념화하기 위한 뼈대만 제공해준다. (9. 9형)의 팀형이 모든 상황에서 가장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입증할 만한 실질적인 근거는 없다는 지적이다.
* 참고문헌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의 실제 / 이광자 저 / 신광출판사 / 201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인간관계의 기술 / 레스 기블린 저 / 노지양 역 / 미래지식 / 2011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관계 심리학 / 김종운 저 / 학지사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 안효자 저 / 수문사 / 20184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도복늠 저 / 정담미디어 / 2016
그들은 인간에 대한 관심과 생신(산출)에 대한 관심에 대한 유형에 근거해서 관리격자를 제시하였다.
그런데 본질적으로 배려와 구조주도에 대한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관점과 직원중심과 과업중심에 대한 미시간 대학의 관점을 나타낸다고 보고 있다.
2차원의 표에 묘사된 관리격자는 각 축마다 9개의 위치가 있어서 리더의 유형에 적합한 81개의 다른 위치를 만들어 낸다. 여기서 관리격자는 생산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결과물을 얻어 내는데 관련된 리더의 생각에 있어서 지배적인 요소가 어떠한 것인지를 보여준다. 이 가운데서 기본적인 리더유형 다섯 가지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표와 같다.
<표> 관리격자에 대한 설명
브레이크와 뮤톤은 팀형(9. 9형)의 리더십이 업무수행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이 이론이 실무에 적용되는 것을 보면 다음과 같다. 현재 한 집단 리더의 리더십이 이들이 개발한 설문지에 의해서 조사한 결과(2. 7)로 나타났다고 가정을 한다면, 이 리더는 생산에 대한 관심보다 인간에 대한 관심을 더 두고 있는 리더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리더에게는 여러 가지의 훈련기법을 동원하여 생산에 대한 관심을 높여 가장 이상적인 (9. 9)형의 리더로 만든다는 것이 이 이론의 기본적인 발상이다. 그러나 관리격자는 무엇이 리더를 만드는지에 관한 해답을 제공해 주지는 못하고, 단지 리더십을 개념화하기 위한 뼈대만 제공해준다. (9. 9형)의 팀형이 모든 상황에서 가장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입증할 만한 실질적인 근거는 없다는 지적이다.
* 참고문헌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의 실제 / 이광자 저 / 신광출판사 / 201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인간관계의 기술 / 레스 기블린 저 / 노지양 역 / 미래지식 / 2011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관계 심리학 / 김종운 저 / 학지사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 안효자 저 / 수문사 / 20184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도복늠 저 / 정담미디어 / 2016
추천자료
격동기의 여운형의 리더쉽
보편적 리더십 행동이론 연구
[경영이론][조직이론][테일러][페욜][베버][스코트][허즈버그]경영이론, 조직이론(테일러의 ...
[조직행동론]쌍용 제지의 인간존중경영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비교
간호지도자론 2017년] 오하이오주립대학의 리더십연구 기초로하여 자신이속해있는 조직 지도...
[고전문학 교육론] 매체 활용한 수업하기 -사씨남정기-
[리더십] 리더십의 의의 특성이론과 행위이론의 개념을 비교 설명하고 두 이론 중 어떤 이론...
리더십의 특성이론과 행위이론의 개념을 비교 설명하고 두 이론 중 어떤 이론이 더 현실적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