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간호사정
1. 일반적 사항
2. 과거력
3. 현병력
4. 신체사정
5. 영양과 대사양상
6. 생치 및 발치상태(젖니 및 영구치)
7. 배설양상
8. 활동과 휴식양상
9. 역할/관계양상
10. 스트레스 대처능력 : 질병 및 입원에 대한 반응과 적응
11. 인지/지각 양상 : 어린이 질병에 대한 부모의 지식 정도
12.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13. 발달사정
B. 대상자의 의미 있는 진단검사(임상병리, 방사선, 기타검사 등)
C. 대상자의 투약기록지
D. 우선순위에 따른 대상자의 간호문제목록 작성
E. 간호과정 기록지-1, 2
1. 일반적 사항
2. 과거력
3. 현병력
4. 신체사정
5. 영양과 대사양상
6. 생치 및 발치상태(젖니 및 영구치)
7. 배설양상
8. 활동과 휴식양상
9. 역할/관계양상
10. 스트레스 대처능력 : 질병 및 입원에 대한 반응과 적응
11. 인지/지각 양상 : 어린이 질병에 대한 부모의 지식 정도
12.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13. 발달사정
B. 대상자의 의미 있는 진단검사(임상병리, 방사선, 기타검사 등)
C. 대상자의 투약기록지
D. 우선순위에 따른 대상자의 간호문제목록 작성
E. 간호과정 기록지-1, 2
본문내용
38.9
16:00
39.5
5/3
00:00
38.4
02:00
39.2
04:00
38.6
06:00
38.9
지속적인 고열 관찰됨.
홍조, 발한, 식은땀이 관찰됨.
WBC수치 17.55 (정상치: 4.0~10.0 )
해열제로 Aspirin 투여 중임.
질병으로 인한 영양불균형 위험성
4월 27일부터 지속되는 38~39도 발열
(입원 후에도 계속되는 고열)
얼굴홍조, 전신 발진, 딸기모양 혀, 입술의 갈라짐이 관찰됨.
종류
양
빈도
특이반응
밥
성인 공기 1/3 먹음
3회/일
5.3일까지 입원 후 2틀만 밥
죽
성인 공기 1/4 먹음
3회/일
5.4일부터 반찬과 죽
“열이 계속 나니 밥을 영 먹지를 못하네요.”
보호자의 질병과 관련된 지식부족
‘’이렇게 높은데 해열제 좀 주세요“
“왜 어른들이 먹는 아스피린을 먹는거죠?”
2018. 5. 5
2018. 5. 7
2018. 5. 3
D. 우선순위에 따른 대상자의 간호문제목록 작성
사정
(주,객관적)
진단
목표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S
“우리아이가 열이 많이 나는 것 같아요”
“간호사 선생님 아이 체온 좀 재주세요”
“아이가 힘이 없고 자꾸만 보채요..“
O
내원 3일전부터 high fever 양상이 관찰됨.
지속적인 고열 관찰됨.
홍조, 발한, 식은땀이 관찰 됨.
WBC 17.55↑ /ESR 120↑ CRP↑ 15.5 /neutrophil 48.9↓
해열제로 Aspirin 투여 중임.
날짜
T
P
R
BP
5. 2
38.4℃
120
32
100/60
5. 3
38.0℃
135
36
100/70
5. 4
37.8℃
112
32
90/60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단기목표]
환아의 체온이 3일 이내에 38℃ 이하로 유지된다.
[장기목표]
환아는 7일 이내에 고체온의 증상인 발열, 오한, 체온상승이 나타나지 않는다.
①매일 2시간마다 V/S을 측정한다.
5/2
12:00
38.2
13:00
38.1
14:00
37.9
16:00
37.9
18:00
38.4
5/3
12:00
38.2
14:00
38.1
16:00
38.2
18:00
38.0
20:00
38.7
21:00
38.9
-매일 2시간마다 V/S을 측정하고, 체온상승 시 추가적으로 1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함.
②수분섭취의 필요성에 관하여 환아의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③체온상승 시 Tepid massage를 시행한다.
-미온수 마사지 방법 : 수건이나 거즈에 미지근한 물을 적셔 물기가 충분히 있는 상태에서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을 닦아준다. 그 외 등, 허벅지와 같은 신체부위, 이마, 두피 등을 닦아준다. 마사지 시간은 30분이 넘지 않는 것이 좋고 발열이 지속되는 경우 1 ~ 2회 더 실시한다. 미온수 마사지 실시 후 체온을 측정하여 열이 떨어졌는지 확인한다.
④처방된 해열제를 투약하고, 부작용이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덱시부프로펜 : 빈혈, 황달, 천식발작 유발, 두드러기, 가려움증, 이명, 혈압저하, 발열, 비출혈 등 / 데노간주 : 구역, 구토, 식욕부진, 창백, 복부통증
⑤의복과 침구를 건조하게 유지한다.
-의복과 침구가 젖으면 즉시 교환함.
①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하여 전신적인 상태의 변화를 확인해야한다.(기본간호학 하 290p)
② 열이 계속되면 탈수현상이 나타나기 쉬운데 이는 수분부족과 호흡증가로 수분소실이 늘었기 때문에 이시기에는 수분 공급이 필수적이다. (p.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695)
③열을 내리기 위한 환경적 중재는 아동이 그 중재를 견딜 수 있고 오한을 느끼지 않을 경우 사용할 수 있다. 피부에 냉요법을 적용하면 중심온도가 낮아진다. 피부에서 식혀진 혈액은 내부의 기관과 조직에 전도되고 따뜻한 혈액은 다시 표면으로 순환하며 이것은 또 다시 식혀져서 재순환된다.
(아동건강간호학 각론 723p)
④열을 떨어뜨리는 방법에는 약물투여와 환경적 중재 두 가지가 있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기준값을 낮추기 위해 해열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아동건강간호학 각론 722p)
⑤ 대상자의 신체적 안위증진을 위해 깨끗하고 건조하도록 닦아주고 갈아주도록 한다. (기본간호학 수문사 하 p.696)
[단기목표]
환아의 체온이 3일 이내에 38℃ 이하로 유지된다. (미달성)
환아의 체온이 3일 이내인 5/4일까지 38℃이상 보임
[장기목표]
환아는 7일 이내에 고체온의 증상인 발열, 오한, 체온상승이 나타나지 않는다. (달성)
환아는 7일 이내에 고체온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E. 간호과정 기록지-1
E. 간호과정 기록지-2
사정
(주,객관적)
진단
목표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S
“아이가 계속 처치고 누워만 있네요.”
“열이 계속 나니 밥을 영 먹지를 못하네요.”
“싫어”
O
- 4월 29일부터 지속되는 38~39도 발열
(입원 후에도 계속되는 고열)
- 얼굴홍조, 전신 발진, 눈이 충혈되고 딸기모양 혀, 입술의 갈라짐이 관찰됨.
- 홍조, 발한, 식은땀이 관찰됨.
질병으로 인한 영양불균형 위험성
[단기목표]
4일 이내에 환아가 스스로 밥을 먹는다.
[장기목표]
환아가 7일 이내에 밥을 잘 먹는다고 보호자가 말로 표현한다.
①영양에 대한 중요성을 교육하고 맑은 음료와 부드러운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4시간마다 피부상태를 관찰한다.
보호자에게 구강간호를 교육한다.
①영양은 질병에 대한 신체의 감수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왜냐하면 불량한 영양은 감염에 저항하는 신체적 능력을 제한하기 때문이다. (아동간호학 군자출판사 p215)
맑은음료와 부드러운 음식을 주며, 체온이 올라가지 않는지 모니터한다.
(아동의 건강문제와 간호 p263)
불량한 영양상태는 거칠고 건조, 각질이 일어남, 부어있고 창백함, 착색, 피하지방이 부족, 관절주변의 지방축적, 멍, 점상출혈이 나타남.(기본간호학 수문사 하 p747)
구강위생은 안녕감을 증진시키고 식욕을 자극한다. (기본간호학 수문사 하 p.576)
[단기목표] 4일 이내에 환아가 스스로 밥을 먹는다.(미달성)
환아는 5일째가 되었는데도 밥을 먹기 싫다고 말함.
[장기목표] 환아가 7일 이내에 밥을 잘 먹는다고 보호자가 말로 표현한다.(달성)
환아가 7일째에 보호자가 밥을 잘 먹는다고 말함.
16:00
39.5
5/3
00:00
38.4
02:00
39.2
04:00
38.6
06:00
38.9
지속적인 고열 관찰됨.
홍조, 발한, 식은땀이 관찰됨.
WBC수치 17.55 (정상치: 4.0~10.0 )
해열제로 Aspirin 투여 중임.
질병으로 인한 영양불균형 위험성
4월 27일부터 지속되는 38~39도 발열
(입원 후에도 계속되는 고열)
얼굴홍조, 전신 발진, 딸기모양 혀, 입술의 갈라짐이 관찰됨.
종류
양
빈도
특이반응
밥
성인 공기 1/3 먹음
3회/일
5.3일까지 입원 후 2틀만 밥
죽
성인 공기 1/4 먹음
3회/일
5.4일부터 반찬과 죽
“열이 계속 나니 밥을 영 먹지를 못하네요.”
보호자의 질병과 관련된 지식부족
‘’이렇게 높은데 해열제 좀 주세요“
“왜 어른들이 먹는 아스피린을 먹는거죠?”
2018. 5. 5
2018. 5. 7
2018. 5. 3
D. 우선순위에 따른 대상자의 간호문제목록 작성
사정
(주,객관적)
진단
목표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S
“우리아이가 열이 많이 나는 것 같아요”
“간호사 선생님 아이 체온 좀 재주세요”
“아이가 힘이 없고 자꾸만 보채요..“
O
내원 3일전부터 high fever 양상이 관찰됨.
지속적인 고열 관찰됨.
홍조, 발한, 식은땀이 관찰 됨.
WBC 17.55↑ /ESR 120↑ CRP↑ 15.5 /neutrophil 48.9↓
해열제로 Aspirin 투여 중임.
날짜
T
P
R
BP
5. 2
38.4℃
120
32
100/60
5. 3
38.0℃
135
36
100/70
5. 4
37.8℃
112
32
90/60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단기목표]
환아의 체온이 3일 이내에 38℃ 이하로 유지된다.
[장기목표]
환아는 7일 이내에 고체온의 증상인 발열, 오한, 체온상승이 나타나지 않는다.
①매일 2시간마다 V/S을 측정한다.
5/2
12:00
38.2
13:00
38.1
14:00
37.9
16:00
37.9
18:00
38.4
5/3
12:00
38.2
14:00
38.1
16:00
38.2
18:00
38.0
20:00
38.7
21:00
38.9
-매일 2시간마다 V/S을 측정하고, 체온상승 시 추가적으로 1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함.
②수분섭취의 필요성에 관하여 환아의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③체온상승 시 Tepid massage를 시행한다.
-미온수 마사지 방법 : 수건이나 거즈에 미지근한 물을 적셔 물기가 충분히 있는 상태에서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을 닦아준다. 그 외 등, 허벅지와 같은 신체부위, 이마, 두피 등을 닦아준다. 마사지 시간은 30분이 넘지 않는 것이 좋고 발열이 지속되는 경우 1 ~ 2회 더 실시한다. 미온수 마사지 실시 후 체온을 측정하여 열이 떨어졌는지 확인한다.
④처방된 해열제를 투약하고, 부작용이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덱시부프로펜 : 빈혈, 황달, 천식발작 유발, 두드러기, 가려움증, 이명, 혈압저하, 발열, 비출혈 등 / 데노간주 : 구역, 구토, 식욕부진, 창백, 복부통증
⑤의복과 침구를 건조하게 유지한다.
-의복과 침구가 젖으면 즉시 교환함.
①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하여 전신적인 상태의 변화를 확인해야한다.(기본간호학 하 290p)
② 열이 계속되면 탈수현상이 나타나기 쉬운데 이는 수분부족과 호흡증가로 수분소실이 늘었기 때문에 이시기에는 수분 공급이 필수적이다. (p.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695)
③열을 내리기 위한 환경적 중재는 아동이 그 중재를 견딜 수 있고 오한을 느끼지 않을 경우 사용할 수 있다. 피부에 냉요법을 적용하면 중심온도가 낮아진다. 피부에서 식혀진 혈액은 내부의 기관과 조직에 전도되고 따뜻한 혈액은 다시 표면으로 순환하며 이것은 또 다시 식혀져서 재순환된다.
(아동건강간호학 각론 723p)
④열을 떨어뜨리는 방법에는 약물투여와 환경적 중재 두 가지가 있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기준값을 낮추기 위해 해열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아동건강간호학 각론 722p)
⑤ 대상자의 신체적 안위증진을 위해 깨끗하고 건조하도록 닦아주고 갈아주도록 한다. (기본간호학 수문사 하 p.696)
[단기목표]
환아의 체온이 3일 이내에 38℃ 이하로 유지된다. (미달성)
환아의 체온이 3일 이내인 5/4일까지 38℃이상 보임
[장기목표]
환아는 7일 이내에 고체온의 증상인 발열, 오한, 체온상승이 나타나지 않는다. (달성)
환아는 7일 이내에 고체온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E. 간호과정 기록지-1
E. 간호과정 기록지-2
사정
(주,객관적)
진단
목표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S
“아이가 계속 처치고 누워만 있네요.”
“열이 계속 나니 밥을 영 먹지를 못하네요.”
“싫어”
O
- 4월 29일부터 지속되는 38~39도 발열
(입원 후에도 계속되는 고열)
- 얼굴홍조, 전신 발진, 눈이 충혈되고 딸기모양 혀, 입술의 갈라짐이 관찰됨.
- 홍조, 발한, 식은땀이 관찰됨.
질병으로 인한 영양불균형 위험성
[단기목표]
4일 이내에 환아가 스스로 밥을 먹는다.
[장기목표]
환아가 7일 이내에 밥을 잘 먹는다고 보호자가 말로 표현한다.
①영양에 대한 중요성을 교육하고 맑은 음료와 부드러운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4시간마다 피부상태를 관찰한다.
보호자에게 구강간호를 교육한다.
①영양은 질병에 대한 신체의 감수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왜냐하면 불량한 영양은 감염에 저항하는 신체적 능력을 제한하기 때문이다. (아동간호학 군자출판사 p215)
맑은음료와 부드러운 음식을 주며, 체온이 올라가지 않는지 모니터한다.
(아동의 건강문제와 간호 p263)
불량한 영양상태는 거칠고 건조, 각질이 일어남, 부어있고 창백함, 착색, 피하지방이 부족, 관절주변의 지방축적, 멍, 점상출혈이 나타남.(기본간호학 수문사 하 p747)
구강위생은 안녕감을 증진시키고 식욕을 자극한다. (기본간호학 수문사 하 p.576)
[단기목표] 4일 이내에 환아가 스스로 밥을 먹는다.(미달성)
환아는 5일째가 되었는데도 밥을 먹기 싫다고 말함.
[장기목표] 환아가 7일 이내에 밥을 잘 먹는다고 보호자가 말로 표현한다.(달성)
환아가 7일째에 보호자가 밥을 잘 먹는다고 말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