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TN(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아동간호학 A+ Case Study 자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TN(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아동간호학 A+ Case Study 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에 대한 지식정도를 사정하였다.
부모의 지식정도 사정
아버지의 교육수준
대학교 졸업, 직장인
어머니의 교육수준
대학교 졸업, 주부
질병의 정의

질병 과정, 예후

질병의 치료방법

합병증

2018-11-14
아이를 보며 안쓰러운 표정을 짓고 한숨을 쉬는 모습이 관찰됨
2018-11-15
면회 시 간호사에게 언제쯤 호전될까라는 걱정되는 말투로 이야기하는 모습이 관찰됨
2018-11-16
아이를 보면서 슬픈 표정을 보이는 어머니의 얼굴이 관찰됨
(2)질병에 대한 보호자의 감정을 사정하였다.
(3) 호흡곤란을 보일 시 대처법을 알고 있는지 사정하였다.
2018-11-16
“119에 전화해서 최대한 신속하게 병원으로 와야하는거 아닌가요?”
치료적
⑴궁금한 것을 질문하도록 유도 하며 그에 따른 적절한 답변을 하였다.
2018-11-16
Q) 뇌 초음파는 왜 찍는건가요 ? 무슨 문제가 생겼나요 ?
뇌초음파는 아기에게 문제가 있어서 찍는 것이 아니고 혹시모를 예방차원에서 촬영하는 것입니다.
Q) 우리 아기같은 경우에는 입원 기간이 얼마나 되나요 ?
보통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은 2주 내에 많이 호전되고 입원하는 아기들 100명 중 35명은 호흡 때문에 입원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입원 동안 아기의 상태에 따라서 입원 기간이 늘어날 수도 있고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퇴원하기 위한 조건은 혼자 호흡을 잘 할 수 있고 잘 먹으면 언제든지 퇴원할 수 있습니다. 현재 보호자분 아기 상태를 봤을 때는 2주 정도는 입원 해 있어야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18-11-19
Q) 숨이 차 보이는데 수유할 때 주의해야 할 점들은 무엇일까요?
수유할 때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조금씩 자주 먹이는 것입니다. 한꺼번에 많이 먹으면 숨쉬기가 더 힘들어 질 수 있습니다. 숨을 빠르게 쉬므로 수분 소실이 평소보다 많게 되며 또 잘 먹지 못하여 탈수가 우려되므로 평소보다 먹는 양이 너무 적은 것은 아닌지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기침을 하는 중에는 배에 힘을 주게 되어 먹고 난 후에 토하는 경우가 많고 기관지로 흡인을 일으키게 될 수 있어 위험하므로 기침이 완전히 멎은 후 30분 정도 지나서 먹여야 합니다.
(2)부모가 아동의 질환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지 않도록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였다.
2018-11-16
“보호자분 신생아 일과성 무호흡은 다른 질병들에 비해서 예후도 좋고 보통 치료기간이 2주정도로 짧은 편에 속합니다. 아기도 호전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3) 간호 수행 시에 서두르거나 조급한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교육적
(1) 질병에 정의, 원인 및 증상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2) 치료 및 합병증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3) 퇴원 후 관리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2018-11-16
질병에 정의, 원인 및 증상에 대해서 설명함
“신생아 일과성 무호흡이란 출생 시 폐포 내에 있는 폐액의 흡수 지연으로 발생하며 만삭아나 미숙아에서 많이 발생됩니다. 경과는 좋으며 호흡곤란, 빈호흡, 흉곽함몰 심할경우에 피부가 푸른 빛을 띄는 청색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018-11-19
질병의 치료에 대해서 설명함
“신생아 일과성 무호흡을 갖고 있는 신생아는 대개 산소만 충분히 공급하면 빠른 시일 내에 호전되지만 치명적인 질환의 초기질환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2018-11-20
퇴원 후 관리에 대해서 설명함
-포유방법과 아기 다루는 법을 시범해 보이고 직접 시행해 보도록 하여 잘못된 것을 시정하도록 도와주었다.
-퇴원 후 응급상황 발생 시 대처방법을 설명하였다.
-미숙아 분만 경험이 있는 산모는 다음에 미숙아를 분만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적절한 산전 간호를 받는 것이 미숙아 출산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교육하였다.
평가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보호자가 질병에 대해 이해하고 치료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달성실패: 퇴원 미정]
2. 2일 이내에 보호자는 환아의 질병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완료]
환아의 보호자는 입원 당시부터 환아의 질병에 대한 지식부족으로 인해 면회 시간마다 간호사에게 질문을 하고 끊임없는 의심을 하며 불안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질병에 대해서 설명해주는 교육적 중재와 정서적인지지 등을 통해서 환아의 보호자는 현재 환아가 가지고 있는 질병(TTN)에 대해서 처음 입원 당시에 비해 많은 정보를 알게 되었고 그로 인한 불안이 줄어든 상태이다. 환아가 점점 호전되는 양상을 보이고 지속적인 질문을 통해 환아의 질병에 대해 알아가며 점점 불안이 감소하여 치료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단계까지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3. 결론
(1) 결론 및 느낀점
상기환자는 PSD/3.41kg로 태어난 과거력 및 특이병력 없는 환아로 2018년 11월 13일 출생한 뒤 Chest retraction, tachypnea, dyspnea 보여 TTN으로 NICU로 입원하였다. 내원 후 환아는 계속해서 Chest retraction이 심하고 호흡이 빠른 양상을 보여 이에 따라 산소를 공급하는 치료를 실시하였다. 입원 일주일이 지난 지금 호흡수는 안정되었으며 호전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상자가 입원한지 일주일이 되지 않아 지켜볼 시간이 짧았지만 TTN이 호전이 빠른 질환이라 환아가 중증에서 경증으로 호전될 때 까지 모든 과정을 지켜볼 수 있었다. 조금 더 호전되어 퇴원하는 모습을 보지 못해서 아쉽지만 좋은 경험이었다. NICU에서 실습을 하면서 보호자 면회시간이 늘 기다려졌는데 30분이라는 짧은 면회시간 부모님의 아기에 대한 사랑과 질병호전에 대한 간절한 바램이 느껴졌고 아기들 뿐 만이 아닌 가족들에 대한 간호도 중요하다는 점을 짧은 면회시간을 보며 배우게 되었다. 아직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신생아이기 때문에 아기들이 어떤 것 때문에 울고 표현 할 수 없는 신생아들에게 어떤 간호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좀 더 학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짧은 실습기간이라 완벽하게 배우고 익힐 수는 없었지만 많은 것들을 배웠고 2주 동안 새로운 경험을 쌓았고 의료진들과 부모님들의 아기에 대한 사랑을 느낄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9.08.21
  • 저작시기201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90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