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술실 환경
2. 수술 대상자 현황표
3. 수술환자 사례 연구
1) 일반적 배경
2) 진단을 위한 계획 및 결과
⦁수술 전 간호진단
⦁수술 후 간호진단
3) 치료 계획 및 결과
⦁수술명
⦁수술, 질환에 대한 이론적 배경
⦁사용한 마취법, 마취제, 근육이완제
⦁수술체위, 피부소독, 방포, 절개선
⦁수술시 사용한 Operation set
⦁수술과정
2. 수술 대상자 현황표
3. 수술환자 사례 연구
1) 일반적 배경
2) 진단을 위한 계획 및 결과
⦁수술 전 간호진단
⦁수술 후 간호진단
3) 치료 계획 및 결과
⦁수술명
⦁수술, 질환에 대한 이론적 배경
⦁사용한 마취법, 마취제, 근육이완제
⦁수술체위, 피부소독, 방포, 절개선
⦁수술시 사용한 Operation set
⦁수술과정
본문내용
비력이 저하되거나 저혈량증 환자에게는 혈압 저하가 나타나며, 정맥 주사부위를 자극하여 심한 통증이 동반된다. 손등의 작은 정맥에 주사하는 경우 통증이 동반되므로 보다 큰 정맥에 주사하거나 lidocaine을 혼합하여 주사하여 통증을 완화시킨다. -출처: 청구문화사 개정3판 수술실 환자간호 202p
(4)수술체위, 피부소독, 방포, 절개선
①수술체위: lithotomy position 쇄석위
②피부소독
·Potadine Surgical Scrub
1. 수술자의 손, 팔의 살균소독 : 이 약 5mL를 취하여 손과 팔에 약 5분간 잘 문질러 거품을 충분히 낸 후 흐르는 물로 철저히 씻어낸다.
2. 수술부위의 살균소독 : 이 약을 직접 바르거나 또는 적당량을 사용하여 잘 문질러 거품을 충분히 낸 후 멸균거즈로 닦아낸다.
③방포
수술 중 멸균 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멸균 방포 및 타올로 수술부위 피부절개선을 제외한 전체, 수술 기계상과 mayo stand 등을 덮는 것을 drapimg이라고 한다. 방포의 목적은 수술에 필요한 멸균부위를 확보하여 수술절개부위가 오염되는 것을 막아 수술 후 감염증을 예방하는 데에 있다.-출처: 청구문화사 개정3판 수술실 환자간호 182-4p
④절개선
laparoscopy
(5)수술 시 사용한 operation set-조선대병원 수술실
·surgical blade(no.11)
·towel clip
·speculum
·laparoscopy set
·bovie
(6)수술과정
①일반적 준비
·EKG monitor, blood pressure, pulse oximetry, bipolar bovie plate를 적용한다.
·epidural anesthesia를 한 후 lithotomy를 취해준다.
·lithotomy position에서 대공포로 drapping한다.
·양쪽 다리에 기구꽂이를 towel clip으로 고정하고 기구꽂이에 기구들을 꽂아 나열한다.
·bipolar line, suction-irrigation handle line을 내리면 순환 간호사는 bovie 본체와 suction기에 연결한다.
·senisleeve로 camera cable과 light source cable을 씌운다.
·camera와 light source를 pelviscope에 연결한 후 camera의 white balance를 조절한다.
·bipolar 기계 및 suction irrigation handle의 작동 여부를 확인한다.
·scope의 camera와 computer와의 호환 상태를 점검한다.
②회음부의 uterine manipulator 및 자궁 거상기 삽입
·lithotomy position에서 상하복부와 회음부를 소독한다.
·surgical speculum으로 vagina를 고정한다.
·tenaculum forcep으로 자궁 경부를 밑으로 약간 당긴 후 hegar로 dilation한다.
·sound를 이용하여 깊이를 측정한다.
·hegar 5,6,7,8번의 순서대로 넣어가며 자궁경부 입구를 넓힌다.
·자궁경부가 넓혀지면 manipulator를 삽입하고 cuff내로 7ml의 공기를 주입하여 고정한다.
·자궁거상기를 삽입한다.
③기 복
·subumbilical area에 11번 knife로 incision을 넣은 후 assistant와 함께 배꼽 아래의 피부 및 피하조직을 잡고 countertraction하면서 verres needle을 삽입한다.
·verres needle과 CO₂ line을 연결하여 CO₂ insufflation을 시작한다,
·초기에는 1L/min로 CO₂ 가스를 주입하면서 verres needle이 복강내로 안전하게 천자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CO₂ 가스가 3L 정도 유입되면 hi-fo를 누른다. 간혹 verres needle이 subcutaneous로 삽입되면 emphysema가 발생한다.
·3~4L정도의 CO₂는 복강을 보두 채우며, 복압이 12~14mmhg가 되면 verres needle을 제거한다.
④trocar 삽입
·복압은 12~14mmhg가 되며 veeres needle을 제거하고 trocar를 삽입한다.
·배꼽 양쪽을 towel clip으로 잡아 들어올리면서 verres needle 제거부로 10mm trocar를 삽입한다. 10mm trocar는 laparoscope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수술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trocar 삽입 전 미리 trendelenburg position을 취하면 trocar삽입시의 복강내 장기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소등 후 복벽에 광원을 비추며 혈관을 확인하여 trocar 삽입시 손상받지 않도록 한다.
·rt and lt paramedian incision 후 5mm trocar 삽입시 손상받지 않도록 한다. 10mm port는 dissector, 5mm port는 bipolar, scissor, forcep, grasper가 출입한다.
·lower median incision 후 12mm trocar를 삽입하여 세절기를 넣는 공간을 확보한다. morcellator란 specimen을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 복강외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5) ovarian 절제
·laparoscope로 ovarian 관찰한다.
·2nd assistant는 uterine manipulator를 이용하여 집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궁을 움직인다.
·bipolar을 이용하여 ovarian을 박리한다.
·박리과정 중 출혈이 있는 경우 bipolar를 이용하여 bleeding control하여 irrigation을 한다.
·복강내 출혈이나 조직편을 세척하고 흡인하여 시야를 확보한다. 작은 cannula를 통해 큰 조직을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 절제 장기를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활하여 제거하거나 lap bag을 이용하기도 한다.
(6)기복제거 및 봉합
·수술부위의 출혈유무를 확인하고, 복강내부를 세척한 후 복가내 가스를 제거한다.
·근막은 surgisorb 3-0로 결절 봉합 후 피부는 steri-strip 또는 medifoam을 덮어준다.
출처-청구문화사 개정3판 수술실 환자간호 312-314p
(4)수술체위, 피부소독, 방포, 절개선
①수술체위: lithotomy position 쇄석위
②피부소독
·Potadine Surgical Scrub
1. 수술자의 손, 팔의 살균소독 : 이 약 5mL를 취하여 손과 팔에 약 5분간 잘 문질러 거품을 충분히 낸 후 흐르는 물로 철저히 씻어낸다.
2. 수술부위의 살균소독 : 이 약을 직접 바르거나 또는 적당량을 사용하여 잘 문질러 거품을 충분히 낸 후 멸균거즈로 닦아낸다.
③방포
수술 중 멸균 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멸균 방포 및 타올로 수술부위 피부절개선을 제외한 전체, 수술 기계상과 mayo stand 등을 덮는 것을 drapimg이라고 한다. 방포의 목적은 수술에 필요한 멸균부위를 확보하여 수술절개부위가 오염되는 것을 막아 수술 후 감염증을 예방하는 데에 있다.-출처: 청구문화사 개정3판 수술실 환자간호 182-4p
④절개선
laparoscopy
(5)수술 시 사용한 operation set-조선대병원 수술실
·surgical blade(no.11)
·towel clip
·speculum
·laparoscopy set
·bovie
(6)수술과정
①일반적 준비
·EKG monitor, blood pressure, pulse oximetry, bipolar bovie plate를 적용한다.
·epidural anesthesia를 한 후 lithotomy를 취해준다.
·lithotomy position에서 대공포로 drapping한다.
·양쪽 다리에 기구꽂이를 towel clip으로 고정하고 기구꽂이에 기구들을 꽂아 나열한다.
·bipolar line, suction-irrigation handle line을 내리면 순환 간호사는 bovie 본체와 suction기에 연결한다.
·senisleeve로 camera cable과 light source cable을 씌운다.
·camera와 light source를 pelviscope에 연결한 후 camera의 white balance를 조절한다.
·bipolar 기계 및 suction irrigation handle의 작동 여부를 확인한다.
·scope의 camera와 computer와의 호환 상태를 점검한다.
②회음부의 uterine manipulator 및 자궁 거상기 삽입
·lithotomy position에서 상하복부와 회음부를 소독한다.
·surgical speculum으로 vagina를 고정한다.
·tenaculum forcep으로 자궁 경부를 밑으로 약간 당긴 후 hegar로 dilation한다.
·sound를 이용하여 깊이를 측정한다.
·hegar 5,6,7,8번의 순서대로 넣어가며 자궁경부 입구를 넓힌다.
·자궁경부가 넓혀지면 manipulator를 삽입하고 cuff내로 7ml의 공기를 주입하여 고정한다.
·자궁거상기를 삽입한다.
③기 복
·subumbilical area에 11번 knife로 incision을 넣은 후 assistant와 함께 배꼽 아래의 피부 및 피하조직을 잡고 countertraction하면서 verres needle을 삽입한다.
·verres needle과 CO₂ line을 연결하여 CO₂ insufflation을 시작한다,
·초기에는 1L/min로 CO₂ 가스를 주입하면서 verres needle이 복강내로 안전하게 천자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CO₂ 가스가 3L 정도 유입되면 hi-fo를 누른다. 간혹 verres needle이 subcutaneous로 삽입되면 emphysema가 발생한다.
·3~4L정도의 CO₂는 복강을 보두 채우며, 복압이 12~14mmhg가 되면 verres needle을 제거한다.
④trocar 삽입
·복압은 12~14mmhg가 되며 veeres needle을 제거하고 trocar를 삽입한다.
·배꼽 양쪽을 towel clip으로 잡아 들어올리면서 verres needle 제거부로 10mm trocar를 삽입한다. 10mm trocar는 laparoscope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수술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trocar 삽입 전 미리 trendelenburg position을 취하면 trocar삽입시의 복강내 장기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소등 후 복벽에 광원을 비추며 혈관을 확인하여 trocar 삽입시 손상받지 않도록 한다.
·rt and lt paramedian incision 후 5mm trocar 삽입시 손상받지 않도록 한다. 10mm port는 dissector, 5mm port는 bipolar, scissor, forcep, grasper가 출입한다.
·lower median incision 후 12mm trocar를 삽입하여 세절기를 넣는 공간을 확보한다. morcellator란 specimen을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 복강외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5) ovarian 절제
·laparoscope로 ovarian 관찰한다.
·2nd assistant는 uterine manipulator를 이용하여 집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궁을 움직인다.
·bipolar을 이용하여 ovarian을 박리한다.
·박리과정 중 출혈이 있는 경우 bipolar를 이용하여 bleeding control하여 irrigation을 한다.
·복강내 출혈이나 조직편을 세척하고 흡인하여 시야를 확보한다. 작은 cannula를 통해 큰 조직을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 절제 장기를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활하여 제거하거나 lap bag을 이용하기도 한다.
(6)기복제거 및 봉합
·수술부위의 출혈유무를 확인하고, 복강내부를 세척한 후 복가내 가스를 제거한다.
·근막은 surgisorb 3-0로 결절 봉합 후 피부는 steri-strip 또는 medifoam을 덮어준다.
출처-청구문화사 개정3판 수술실 환자간호 312-314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