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취업촉진수당
1. 조기재취업수당
2. 직업능력개발수당
3. 광역구직활동비
4. 이주비
5. 취업촉진수당의 지급제한
* 참고문헌
1. 조기재취업수당
2. 직업능력개발수당
3. 광역구직활동비
4. 이주비
5. 취업촉진수당의 지급제한
*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를 받은 날 또는 받고자 한 날부터의 취업촉진수당을 지급하지 아니한다. 다만 당해 급여와 관련된 이직 이후에 새로이 수급자격을 취득하는 경우 그 새로운 수급자격에 의한 취업촉진수당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한다(동법 제68조 제1항).
구직급여에 있어서 미지급급여의 지급(동법 제57조 제1항, 제3항), 반환명령(동법 제62조)에 관한 규정은 취직촉진수당에 관하여 준용한다. 이 경우 동법 제57조 제1항 중 \'수급자 격자는 \'취업촉진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는 자로 본다(동법 제69조).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구직급여에 있어서 미지급급여의 지급(동법 제57조 제1항, 제3항), 반환명령(동법 제62조)에 관한 규정은 취직촉진수당에 관하여 준용한다. 이 경우 동법 제57조 제1항 중 \'수급자 격자는 \'취업촉진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는 자로 본다(동법 제69조).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추천자료
실업급여사업
고용보험에 대해서
고용보험법상 취업촉진수당에 대하여
[고용보험제도][고용보험][고용보험사업][고용안정사업]고용보험제도의 의의, 고용보험제도의...
실업급여 현황과 문제점 및 대책
고용보험정책) 고용보험의 역사적 전개와 고용보험제도의 내용 및 문제점과 과제
고용보험법의 이해 (특성과 기능, 성립과 소멸, 적용범위, 실업급여의 종류와 구직급여의 수...
저출산 장려정책은 국가나 지방자지단체에서 많은 도움을 주려고 하는데 결혼하기와 취업하기...
[실업보험제도] 고용보험제도의 역사적 변천과정, 고용보험제도 적용대상자, 급여, 재원, 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