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alase 와 Protease 효소 확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atalase 와 Protease 효소 확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Title
2. Object
3. Principle & Theory
4. Apparatus & Reagents, Procedure
5. Result
6. Discussion & Feeling
7. Reference

본문내용

성반응, 5분 후에 발생하면 약한 양성반응, 10분 후에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으면 음성반응으로 판정한다.)
(2) Protease activity
① Skim milk 배지에 사용되는 균주(Enterococcus faecalis, Bacillus subtilis)를 streaking 한다.
② 24시간 후에 배지를 관찰한다.
5. Result
ⅰ. Catalase test
Escherichia coli
Bacillus subtilis
Enterococcus faecalis
ⅱ. Protease activity
Escherichia coli
Bacillus subtilis
Enterococcus faecalis
6. Discussion & Feeling
카탈라아제 테스트에 있어서 Bacillus subtilis 만이 과산화수소에 반응을 해 산소 기포를 만들어 냈다. 이 말 뜻은 Bacillus subtilis 는 카탈라아제를 가진다는 의미이다. Bacillus subtilis 같은 경우엔 호기성균이라 카탈라아제를 가지고, 나머지 균주들은 혐기성균이라 카탈라아제가 없다고 한다. 내 생각엔 이들 세균개체들이 자신의 서식처에 맞게 진화를 한 거라 생각을 한다. 인체 내 장에 살기도 하는 Escherichia coli 같은 기생균주의 경우는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살다보니 쓸떼 없는 에너지를 사용해 가면서 카탈라아제를 생성하도록 진화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아마 혐기성 균은 카탈라아제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 같다. Protease activity에 있어서는 Bacillus subtilis 만이 배지의 단백질을 분해해 색을 투명하게 변화 시켰다. 나머지 균주들은 그러지 못했다는 것인데, 내 개인적인 생각에는 Escherichia coli 나 Enterococcus faecalis 경우는 기생세균이기 때문에 딱히 단백질을 분해를 안 해도 숙주 내 분해된 성분들을 가지고 살 것 같다. 그래서 이 경우에도 쓸데없이 단백질분해효소를 만들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은 음성반응을 나타낸 세균들에겐 손해라는 것이다. 왠지 이번 실험은 미생물의 서식 환경과 미생물이 자신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되는 한 효율적으로 쓰려는 모습과 계통학적 관계를 관찰하는 것에 초점을 둔 것이 아닐까 나는 생각한다.
7. Reference
1. 서적
Madigan 외3명, 「Brock의 미생물학 12판」, PEARSON, p.172
독성을 갖는 산소 형태
Neil A. Campbell 외3명, 「생명과학」, 바이오사이언스, p.114
효소의 성질, 활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2. 인터넷
- http://100.naver.com/
2012년 6월 3일 참고, 효소의 정의 및 용어
- http://www.wikipedia.org/
2012년 6월 3일 참고, protease 및 활성화 에너지의 종류 및 용어
- http://cpl.yonsei.ac.kr/micro/textbook/text20ca.htm
2012년 6월 3일 참고, Catalase test 원리 및 목적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10.07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44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