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2019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심리학2019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I. 욕구위계
1. 생리적 욕구
2. 안전욕구
3. 소속감과 사랑의 욕구
4. 자존감 욕구
5. 자기실현 욕구

II. 욕구이론의 특성

III. 자아실현자의 특성(자아실현인의 특징)
1. 현실의 완전한 지각
2. 자신, 타인, 자연의 수용
3. 자발성, 솔직함, 자연스러움
4. 자기 밖의 문제에 집중
5. 초연함
6. 감각의 신선함
7. 창조성과 자율성
8. 문화화에 대한 저항
9. 민주적 성격구조
10. 깊은 대인관계
11. 신비 혹은 절정경험
12. 사회적 관심
13. 철학적인 유머
14. 문화와 환경으로부터 독립
15. 목적과 수단의 구분

2.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을 들고, 네 가지 강화계획(reinforcement schedule)에 대해 실생활의 예를 제시하며 설명하시오.

II.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

III. 네 가지 강화계획과 실생활의 예

1. 고정간격계획
2. 변화간격계획
3. 고정비율계획
4. 변화비율계획

*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끄러움을 갖지 않는다. 또한 다른 사람이나 일반적인 사회의 약점에 대해서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3. 자발성, 솔직함, 자연스러움
자기실현자의 행동은 개방적이고 솔직하며 자연스럽다. 또한 자기실현자는 의도적으로 사회의 규범을 어기지 않지만 자신의 생각과 이상에 있어 주관이 뚜렷하기 때문에 인습에 얽매이지는 않는다.
4. 자기 밖의 문제에 집중
자기실현자는 자신의 인생에 사명감을 가지고 자신의 범위를 벗어나는 일에 많은 에너지를 쏟는다. 자기실현자는 자신과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더라도 인류애를 가지고 일하면서 큰 기쁨과 흥분을 경험한다.
5. 초연함
자기실현자는 고독을 경험하지만 압도되지는 않으면서 개인 사생활을 즐긴다. 자기실현자는 자율적이고 독립적이기 때문에 자신만의 시간을 충분히 즐길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애정과 지지를 요구하거나 매달리지 않는다.
6. 감각의 신선함
자기실현자는 주위의 세상을 마치 처음 본 것처럼 반복적으로 경이롭게 느낀다.
7. 창조성과 자율성
자기실현자는 창의성과 독창성을 가지고 자기분야에서 일하며, 모든 활동이 자율적이고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8. 문화화에 대한 저항
자기실현자는 일정한 틀에 맞추라고 억압하는 사회문화적인 요구로부터 자유롭다. 자기실현자는 사회적 관례와 문화를 고의적으로 위반하지는 않지만 자신의 개성과 자율성에 따라 행동한다.
9. 민주적 성격구조
자기실현자는 관대하고 모든 사람들을 받아들인다. 또한 인종, 종교에 따른 편견을 가지지 않는다.
10. 깊은 대인관계
자기실현자는 자신을 사랑하지만 다른 사람들과의 깊은 유대를 가진다. 따라서 자기실현자는 종종 추종세력이나 제자들이 자연스럽게 모인다.
11. 신비 혹은 절정경험
자기실현자는 강렬한 무아경, 놀라움, 경외심, 즐거움을 경험한다. 이러한 경험을 하는 동안 자기실현자는 극도로 확신에 차고, 명확하고 강력한 힘을 느끼며, 그 경험은 강화되고 강도는 절정에 달하게 된다.
12. 사회적 관심
자기실현자는 인류애를 가지고 다른 사람을 마치 자신의 형제처럼 대한다. 또한 자기실현자는 모든 사람과의 일치감과 연대감을 갖는다.
13. 철학적인 유머
자기실현자는 철학적이고 사려 깊은 유머감각이 있다. 자기실현자의 유머는 다른 사람에게 상처 입히는 적대적인 유머가 아니라 은근한 미소를 자아내는 유머이다.
14. 문화와 환경으로부터 독립
자기실현자는 사회적 환경으로부터 비교적 독립적이다. 자기실현자는 외부환경이나 다른 사람에 깊이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발전과 성장을 위해 자신의 잠재력을 활용한다.
15. 목적과 수단의 구분
자기실현자는 수단과 목적을 구분하고 실제 생활에서 옳고 그른 것을 확실하게 구분한다. 자신만의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기준을 가지고 있다.
2.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을 들고, 네 가지 강화계획(reinforcement schedule)에 대해 실생활의 예를 제시하며 설명하시오.
I.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
실험실에 있어서나 일상생활에 있어서 어떤 것을 할 때마다 보상을 받는 일은 흔치 않다. 모든 반응에 대해 보상을 주는 것이 아니라, 어떤 반응에만 보상을 주는 부분강화가 주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어떤 반응을 강화할 것인지 생각하는 것을 강화계획이라고 하며, 강화계획은 고정적일 수도 있고, 변화적인 것일 수도 있고, 반응수나 반응 사이에 경과한 시간과 비율에 기초할 수도 있다.
계속적 강화는 바람직한 반응이 일어날 경우, 모두를 강화하는 것이고, 간헐적 강화는 일어나는 바람직한 반응들 중에 무엇은 강화되고, 무엇은 강화되지 않는 것이다.
II. 네 가지 강화계획과 실생활의 예
1. 고정간격계획
고정간격계획은 정확한 반응에 강화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일어나는 정확한 반응에 강화를 하는 것이다. 피험자는 반응하기 전에 일정기간 기다리는 것을 학습하고, 강화가 있으리라는 것을 기대하면서 일정량의 시간이 경과하기 바로 전에 반응하기 시작한다. 고정간격계획에서는 강화 바로 다음에 반응수준은 떨어지고, 다음 강화가 주어질 시간이 가까워지면, 다시 반응해 가는 경향이 있다.
2. 변화간격계획
변화간격계획은 변화적인 시간간격이 지난 다음, 정확한 반응에 대해 강화하는 것이다. 한 강화는 5분 후에, 다음의 강화는 7분 후에, 그리고 그 다음 강화는 3분 후에 할 수 있다.
피험자는 하나의 보상이라도 놓치지 않기 위해서 조심하면서, 느리지만 성실한 반응을하게 된다. 학교에서 예측할 수 없는 간격으로 한 학기에 시험을 여러 번 치른다면, 어느날 갑자기 시험을 쳐야 할 것이기 때문에 학생들은 계속하여 공부를 해야 할 것이다.
3. 고정비율계획
고정비율계획은 강화를 제시하기 이전에 일정수의 반응이 반드시 일어나야 강화를 하는 것이다. 보다 많은 강화를 얻기 위해서는 짧은 시간 내에 많은 반응을 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이 강화계획에서는 높은 반응률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농장에서 바나나를 다섯 바구니 따는 데에 천 원을 받도록 한다면, 바나나를 많이 딸수록 돈을 많이 벌게 된다. 그러므로 강화가 일어날 때까지 빠르고 안정된 반응을 하게 된다.
4. 변화비율계획
변화비율계획은 강화를 얻는 데 필요한 반응수가 일정한 것이 아니다. 이 계획에서의 피험자는 강화를 받은 다음에도 휴식을 취하지 않고, 계속하여 반응을 하는 경향을 보인다.
언제 강화가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에 계속하여 시도를 하게 된다. 예를 들어 낚시꾼은 고기가 잡힌 후, 다음에 고기가 잡힐 때까지 계속해서 낚싯대를 담그고, 수면을 주시하게 되는 것과 같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9.10.08
  • 저작시기201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45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