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영아기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사례
1) 침대가드에 영아 질식사
2) 아이 목욕할 때는 옆에서 지켜 보세요
2. 영아기 각 사례의 원인과 개선 방향
3. 유아기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사례
1) 드럼세탁기 속에서 어린이 질식사
2) 창문 블라인드 줄에 의한 질식사
4. 유아기 각 사례의 원인과 개선 방향
Ⅲ 결 론
IV 참고 URL
Ⅱ 본 론
1. 영아기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사례
1) 침대가드에 영아 질식사
2) 아이 목욕할 때는 옆에서 지켜 보세요
2. 영아기 각 사례의 원인과 개선 방향
3. 유아기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사례
1) 드럼세탁기 속에서 어린이 질식사
2) 창문 블라인드 줄에 의한 질식사
4. 유아기 각 사례의 원인과 개선 방향
Ⅲ 결 론
IV 참고 URL
본문내용
종류와 방식에 따라 조금씩 적용되는 부분이 다른 걸 확인할 수 있다.
벽에 고정 장치를 설치해 사용하는 방식은 고정 장치에 줄이 연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블라인드 줄을 동작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이 반드시 포함된 고정 장치를 한다.
<표1>
그리고 만7세이하 어린이의 출입이 제한된 곳에
만7세이하 어린이가 당김줄에 의해 질식사고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린이가 접근할 수 없도록 가구 등을 근처에 두지 마시기 바랍니다.
당김줄을 함께 묶지 마십시오.
설치되는 창문블라인드의 경고 라벨<표1>을 부착하도록 국가기술표준원에서는 권고하고 있다.
만7세이하 어린이가 당김줄에 의해 질식사고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린이가 접근할 수 없도록 가구 등을 근처에 두지 마시기 바랍니다.
당김줄이 벌어지지 않게하는 부품을 임의로 분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제품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사용상 주의사항을 일반 소비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명시한 사용설명서를 반드시 첨부하라고 아래와 같은 주의사항 항목을 명시하고 있다.
1 제조자의 사용설명서에 따라 설치할 것
2 당김줄의 안전장치 및 부속품을 반드시 설치할 것
3 창문블라인드 제품 및 안전장치 등 부속품을 임의로 변경하거나 분해하여 사용하지 말 것
4 사용중 주기적으로 창문블라인드 제품 및 안전장치 등 부속품의 정상작동 상태를 확인할 것
5 사용중 분실, 고장, 파손 등의 문제가 있을 경우 즉시 수리하도록 할 것
6 당김줄은 어린이의 목 주위를 조를 수 있으니 항상 당김줄을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게 주의해야 할 것
7 당김줄 근처에 가구나 기타 밟고 올라갈 수 있는 물건이 있으면 어린이가 당김줄에 닿을 수 있으니 주의할 것
8 분리장치가 분리되어 당김줄이 끊어질 수 있으니 갑자기 당기거나 과도한 힘으로 당기지 말 것
9 당김줄이 벌어지지 않게 하는 부품을 임으로 분해하지 말고 당김줄 작동시 다치지 않도록 주의 할 것
10 하나의 당김줄을 꼬이게 하거나 두 개로 분리된 당김줄을 함께 묶지 말 것
11 고정장치를 사용설명서에 따라 반드시 고정 할 것
12 누적장치는 바닥으로부터 160 cm 이상의 위치에 제조사 사용설명서의 설치방법에 따라 반드시 설치 할 것
13 당김줄 사용 후에는 반드시 누적장치에 감아 올려 놓을 것
(2) 어린이가 가구 위로 올라가 블라인드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침대나 의자, 소파 등의 가구를 블라인드 근처에 두지 않는다. 또한 어린이 장난감을 블라인드 근처에 두지 않도록 한다.
(3) 블라인드 줄은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도록 바닥 기준 160cm 이상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4) 블라인드 내부 줄이 있는 경우 어린이가 빼낼 수 없도록 하고, 블라인드 줄의 하단 부분을 벽에 밀착하여 유아가 당겼을 때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부착한다.
(5) 블라인드 줄 하단부분을 자르고 서로 줄이 꼬이지 않도록 60cm이상의 봉 또는 덮개로 자른 줄을 감싼다.
Ⅲ 결 론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표2>와 같이 집에서 일어나는 사고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크고 작은 영유아 사고들은 보통 아주 사소하고 별 거 아니라 생각했던 게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되며, 성인의 눈높이에 맞춰 위험요소를 판단하고 주의를 잘 기울이지 않아서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유아동이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눈으로 쫓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사랑하는 내 아이의 사고에 당황하고 겁나더라도 각 상황에 맞는 대처방법을 미리 숙지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집에 함께 있는 어른들은 인공호흡과 심폐소생술에 대해 배워두어 안 좋은 상황이 일어났을 때 좀 더 침착하게 행동할 수 있을 것이다. <표2>
IV 참고 URL
전북일보 http://www.jjan.kr/news/articlePrint.html?idxno=1102034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http://www.kats.go.kr/content.do?cmsid=51
이뉴스투데이 http://www.enewstoday.co.kr/news/srticlePrint.html?idxno=571395
쿠키뉴스 http://www.kukinews.com/news/article_print.html?no=493207
울산매일 http://www.iusm.co.kr/news/articlePrint.html?idxno=303813
뉴시스 https://news.naver.com/main/tool/print.nhn?oid=003&aid=0003099496
벽에 고정 장치를 설치해 사용하는 방식은 고정 장치에 줄이 연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블라인드 줄을 동작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이 반드시 포함된 고정 장치를 한다.
<표1>
그리고 만7세이하 어린이의 출입이 제한된 곳에
만7세이하 어린이가 당김줄에 의해 질식사고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린이가 접근할 수 없도록 가구 등을 근처에 두지 마시기 바랍니다.
당김줄을 함께 묶지 마십시오.
설치되는 창문블라인드의 경고 라벨<표1>을 부착하도록 국가기술표준원에서는 권고하고 있다.
만7세이하 어린이가 당김줄에 의해 질식사고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린이가 접근할 수 없도록 가구 등을 근처에 두지 마시기 바랍니다.
당김줄이 벌어지지 않게하는 부품을 임의로 분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제품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사용상 주의사항을 일반 소비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명시한 사용설명서를 반드시 첨부하라고 아래와 같은 주의사항 항목을 명시하고 있다.
1 제조자의 사용설명서에 따라 설치할 것
2 당김줄의 안전장치 및 부속품을 반드시 설치할 것
3 창문블라인드 제품 및 안전장치 등 부속품을 임의로 변경하거나 분해하여 사용하지 말 것
4 사용중 주기적으로 창문블라인드 제품 및 안전장치 등 부속품의 정상작동 상태를 확인할 것
5 사용중 분실, 고장, 파손 등의 문제가 있을 경우 즉시 수리하도록 할 것
6 당김줄은 어린이의 목 주위를 조를 수 있으니 항상 당김줄을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게 주의해야 할 것
7 당김줄 근처에 가구나 기타 밟고 올라갈 수 있는 물건이 있으면 어린이가 당김줄에 닿을 수 있으니 주의할 것
8 분리장치가 분리되어 당김줄이 끊어질 수 있으니 갑자기 당기거나 과도한 힘으로 당기지 말 것
9 당김줄이 벌어지지 않게 하는 부품을 임으로 분해하지 말고 당김줄 작동시 다치지 않도록 주의 할 것
10 하나의 당김줄을 꼬이게 하거나 두 개로 분리된 당김줄을 함께 묶지 말 것
11 고정장치를 사용설명서에 따라 반드시 고정 할 것
12 누적장치는 바닥으로부터 160 cm 이상의 위치에 제조사 사용설명서의 설치방법에 따라 반드시 설치 할 것
13 당김줄 사용 후에는 반드시 누적장치에 감아 올려 놓을 것
(2) 어린이가 가구 위로 올라가 블라인드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침대나 의자, 소파 등의 가구를 블라인드 근처에 두지 않는다. 또한 어린이 장난감을 블라인드 근처에 두지 않도록 한다.
(3) 블라인드 줄은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도록 바닥 기준 160cm 이상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4) 블라인드 내부 줄이 있는 경우 어린이가 빼낼 수 없도록 하고, 블라인드 줄의 하단 부분을 벽에 밀착하여 유아가 당겼을 때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부착한다.
(5) 블라인드 줄 하단부분을 자르고 서로 줄이 꼬이지 않도록 60cm이상의 봉 또는 덮개로 자른 줄을 감싼다.
Ⅲ 결 론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표2>와 같이 집에서 일어나는 사고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크고 작은 영유아 사고들은 보통 아주 사소하고 별 거 아니라 생각했던 게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되며, 성인의 눈높이에 맞춰 위험요소를 판단하고 주의를 잘 기울이지 않아서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유아동이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눈으로 쫓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사랑하는 내 아이의 사고에 당황하고 겁나더라도 각 상황에 맞는 대처방법을 미리 숙지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집에 함께 있는 어른들은 인공호흡과 심폐소생술에 대해 배워두어 안 좋은 상황이 일어났을 때 좀 더 침착하게 행동할 수 있을 것이다. <표2>
IV 참고 URL
전북일보 http://www.jjan.kr/news/articlePrint.html?idxno=1102034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http://www.kats.go.kr/content.do?cmsid=51
이뉴스투데이 http://www.enewstoday.co.kr/news/srticlePrint.html?idxno=571395
쿠키뉴스 http://www.kukinews.com/news/article_print.html?no=493207
울산매일 http://www.iusm.co.kr/news/articlePrint.html?idxno=303813
뉴시스 https://news.naver.com/main/tool/print.nhn?oid=003&aid=0003099496
추천자료
아동안전 (만3세-만5세 대상선정)
[가족복지] 재혼가족복지(개념. 현황. 실제사례. 평가. 대책)
산재보험의 사전승인제
우리나라의 의료정책을 알아보고 의료문제에 있어 나타나는 불평등의 현실속의 사례를 중심으...
만3세~ 만5세 유아들의 발달 특성은 어떠하며, 유아들에게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어떠한 것이 ...
돈버는 공장운영
[아동안전관리] 영아기와 유아기에 발생할 수 있는 아동안전사고와 관련된 신문기사, 방송기...
(보건교육 A형) 아동/지역노인의 가정 내 안전사고예방교육
인종차별 개념 발생원인분석과 인종차별 역사연구및 인종차별 사례분석과 해결방안제시 및 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