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0. 들어가며
1. 구지가에 대하여
1.1 구지가의 배경과 성격
1.2 구지가 속 상징과 이해
2. 구지가와 전래동요
2.1 '구지가'와 '두껍아'
2.2 두 노래 속 상징과 통사
2.3. 구지가와 닮은 작품들
3. 결론
4. 참고문헌
0. 들어가며
1. 구지가에 대하여
1.1 구지가의 배경과 성격
1.2 구지가 속 상징과 이해
2. 구지가와 전래동요
2.1 '구지가'와 '두껍아'
2.2 두 노래 속 상징과 통사
2.3. 구지가와 닮은 작품들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속아 넘어가는 지혜와 정 반대되는 존재로 해석될 수 있다.
2.3. 구지가와 닮은 작품들
두껍아는 형태, 구조, 내용의 측면에서 구지가에서 비롯되었다는 추측이 가능할 정도로 유사점이 많다. 그렇다면 두껍아 말고는 구지가를 닮은 작품은 더 존재하지 않을까?
많은 동요가 구지가의 구조를 닮았다고 볼 수 있다. 동요들의 첫 시작에 대상을 두 번 부르는 경우가 많지 않을까? 예를 들어 ‘꼬마야, 꼬마야 뒤로 돌아라’,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와 같은 형태는 구지가의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놔라’와 닮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동요 ‘꼬마야’와 ‘여우야’는 노랫말의 맨 앞에서 대상을 두 번 부르는 형태 외에도 구지가와 닮은 점이 있을까? 꼬마야부터 살펴보도록 하자.
꼬마야의 가사는 땅을 짚어라, 뒤로 돌아라, 만세를 불러라, 잘 가거라 등의 명령조 형태를 보이고 있다. 동요를 부르며 율동하기 위한, 주로 줄넘기를 하며 부르는 노래 가사이기 때문에 내용에서 구지가의 모습을 찾기는 어렵지만 말투에서는 구지가에서 비롯된 다른 동요들과 닮은 형태로 전승되었다고 볼 수 있다.
여우야는 술래인 여우와 아이들의 질의응답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는 구지가에서 거북을 부르는 주술적인 부분을 여우의 응답으로 풀어 만들어진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아이들은 가락국 사람들과 같고, 여우는 거북의 응답과 같다. 아이들이 여우에게 무엇 하냐고 물으면 여우는 잠을 잔다, 세수한다, 밥 먹는다 등으로 응답을 한다. 내용 안에서는 구지가의 형태를 찾아보기 힘들지만 강림하지 않는 거북 또는 임금에게 무엇 하냐 물으며 재촉하는 형태를 여우야에서 풀어 가져온 것으로 볼 수 있다.
3. 결론
구지가는 수많은 전래동요의 원형이라는 추측이 존재한다. 추측만 존재할 뿐 구체적인 해석은 거의 없었는데, 동요 하나하나 형태와 구조, 내용의 의미를 구지가와 맞춰 풀어보니 동요들의 기원이 조금 더 뚜렷해지는 것 같다.
특히 전래동요 두껍아는 주술적인 형태의 구지가가 아이들의 입에 오르내리게 되면서 임금을 바란다는 의미를 잃지 않았지만 순화된 가사로 변형됨을 알 수 있다.
4. 참고문헌
<구지가>의 작품적 성격과 그 해석(2) - 성기옥
동요 ‘두껍아’, ‘꼬마야’, ‘여우야’ 가사 - 네이버 뮤직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51883&docId=2597000&categoryId=53339
전래동요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2.3. 구지가와 닮은 작품들
두껍아는 형태, 구조, 내용의 측면에서 구지가에서 비롯되었다는 추측이 가능할 정도로 유사점이 많다. 그렇다면 두껍아 말고는 구지가를 닮은 작품은 더 존재하지 않을까?
많은 동요가 구지가의 구조를 닮았다고 볼 수 있다. 동요들의 첫 시작에 대상을 두 번 부르는 경우가 많지 않을까? 예를 들어 ‘꼬마야, 꼬마야 뒤로 돌아라’,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와 같은 형태는 구지가의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놔라’와 닮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동요 ‘꼬마야’와 ‘여우야’는 노랫말의 맨 앞에서 대상을 두 번 부르는 형태 외에도 구지가와 닮은 점이 있을까? 꼬마야부터 살펴보도록 하자.
꼬마야의 가사는 땅을 짚어라, 뒤로 돌아라, 만세를 불러라, 잘 가거라 등의 명령조 형태를 보이고 있다. 동요를 부르며 율동하기 위한, 주로 줄넘기를 하며 부르는 노래 가사이기 때문에 내용에서 구지가의 모습을 찾기는 어렵지만 말투에서는 구지가에서 비롯된 다른 동요들과 닮은 형태로 전승되었다고 볼 수 있다.
여우야는 술래인 여우와 아이들의 질의응답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는 구지가에서 거북을 부르는 주술적인 부분을 여우의 응답으로 풀어 만들어진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아이들은 가락국 사람들과 같고, 여우는 거북의 응답과 같다. 아이들이 여우에게 무엇 하냐고 물으면 여우는 잠을 잔다, 세수한다, 밥 먹는다 등으로 응답을 한다. 내용 안에서는 구지가의 형태를 찾아보기 힘들지만 강림하지 않는 거북 또는 임금에게 무엇 하냐 물으며 재촉하는 형태를 여우야에서 풀어 가져온 것으로 볼 수 있다.
3. 결론
구지가는 수많은 전래동요의 원형이라는 추측이 존재한다. 추측만 존재할 뿐 구체적인 해석은 거의 없었는데, 동요 하나하나 형태와 구조, 내용의 의미를 구지가와 맞춰 풀어보니 동요들의 기원이 조금 더 뚜렷해지는 것 같다.
특히 전래동요 두껍아는 주술적인 형태의 구지가가 아이들의 입에 오르내리게 되면서 임금을 바란다는 의미를 잃지 않았지만 순화된 가사로 변형됨을 알 수 있다.
4. 참고문헌
<구지가>의 작품적 성격과 그 해석(2) - 성기옥
동요 ‘두껍아’, ‘꼬마야’, ‘여우야’ 가사 - 네이버 뮤직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51883&docId=2597000&categoryId=53339
전래동요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추천자료
고전문학사(기원.서정시.서사시.가요.장르.신화.설화.향가)
상고시대 시가의 연구 < 황조가, 공무도하가, 구지가>
구지가(龜旨歌)
[민요]한국민요(민요)의 개념과 지역별 종류, 한국민요(민요)의 성립, 한국민요(민요)와 음악...
[고대가요][구지가]고대가요 구지가의 배경설화와 고대가요 구지가의 원문, 고대가요 구지가...
[고대가요 구지가][고대가요][구지가][설화]고대가요 구지가의 연원, 고대가요 구지가의 배경...
[고전문학,주생전,심청전,흥부전,춘향전,어부사시사,구지가,서동요]고전문학 주생전, 고전문...
[구지가][고대가요]구지가(고대가요)의 배경설화, 구지가(고대가요)의 작품해제, 구지가(고대...
[재창조][고전문학 재창조][구비문학 재창조][동요 재창조][민요 재창조][판소리 재창조][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