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미국의 사회복지 정보시스템
I. 미국 사회복지 정보시스템 간의 관계
II. 미국 Firestgov와 사회복지
III. 사회보장청의 웹사이트
IV. 콜로라도 주정부의 웹사이트
V. 기타 사회복지 정보시스템
* 참고문헌
I. 미국 사회복지 정보시스템 간의 관계
II. 미국 Firestgov와 사회복지
III. 사회보장청의 웹사이트
IV. 콜로라도 주정부의 웹사이트
V. 기타 사회복지 정보시스템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족, 건강, 그리고 복지 항목에서는 아동복지, 주거보조, 영양 프로그램, 그리고 의료보호에 관한 내용이 정리되어 있다.
<그림> 콜로라도 주정부의 웹사이트와 사회복지 정보시스템
V. 기타 사회복지 정보시스템
미국은 자선단체의 활동이 사회복지 발전에 크게 영향을 미친 국가이기 때문에 다양한 민간기관이 사회복지 정보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이 기관은 때로는 정부기관과 연계 관계를 구축해 운영하기도 하고, 때로는 독자적으로 운영하기도 한다. 가정폭력 희생자가 된 여성들의 보호소(shelter)가 구축해 운영하고 있는 정보시스템을 소개하기로 한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Horizon Safe에서는 웹사이트에 그림 방식으로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며, 보호소에 입주하면 어떤 방식으로 살아가고, 가정 폭력으로부터의 안전은 어떻게 확보될 것이라는 사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가정 폭력 희생자의 경우 심리적으로 심하게 위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자녀가 있을 경우 자녀도 같은 피해자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 웹사이트를 방문함으로써 입소에서부터 퇴소에 이르기까지 안정된 상태에서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구성이 중요하다. Horizon Safe는 이 같은 심리 상태를 고려해 그림으로 보여 주고 있다.
<그림> Horizon Safe의 보호소 사이버 안내
위의 그림에서는 거리(street)에서 대문(front door)까지 들어오면 경비실(security office)이 있어 안전을 보장한다는 점을 보여 준다.
입구(entryway)를 통해 거실(living room)로 갈 수 있고, 부엌(kitchen)을 지나서 아이들의 놀이방(children\'s playroom)이 있다는 것을 보여 즘으로써 자녀가 있는 경우에도 함께 입소할 수 있음을 알려 준다. 1번에서부터 11번에 이르는 과정을 단계별로 클릭하면 설명이 상세하게 나온다. 용도에 따라 이같이 정보시스템의 설계 방식도 달라짐을 알 수 있다.
미국의 사회복지 정보시스템은 상호간에 연계되어 있다기보다는\'분산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것이 연방정부의 대표 전자정부인 FirstGov와 사회보장청의 웹사이트이지만 상호 연계되어 있지는 않다. 주정부와도 연계되어 있지 않고 각자의 위치에서 각자가 맡은 바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온라인으로 신청해 가능한 한 무방문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고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그림> 콜로라도 주정부의 웹사이트와 사회복지 정보시스템
V. 기타 사회복지 정보시스템
미국은 자선단체의 활동이 사회복지 발전에 크게 영향을 미친 국가이기 때문에 다양한 민간기관이 사회복지 정보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이 기관은 때로는 정부기관과 연계 관계를 구축해 운영하기도 하고, 때로는 독자적으로 운영하기도 한다. 가정폭력 희생자가 된 여성들의 보호소(shelter)가 구축해 운영하고 있는 정보시스템을 소개하기로 한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Horizon Safe에서는 웹사이트에 그림 방식으로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며, 보호소에 입주하면 어떤 방식으로 살아가고, 가정 폭력으로부터의 안전은 어떻게 확보될 것이라는 사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가정 폭력 희생자의 경우 심리적으로 심하게 위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자녀가 있을 경우 자녀도 같은 피해자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 웹사이트를 방문함으로써 입소에서부터 퇴소에 이르기까지 안정된 상태에서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구성이 중요하다. Horizon Safe는 이 같은 심리 상태를 고려해 그림으로 보여 주고 있다.
<그림> Horizon Safe의 보호소 사이버 안내
위의 그림에서는 거리(street)에서 대문(front door)까지 들어오면 경비실(security office)이 있어 안전을 보장한다는 점을 보여 준다.
입구(entryway)를 통해 거실(living room)로 갈 수 있고, 부엌(kitchen)을 지나서 아이들의 놀이방(children\'s playroom)이 있다는 것을 보여 즘으로써 자녀가 있는 경우에도 함께 입소할 수 있음을 알려 준다. 1번에서부터 11번에 이르는 과정을 단계별로 클릭하면 설명이 상세하게 나온다. 용도에 따라 이같이 정보시스템의 설계 방식도 달라짐을 알 수 있다.
미국의 사회복지 정보시스템은 상호간에 연계되어 있다기보다는\'분산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것이 연방정부의 대표 전자정부인 FirstGov와 사회보장청의 웹사이트이지만 상호 연계되어 있지는 않다. 주정부와도 연계되어 있지 않고 각자의 위치에서 각자가 맡은 바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온라인으로 신청해 가능한 한 무방문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고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