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행정의 역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 행정의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미 국
1) 감성적 . 교리중심적 사회사업행정
2) 과학적 자선행정
3) 과학적 관리론 중심의 사회복지행정
4) 인간관계론 중심의 사회복지행정
5) 행태론 중심의 사회복지행정
6) 관리과학 중심의 사회복지행정
7) 정책이론 중심의 사회복지행정
8) 행정정보시스템 중심의 사회복지행정

2. 한 국
1) 행정이론의 현장보급기(정부수립-1960)
2) 사회복지행정 도입기반 형성기(1960-1980)
3) 사회복지사 중심의 전문행정 개시기(1980-1990)
4) 사회복지 전문행정 정착기(1990-2000)
5) 사회복지행정정보화 구축기(2000년 이후)

3. 한국과 미국의 발전과정 비교
1) 비교연구의 의미
2) 발전과정 비교
3) 현황과 과제

본문내용

있다는 점이다.
둘째, 미국에서 발전한 사회복지행정이론이 한국의 토양에 어떤 방식으로 이식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논의를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새로운 이론의 도입으로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비교분석을 통하여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가 수반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2) 발전과정 비교
사회복지행정의 시작을 살펴보면 미국과 한국의 차이가 크다. 발전과정에서도 양국은 같은 경로를 따랐다고 할 수 없을 정도로 다른 길을 걸었다.
그러나 사회복지행정의 최근 동양을 보면 양국은 사회복지행정정보시스템의 구축과 활용이라는 관점에서 같은 길을 걷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표 1-3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행정 발전과정 비교
연 대
미 국
한 국
1850년 전후
민간중심의 자선사업으로 사회사업시작
교리중심적 사회복지행정이 특징
민생 피폐로 동학혁명(1894)이 일어나지만 실패
1910년 전후
자선조직협회(COS)중심의 과학적자선행정
컬럼비아대 사회사업학과 개설
일제 강점기 시작
1920년 전후
과학적관리론 확산으로 사회복지행정도
과학적 관리로 접근, POSDCORB출현
한국 최초 민간사회복지관으로 여성과 아동을
위한 태화여자관 개관
1930년 전후
사회보장법 제정으로 민간영역의 사회사업에서 정부 영역의 사회복지행정으로 확대
조선사설사회사업연맹이 결성됨으로써 오늘의
사회복지협의회의 전신과 같은 기능 수행
1940년 전후
관리영역에서 인간성 회복운동으로서의
인간관계론 확산
최초의 사회사업학과와 최초의 행정학과의 출현
으로 사회사업과 행정학에 대한 학문 연구 시작
1950년 전후
사회심리를 바탕으로 하는 인간행동중심의
사회복지행정 대두 NASW창립,
정책연구 출현
6.25난민이나 전쟁고아를 위한 사회복지서비스차원에서 사회사업실천,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관심 저조
1960년 전후
War on Poverty 실시, 관리과학중심의
사회복지행정 기법 출현
한국행정학회가 창립됨으로써 행정학연구의
메카로 역할하지만 성장중심의 국정운영으로
사회복지와 단절상태로 발전
1970년 전후
War on Poverty 를 중심으로 하는 정책
집행연구 활발, 집행론(Implementation)이
정책학에 합류
사회복지사업법 제정, 사단법인으로서 한국사회사업가협회가 출현하지만 전국 13개 대학만이
사회사업학과 개설
1980년 전후
행정정보시스템 출현으로 사회복지행정의
정보화이론 출현, 미국의복지개혁운동 시작
사회복지사제도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출현으로 사회복지 전공 전문가의 공직 유입채널 형성
1990년 전후
복지개혁의 완성으로 AFDC시대에서 TANF
시대로 전환, FirstGov 출현으로 전자적
사회복지행정 출범
한국정책학회 창립과 대학의 행정학과에서도
사회복지행정 과목 개설,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창립
2000년현재-
복지개혁 프로그램의 정책평가 개시
전자정부 구축으로 전자적 사회복지행정 출범
3) 현황과 과제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행정의 발전과정을 논의한 결과 최근에 가장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은 사회복지행정정보시스템이다. 사회복지행정은 현재 급하게 행정정보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책이론은 정보 인프라와 접목되어 의사결정지원시스템(DSS; Decision Support System)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경험하고 있다. 관리 영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행정정보시스템이 조직에 뿌리를 내리기 위하여 조직의 토양이 디지털 방식으로 바뀌어야 한다.
인력도 행정정보시스템과 사회복지를 동시에 이해하는 인력으로 교체될 필요가 있고 조직도 정보 인프라의 토양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예산편성 방식도 디지털 방식으로 바뀌어야 한다. 이것이 사회복지행정의 향후 과제이기도 하다.

키워드

사회,   복지,   행정,   역사,   사회복지,   미국,   한국,   비교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1.24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04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