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장면의 음악분석) 영화 싸이코 1960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장면의 음악분석) 영화 싸이코 1960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버나드 허만은 ‘음악은 테마와 대화를 할 줄 알아야 한다’라고 말했는데, 이는 버나드 허만이 영화음악을 작업할 때 영화 내용 자체에 대해서도 많이 공부하고, 이해하는 등의 준비를 통해 작업을 진행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화음악은 단순히 청각적인 자극을 위한 것이 아니다. 배경음악을 끄고 영화를 보았을 때 느껴지는 허전함을 느껴본 사람이라면 바로 알 수 있을 것이다. 공포영화도 배경음악을 끄면 그렇게 무섭지 않다고 한다.
50여년이 지난 지금도 <싸이코>라는 영화를 떠올릴 때, 귓가에 맴도는 그 멜로디, 날카롭고 찢어질 듯한 바이올린 소리를 기억한다면 하나의 영화 음악이 장면에 대한 시각적 임팩트를 초월한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단연 서스펜스, 스릴러 영화의 최고라 일컬어지는 <싸이코>에 버나드 허만의 음악이 없었다면 등장인물들의 정신적인 이상 증세, 강박, 광기가 지금처럼 전달될 수 있었을까? 현악기로만 구성된 배경음악 속에서 느껴지는 불협화음, 복조, 반음계 등이 떨리는 주인공의 눈빛을 더욱 도드라지게 보여준 것은 아닐까? 히치콕이 서스펜스를 만들어내면서 관객들을 영화의 스토리 속으로 끌어들였다면, 버나드 허만의 음악은 히치콕과 관객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다리를 놓아주는 것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참고문헌
구경은. (2006). 영화의 사운드로서의 음악. 서양음악학, 9(2), 51-76.
김미정. (2018). 히치콕의 영화에서 그려지고 있는 감시, 스펙터클, 그리고 서스펜스. 현대영미어문학, 36(4), 43-64.
박병규. (2014). 히치콕 <싸이코 에 내재된 영화 사운드의 미학적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6), 26-33.
박병규. (2015). 히치콕< The Man Who Knew Too Much (1956)> 영화 사운드의 기호학적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4), 65-74.
박은경. (2009). 영화에서의 긴장감을 표현해내는 음악기법의 종류: 영화< 싸이코> 를 중심으로. 음악응용연구, 2, 75-92.
박은경. (2014). 라이트모티프의 관점에서 고찰한< 싸이코> 영화음악분석연구. 영상예술연구, 24, 243-273.
박지혜, & 이주은. (2016). 영화음악의 내러티브 역할 분석. 문화콘텐츠연구, (7), 153-183.
이경분. (2004). 영화음악의 역할에 관한 연구-히치콕 영화< 싸이코> 를 중심으로. 음악과 민족, 28, 341-357.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11.11
  • 저작시기201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70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