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론) 내가 사는 거주 지역의 지역 사회복지계획(광역시,도,시,군,구 단 위 중 택1)을 조사하여 제출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사회복지론) 내가 사는 거주 지역의 지역 사회복지계획(광역시,도,시,군,구 단 위 중 택1)을 조사하여 제출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진행된다.
3. 결론
각 지자체별로 그 특성에 맞는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동시에 사회적 이슈에 맞는 사업을 관내에 적용한다. 관악구의 경우 청년 문제를 취업 지원 뿐 아니라 취업 준비생의 건강관리라는 차별화된 복지 정책을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노인 일자리 사업의 경우 다른 지자체에서도 비슷한 사업을 진행하여 특별한 차별점이 없어 보이지만 노인인구 7만 명으로 전체 인구 50만명 중 그 비율이 높은 편으로 실질적인 경제 활동을 돕는 복지사업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관악구에서는 독거노인 17.851명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을 높이고자 고독사를 예방하는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다.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가족 단위 사망사건과 고독사 발생을 막아야 한다는 마음으로 복지통장,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자원봉사 상담가 등 지역 사정에 밝은 주민이 주체가 된다.
관악구에서는 이 활동을 ‘희망발굴단’이라 칭하고 봉사자들이 속한 지역을 살피면서 주변에 어려운 이웃을 발견하게 되면, 관악구청 공식 복지채널인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함께해요 복지톡’을 통해 실시간으로 복지 담당 공무원에게 전달을 할 수 있게 하였다.
실제로 희망발굴단을 통해 올해 3월까지 발굴된 복지사각지대 위기가구는 총 285가구로, 그 중 55가구에 기초수급과 긴급지원 등 공적지원제도를 연계하였고, 230여 가구에는 민간 후원금품 지원을 받았다. 구성원들이 지역사회복지에 참여하는 희망발굴단 사업이 활성화 되어 공동체 가치관을 함양, 행복한 공동체 실현을 위해 구 차원에서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관악구청 복지
관악구 해피매거진
  • 가격3,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11.12
  • 저작시기201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71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