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조 및 공동 실험자
2. 실험 날짜
3. 실험 목적. 비누를 만들고, 비누의 작용 원리와 특성을 이해한다.
4. 실험 원리.
2. 실험 날짜
3. 실험 목적. 비누를 만들고, 비누의 작용 원리와 특성을 이해한다.
4. 실험 원리.
본문내용
수소결합을 이루어 친수성도 가지게 된다. 따라서 NaOH 수용액과 콩식용유가 섞이지 못하는 곳에 마치 계면활성제처럼 작용하여 친수성 부분은 NaOH 수용액과, 친유성 부분은 콩식용유와 결합하여 두 용액이 잘 섞일 수 있도록 촉매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비누를 생성하는 데 더욱 수월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4) 포화 NaCl 수용액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공통 이온 효과란 열역학적 평형 이동에 관한 법칙인 ‘르 샤틀리에의 원리’의 일종으로 용액 속에 녹아 있는 이온과 같은 이온을 내어놓는 물질을 넣었을 때 공통 이온의 농도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형이 이동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비누를 제조할 때 반응이 끝나고 NaCl 수용액을 사용하는 이유는 비누에 해당하는 나트륨염을 폐액과 분리하기 위하여 넣는다. NaCl 수용액에 있던 나트륨 이온은 평형계에서 나트륨 이온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면 RCOONa의 나트륨 이온과 NaCl 수용액에 있는 나트륨 이온이 공통된 이온으로 작용하여 공통 이온 효과에 의해 평형은 나트륨 이온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평형에 도달하게 된다. 이렇게 평형이 이동하면 화학반응은 왼쪽인 역반응이 나타나게 되므로 다시 RCOONa(비누)를 생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 효율적으로 비누를 침전시켜 폐액과 분리하기 위해 NaCl 수용액을 사용한다.
5) 개인 고찰
자료를 찾아보면서 이번 실험에서 사용한 콩식용유와 같은 식물성 유지가 아닌, 동물성 유지로도 비누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궁금증이 생겼다.
우선 동물성 유지의 특징을 각각 살펴보면, 동물성 유지는 동물조직으로부터 채취한 유지로, 육상동물유지와 해산동물유지로 크게 구분된다. 육상동물유지로는 돼지기름, 쇠기름, 양기름, 유지방이 있으며 모두 상온에서 고체상의 지방이고 주성분은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으로 이루어지는 글리세리드이다. 해산동물유지로는 어유와 고래기름이 있다. 해산동물유는 앞에서 말한 지방산 외에 과불포화지방산의 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것이 특징으로, 상온에서는 액상이다.
동물성 유지 중, 육상동물유지에서 식용에 적합하지 않은 저급품은 주로 비누용으로 사용되고 값 또한 식물성 유지보다 다소 싸다. 또한 해산동물유지도 그대로 또는 경화시켜서 비누를 제조하는 데 이용된다고 하지만 해산동물유지와 같은 경우 어느 부문에서도 다른 동식물성 유지보다 품질이 떨어진다고 한다. 두 유지를 통해 만들어진 비누는 냄새가 동물의 독특한 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식물성 유지보다 사용이 미미했던 것 같다.
따라서 현재는 세안용의 경우, 두 유지의 장점만을 모아 대부분이 동물성과 식물성 유지를 혼합한 비누 또는 석유화학 계면활성제로 클랜징폼을 주로 만든다고 한다.
참고문헌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지방산, 2019.09.12., http://new.ksbmb.or.kr/
대한화학회, 지방, 2019.09.14., http://new.kcsnet.or.kr/
안전보건공단, 염화나트륨/수산화나트륨/에탄올/증류수, 2019.09.14., http://msds.kosha.or.kr/kcic/msdsdetail.do
화학용어사전편찬회, (2017), 화학용어사전, 일진사
사이언스올, 공통이온효과, 2019.09.17., https://www.scienceall.com/%EA%B3%B5%ED%86%B5-%EC%9D%B4%EC%98%A8-%ED%9A%A8%EA%B3%BCcommon-ion-effect/
천재학습백과, 염기성, 2019.09.18., https://koc.chunjae.co.kr/Dic/dicDetail.do?idx=15778
4) 포화 NaCl 수용액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공통 이온 효과란 열역학적 평형 이동에 관한 법칙인 ‘르 샤틀리에의 원리’의 일종으로 용액 속에 녹아 있는 이온과 같은 이온을 내어놓는 물질을 넣었을 때 공통 이온의 농도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형이 이동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비누를 제조할 때 반응이 끝나고 NaCl 수용액을 사용하는 이유는 비누에 해당하는 나트륨염을 폐액과 분리하기 위하여 넣는다. NaCl 수용액에 있던 나트륨 이온은 평형계에서 나트륨 이온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면 RCOONa의 나트륨 이온과 NaCl 수용액에 있는 나트륨 이온이 공통된 이온으로 작용하여 공통 이온 효과에 의해 평형은 나트륨 이온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평형에 도달하게 된다. 이렇게 평형이 이동하면 화학반응은 왼쪽인 역반응이 나타나게 되므로 다시 RCOONa(비누)를 생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 효율적으로 비누를 침전시켜 폐액과 분리하기 위해 NaCl 수용액을 사용한다.
5) 개인 고찰
자료를 찾아보면서 이번 실험에서 사용한 콩식용유와 같은 식물성 유지가 아닌, 동물성 유지로도 비누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궁금증이 생겼다.
우선 동물성 유지의 특징을 각각 살펴보면, 동물성 유지는 동물조직으로부터 채취한 유지로, 육상동물유지와 해산동물유지로 크게 구분된다. 육상동물유지로는 돼지기름, 쇠기름, 양기름, 유지방이 있으며 모두 상온에서 고체상의 지방이고 주성분은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으로 이루어지는 글리세리드이다. 해산동물유지로는 어유와 고래기름이 있다. 해산동물유는 앞에서 말한 지방산 외에 과불포화지방산의 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것이 특징으로, 상온에서는 액상이다.
동물성 유지 중, 육상동물유지에서 식용에 적합하지 않은 저급품은 주로 비누용으로 사용되고 값 또한 식물성 유지보다 다소 싸다. 또한 해산동물유지도 그대로 또는 경화시켜서 비누를 제조하는 데 이용된다고 하지만 해산동물유지와 같은 경우 어느 부문에서도 다른 동식물성 유지보다 품질이 떨어진다고 한다. 두 유지를 통해 만들어진 비누는 냄새가 동물의 독특한 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식물성 유지보다 사용이 미미했던 것 같다.
따라서 현재는 세안용의 경우, 두 유지의 장점만을 모아 대부분이 동물성과 식물성 유지를 혼합한 비누 또는 석유화학 계면활성제로 클랜징폼을 주로 만든다고 한다.
참고문헌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지방산, 2019.09.12., http://new.ksbmb.or.kr/
대한화학회, 지방, 2019.09.14., http://new.kcsnet.or.kr/
안전보건공단, 염화나트륨/수산화나트륨/에탄올/증류수, 2019.09.14., http://msds.kosha.or.kr/kcic/msdsdetail.do
화학용어사전편찬회, (2017), 화학용어사전, 일진사
사이언스올, 공통이온효과, 2019.09.17., https://www.scienceall.com/%EA%B3%B5%ED%86%B5-%EC%9D%B4%EC%98%A8-%ED%9A%A8%EA%B3%BCcommon-ion-effect/
천재학습백과, 염기성, 2019.09.18., https://koc.chunjae.co.kr/Dic/dicDetail.do?idx=1577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