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목적과 목표의 설정
II. 기관의 가용자원 검토
III. 대안의 확인 및 구체화
IV. 대안의 실시조건과 기대효과 평가(최선의 계획 결정)
V. 최종대안선택 결정
VI. 구체적인 실행계획 수립
1. Gantt 차트
2. 프로그램 평가 검토기법(PERT)
VII. 변화에 대한 모형시험
* 참고문헌
II. 기관의 가용자원 검토
III. 대안의 확인 및 구체화
IV. 대안의 실시조건과 기대효과 평가(최선의 계획 결정)
V. 최종대안선택 결정
VI. 구체적인 실행계획 수립
1. Gantt 차트
2. 프로그램 평가 검토기법(PERT)
VII. 변화에 대한 모형시험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진다. 위의 그림 PERT-CPM 즉 주요경로 방법을 사용한 PERT 차트의 작성 예이다. 취업알선센터 운영팀 구성에서부터 취업알선센터 개소까지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리는 통로를 주요 경로-임계 통로(critical pa)라 한다. 일반적으로 주요경로(임계 통로)는 프로젝트의 완성을 위해 시간이 가장 오래 걸리는 경로를 의미한다. 위의 그림에서 주요 경로는 약 48주(12+32+4)임을 알 수 있다. 원과 원 사이의 경과 시간 t를 찾는 공식은 t=to+4tm+tp/6으로 계산된다.
VII. 변화에 대한 모형시험
완벽한 계획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하나의 계획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다양한 요인들이 계획 실행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예상하지 못한 돌발적인 상황은 언제나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변화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flexibility)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돌발적인 상황에 대응한 유연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 완성되면 곧바로 계획서나 시행 품의서를 작성하는 것보다 모형시험(simulation) 단계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회복지조직은 자원의 한계가 많음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3가지의 시뮬레이션 방법을 검토할 수 있다.
1) 구상한 대안에 대해 소규모 단위로 임시적인 사전 연습을 통하여 예상된 문제점을 발견한다.
2) 고객(대상자)의 입장에서 대안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발견해 본다.
3) 전문가의 진단을 통하여 예상되는 문제점을 발견한다.
이렇게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문제점이 발견되면 계획을 수정하고 변화에 따른 유연성을 갖도록 하면서 계획서(품의서)를 완성시킨다.
시뮬레이션에서 유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1/ 누락된 부분이 없는가?
2/ 실행 계획에 나타나지 않은 잠재된 장애는 없는가?
3/ 실행 불가능한 상황이 나타난 경우를 대비한 차선책은 준비되었는가? 차선책은 실행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업무의 공백과 혼선을 예방할 수 있고, 변화된 업무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대비책이다.
4/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나온 문제점이 있으면 계획을 수정하고 변화에 따른 탄력성을 갖도록 하면서 실행 불가능한 상황에 대비하며 차선책을 대비한 뒤에야 계획서(품의서, 기안문)는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획서는 조직원 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모든 내용이 쉬운 용어와 도표들을 적용하여 기술되어야 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VII. 변화에 대한 모형시험
완벽한 계획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하나의 계획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다양한 요인들이 계획 실행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예상하지 못한 돌발적인 상황은 언제나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변화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flexibility)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돌발적인 상황에 대응한 유연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 완성되면 곧바로 계획서나 시행 품의서를 작성하는 것보다 모형시험(simulation) 단계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회복지조직은 자원의 한계가 많음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3가지의 시뮬레이션 방법을 검토할 수 있다.
1) 구상한 대안에 대해 소규모 단위로 임시적인 사전 연습을 통하여 예상된 문제점을 발견한다.
2) 고객(대상자)의 입장에서 대안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발견해 본다.
3) 전문가의 진단을 통하여 예상되는 문제점을 발견한다.
이렇게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문제점이 발견되면 계획을 수정하고 변화에 따른 유연성을 갖도록 하면서 계획서(품의서)를 완성시킨다.
시뮬레이션에서 유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1/ 누락된 부분이 없는가?
2/ 실행 계획에 나타나지 않은 잠재된 장애는 없는가?
3/ 실행 불가능한 상황이 나타난 경우를 대비한 차선책은 준비되었는가? 차선책은 실행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업무의 공백과 혼선을 예방할 수 있고, 변화된 업무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대비책이다.
4/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나온 문제점이 있으면 계획을 수정하고 변화에 따른 탄력성을 갖도록 하면서 실행 불가능한 상황에 대비하며 차선책을 대비한 뒤에야 계획서(품의서, 기안문)는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획서는 조직원 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모든 내용이 쉬운 용어와 도표들을 적용하여 기술되어야 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