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수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흉수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대상자(질환) 선정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흉수 정의(Definition)
2. 흉수 원인(Cause)
3. 흉수 병태생리(Pathological physiology)
4. 흉수 임상적 특성(Clinical Manifestation)
5. 흉수 진단검사(Diagnostic Test)
6. 흉수 치료(Treatment)
7. 흉수 합병증(Complication)
8. 간호(Nursing Care)

Ⅲ. 대상자 관찰기간 및 자료수집 방법

Ⅳ. 간호과정

Ⅴ. 간호과정 적용

본문내용

환경은 대상자 감각에 자극을 주지 않으므로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⑥ 대상자가 충분히 휴식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이론적 근거: 휴식은 불안으로 인한 피로를 경감시켜주며 근 이완에 도움을 주어 신체에 안정을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3) 교육
① 흉수(Pleural effusion)와 돼지꼬리형 카테터 삽입술(pigtail type drainage catheter insertion)에 대해 간략하고 쉽게 설명하여 본인의 상황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한 다.
이론적 근거: 적절한 정보는 불안을 줄여줄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② 인지요법을 통해 대상자가 자신의 질병에 대해 긍정적으로 수용하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자신의 질환과 시술에 대해 생각했던 내용을 부정적이 아닌 긍정적인 방향으로 향하게 하면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③ 불안이 치료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한다.
이론적 근거: 정서적인 불안은 치료의 효과를 떨어뜨리므로 어려움을 겪게 한다. 그러므로 대상자의 불안지지와 치료적 개입은 필수불가결한 사항이다.
④ 보호자에게 대상자 지지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이를 시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론적 근거: 대상자가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의 지지는 질환으로 인한 신체적, 심리적 손상으로 인한 불안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간호중재 (Nursing Intervention)
1) 사정
① 불안에 따른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규칙적으로 측정하였다.
혈압
맥박
호흡
체온
09/16 15:30
130/80
110
24
36.4
09/16 16:30
130/80
108
22
36.6
09/16 17:30
130/80
102
22
36.7
② 불안과 관련된 신체적, 심리적 증상을 관찰하여 불안의 정도를 사정하였다.
- 신체적 징후로 나타나는 심박동수 증가, 빈 호흡, 떨림, 발한, 근 긴장 등이 관찰됨.
- 심리적 징후로 나타나는 무력감, 안절부절 못함 등이 관찰됨.
2) 간호수행
① “지금 많이 불안하시죠?” 등과 같은 질문으로 대상자가 느끼는 불안에 대해 말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또한 학생간호사로서 일관적 태도, 적극적 경청, 수용적 태도, 무비판적 태도, 대상자 공감 등의 태도를 나타냈다.
② 대상자가 필요로 하는 신체적 욕구를 철저히 충족하였다.
③ 대상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간호가 아니라면 가능한 한 신체적 요구를 적게 하였다.
④ 불안완화를 위해 대상자가 선호하는 음악이나 학생간호사가 임의로 선택한 긴장완화음악을 대상자가 불안을 호소할 때마다 들려주었다.
⑤ 환자를 혼자 두지 않고 함께 있어주며, 잦은 질문을 하지 않고 큰 목소리를 내지 않았으며 주위 환경을 자극이 적은 환경(낮은 조명, 소수의 사람, 단순한 장식 등)으로 유지하였다.
⑥ 대상자가 불안을 호소할 시 움직이기보다는 병실 내에서 휴식을 취할 것을 권하였다.
3) 교육
① 대상자에게 흉수(Pleural effusion)와 돼지꼬리형 카테터 삽입술(pigtail type drainage catheter insertion)에 대해 간략하고 쉽게 설명하였다.
- 흉수란 흉막강 내 정상 이상으로 고인 액체를 말하며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가슴의 통증이다. 또 다른 증상으로는 객담 없는 마른기침, 호흡곤란이 있다.
- 돼지꼬리형 카테터 삽입술은 복강 내 농양, 흉수 등을 제거하기 위해 돼지꼬리 모양의 카테터를 신체 내부로 삽입하는 시술이다.
② 대상자에게 돼지꼬리형 카테터 삽입술을 설명하여 대상자가 시술에 대해 가졌던 부정적 인식을 감소시켰다.
- 카테터는 돼지꼬리모양처럼 말려있고 여러 개의 구멍들을 가지고 있어 삽입된 부위의 혈관 벽에 영향을 적게 주며 배액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흉관삽입술보다 안전하고 덜 침습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③ 대상자에게 불안이 치료 효과에 미치는 긍정적이지 못한 영향에 대하여 설명했다.
④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불안한 정서 및 감정을 받아주면서 대상자를 지지하도록 교육했다.
간호평가 (Nursing Evaluation)
① 대상자의 불안한 표정, 안절부절 못하는 행동이 입원 48시간 이내에 사라졌다.
② 대상자는 입원 3일 이내에 학생간호사가 pigtail catheter에 대하여 묻자 폐에 찬 물을 빼내는 관이라고 답하였다.
③ 대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자신의 질병을 수용하는 모습을 보이며 배액관 및 배액 부위 에 대해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 참고문헌
- 조경숙 외 9 (2014),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572-573P
이영휘 외 (2011), 성인간호학 VOLUME3, 정담미디어, 1783-1784P
김정숙 외 3 (2017), 성인간호학실습Ⅱ 지침서, 다온출판사, 65-76P
Karin C. Vanmeter 외 13 (2015), 보건의료인을 위한 병태생리학, 계축문화사, 321-323P
성미혜 외 9 (2016),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정문각, 180-288P
Carolyn Jarvis (2016), 건강사정, 정담미디어, 46-47P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흉수[Pleural effusion], http://www.snuh.org, (2017.09.23.)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흉부 컴퓨터 단층촬영[Chest computed tomography], http://www.snuh.org, (2017.09.25.)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가래 검사[Sputum examination], http://www.snuh.org, (2017.09.25.)
국가건강정보보털 의학정보, 전해질 검사[Electrolyte examination], http://health.mw.go.kr/, (2017.09.26.)
국가건강정보보털 의학정보, 흉수 검사[Examination for pleural fluid],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2017.10.03.)
흉수[Pleural effusion],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질환백과, www.amc.seoul.kr, (2017.09.23.)
김정희, 정진옥(2003), ‘흉통의 감별진단’, 가정의학회지, 제 24권, 제 3
  • 가격2,5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9.11.30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86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