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Ⅱ. 간호사례연구 양식
1. 서론
2. 문헌고찰
1) 원인
2) 증상과 징후
3) 진단적 검사
4) 치료
6) 간호중재 (수술 후)
7) 기흉의 관리
8)기흉의 예후
2.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2) 간호과정 기록지
1. 서론
2. 문헌고찰
1) 원인
2) 증상과 징후
3) 진단적 검사
4) 치료
6) 간호중재 (수술 후)
7) 기흉의 관리
8)기흉의 예후
2.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2) 간호과정 기록지
본문내용
기흉
- 어떤 것으로든지 즉시 그 상처를 안전하게 덮어준다 (처치자의 손이나 손수건, 타올, 스 카프 등)
- 구조 요청하는 동안 계속 그 상처를 압박하고 적합한 드레싱 기구가 준비됐을 때 단단 히 드레싱 한 후 넓은 테이프로 고정
- 압박드레싱을 적용하기 전에 심호흡하여 입과 코를 막고 내쉬도록 한다 ( 흉곽 내 공기 가 흉벽 상처를 통해 밖으로 나가 폐를 팽창시키는데 도움)
- 긴장성 기흉 발생 시 즉시 덮어준 거즈를 뗀다
- 흉관을 삽입하고 밀봉 배액을 실시
- 외과적 중재가 외상을 치료하는데 필수적임
8)기흉의 예후
① 재발이 흔함
재발률 - 첫 번째 기흉 발생시 : 50%정도 (재발되는 기간은 평균 2~3년)
두 번째, 세 번째 기흉 발생시 : 각각 60%, 80%
수술하지 않은 경우 : 30~50%
수술하여 치료한 경우 : 3~10%
② 예방법 : 금연 (흡연은 자연 기흉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③ 합병증 : 급성 호흡부전
긴장성 기흉을 동반한 심혈관 허탈
흉수가 늑막강 내에 고일 수 있음 (약 15%)
2.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간호진단 목록
문제번호
진단명(원인요소 진술 - 관련된 - 간호진단)
1
흉막강 내 공기유출과 관련된 통증
2
흉막강내 공기유출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2) 간호과정 기록지
# 1. Nsg Dx : 흉막강 내 공기유출과 관련된 통증
Subjective Data
왼쪽 가슴이 불편하고 아파요
Objective Data
식은땀을 흘리며 아파함
맥박: 95 호흡: 24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흉곽 내 압력이 감소되어 통증이 완화된다.
plan
1. 통증의 특성 및 정도를 사정한다.
2.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3. 적합한 체위를 취해준다. (반좌위)
4. 필요시 처방된 약물 투여한다.
Implication
1. 통증의 요인과 호흡 시 호흡곤란과 표정 등을 사정하였다.
2.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스트레스나 통증으로 맥박과 호흡이 증가 되고 혈압이 하강 하는지 살폈다.
3. 침상 머리를 30°정도로 천천히 올려 반좌위를 취해주어 횡격막 에 대한 복부장기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사용을 줄였다.
7. 통증을 호소할 때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evaluation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사정한 결과 통증에 불편함이 없는 모습임
( 맥박: 80, 호흡: 22)
# 2. Nsg Dx : 흉막강 내 공기유출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Subjective Data
숨쉬기가 곤란해요
Objective Data
호흡하기가 곤란함을 호소함
맥박: 95 호흡: 24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대상자가 호흡하는 것이 편하게 된다.
plan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필요시 산소요법을 시행한다
효율적인 호흡자세를 시행한다
Implication
대상자의 호흡 양상을 사정 관찰하였다
지시에 따라 산소마스크를 제공하였다
효율적인 호흡을 위해 semi fowler position을 취하였다.
evaluation
산소마스크를 제공, 체위 변경 후 호흡하기가 한결 편해졌다고 함
- 어떤 것으로든지 즉시 그 상처를 안전하게 덮어준다 (처치자의 손이나 손수건, 타올, 스 카프 등)
- 구조 요청하는 동안 계속 그 상처를 압박하고 적합한 드레싱 기구가 준비됐을 때 단단 히 드레싱 한 후 넓은 테이프로 고정
- 압박드레싱을 적용하기 전에 심호흡하여 입과 코를 막고 내쉬도록 한다 ( 흉곽 내 공기 가 흉벽 상처를 통해 밖으로 나가 폐를 팽창시키는데 도움)
- 긴장성 기흉 발생 시 즉시 덮어준 거즈를 뗀다
- 흉관을 삽입하고 밀봉 배액을 실시
- 외과적 중재가 외상을 치료하는데 필수적임
8)기흉의 예후
① 재발이 흔함
재발률 - 첫 번째 기흉 발생시 : 50%정도 (재발되는 기간은 평균 2~3년)
두 번째, 세 번째 기흉 발생시 : 각각 60%, 80%
수술하지 않은 경우 : 30~50%
수술하여 치료한 경우 : 3~10%
② 예방법 : 금연 (흡연은 자연 기흉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③ 합병증 : 급성 호흡부전
긴장성 기흉을 동반한 심혈관 허탈
흉수가 늑막강 내에 고일 수 있음 (약 15%)
2.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간호진단 목록
문제번호
진단명(원인요소 진술 - 관련된 - 간호진단)
1
흉막강 내 공기유출과 관련된 통증
2
흉막강내 공기유출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2) 간호과정 기록지
# 1. Nsg Dx : 흉막강 내 공기유출과 관련된 통증
Subjective Data
왼쪽 가슴이 불편하고 아파요
Objective Data
식은땀을 흘리며 아파함
맥박: 95 호흡: 24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흉곽 내 압력이 감소되어 통증이 완화된다.
plan
1. 통증의 특성 및 정도를 사정한다.
2.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3. 적합한 체위를 취해준다. (반좌위)
4. 필요시 처방된 약물 투여한다.
Implication
1. 통증의 요인과 호흡 시 호흡곤란과 표정 등을 사정하였다.
2.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스트레스나 통증으로 맥박과 호흡이 증가 되고 혈압이 하강 하는지 살폈다.
3. 침상 머리를 30°정도로 천천히 올려 반좌위를 취해주어 횡격막 에 대한 복부장기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사용을 줄였다.
7. 통증을 호소할 때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evaluation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사정한 결과 통증에 불편함이 없는 모습임
( 맥박: 80, 호흡: 22)
# 2. Nsg Dx : 흉막강 내 공기유출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Subjective Data
숨쉬기가 곤란해요
Objective Data
호흡하기가 곤란함을 호소함
맥박: 95 호흡: 24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대상자가 호흡하는 것이 편하게 된다.
plan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필요시 산소요법을 시행한다
효율적인 호흡자세를 시행한다
Implication
대상자의 호흡 양상을 사정 관찰하였다
지시에 따라 산소마스크를 제공하였다
효율적인 호흡을 위해 semi fowler position을 취하였다.
evaluation
산소마스크를 제공, 체위 변경 후 호흡하기가 한결 편해졌다고 함
추천자료
ICH 환자의 간호과정 사례연구 보고서
위암 케이스(간호과정)
기관지염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천식환자 간호과정 case
뇌막염 환아의 간호과정 casestudy
정신분열증 간호과정
천식의 문헌고찰 진단법 간호과정
협심증 간호과정, 문헌고찰
노인 우울증환자의 간호과정
[환자사례 간호과정 - NSICU 실습] 지주막하 출혈 (Subarachnoid Hemorrhage; SAH) 케이스
폐렴 간호과정 case study -Pneumonia-
자연분만 간호과정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NSVD 분만실 케이스 case study
조현병 케이스 간호과정 정신분열병 스키조 SCHIZOPHRENIA
A+ 결핵 간호과정 케이스 Tuberculosis cas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