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심리학이란?
(2) 행동주의
2. 본론
(1) 이반 파블로프
(2) 버러스 프레더릭 스키너
3. 결론
(1) 고전적 조건형성
(2) 이반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
4. 참고문헌
(1) 심리학이란?
(2) 행동주의
2. 본론
(1) 이반 파블로프
(2) 버러스 프레더릭 스키너
3. 결론
(1) 고전적 조건형성
(2) 이반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때 그것을 본 개들이 입 안에 분비하는 침의 양을 측정하여 개들의 소화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에 이반 파블로프는 그의 조수가 방을 들어올 때마다 개들이 타액을 분비하기 시작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개들이 조수가 입은 흰색 가운에 반응하고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실험을 진행하여 결과를 얻고. 이반 파블로프는 개들의 타액 분비가 실제로 어떠한 특정한 자극에 대한 반응일 것이라는 가정 하에 실험을 진행하여 결과를 얻었다. 이 두 연구의 결과로 개들이 먹이의 출현과 흰색 가운을 연결시키고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내세웠다. 그리하여 조금 더 나아가 이반 파블로프는 먹이가 개들에게 제시될 때 일어나는 타액의 생성이 무조건 반사이고, 개들이 흰색 가운을 본 결과 생성되는 타액은 학습된 반사 또는 조건 반사라는 것에 도달하게 되었다.
(2) 조작적 조건형성과 스키너 상자
조작적 조건형성은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뉠 수 있다. 긍정적인 조건이 행동으로 나타나는 결과에 어떤 행동이 강화되고 또 그런 행동이 다시 일어날 확률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는 긍정적 강화, 부정적인 조건을 피하거나 중지시키려는 행동의 결과로 어떤 행동이 강화되는 것을 의미하는 부정적 강화, 어떤 행동이 부정적인 결과를 낳은 행동에 약화되거나 다시 일어날 확률이 떨어질 때 일어나는 처벌, 마지막으로 어떤 행동의 결과로 긍정적 조건이나 부정적 조건이 나타나지 않아 그 행동이 약화되는 소거가 있다.
긍정적 강화와 부정적 강화는 어떤 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을 높이면서 그 행동을 강화할 것이고, 처벌과 소거는 어떤 행동을 약화시킬 것이다.
조작적 조건형성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조작적 조건형성 체임버를 발명했다. 연구를 결과에 도달시키기 위해 실험을 진행한다. 실험을 실시하기 위해 먼저 쥐 한 마리를 상자 안에 넣는다. 쥐가 상자 안의 지렛대를 누를 때마다 소량의 먹이가 주어진다. 그러면 쥐는 곧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를 얻게 된다는 사실을 배우게 될 것이다. 이 때 먹이는 긍정적 조건이 된다. 따라서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이 긍정적 강화로 인해 강화되고 반복 학습하게 된다. 그 다음 쥐 한 마리를 상자 안에 넣고 그 쥐의 발에 전기 충격을 가한다. 이 때 쥐가 지렛대를 누르게 되면 전기 충격이 멈출 것이다. 그러면 쥐의 발에 전기 충격을 한 번 더 가한다. 다시 쥐가 지렛대를 누를 때 전기 충격을 멈춘다. 그 쥐는 지렛대를 눌러야만 전기 충격을 멈출 수 있다는 사실을 배우게 된다. 이는 부정적 강화의 한 예이다. 계속하여 쥐가 지렛대를 밟을 때마다 쥐의 발에 전기 충격을 가하면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이 그 같은 부정적 조건 때문에 약화될 것이다. 이것이 처벌이 된다. 마지막으로 쥐가 지렛대를 눌러도 전기 충격을 가하지 않거나 먹이를 주지 않으면 쥐는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조건으로 연결시키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이 약화될 것이다. 이것이 소거의 한 예이다.
4. 참고문헌
- 심리학의 모든 지식 (폴 클라인먼 지음/정명진 옮김/부글북스)
그러던 중에 이반 파블로프는 그의 조수가 방을 들어올 때마다 개들이 타액을 분비하기 시작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개들이 조수가 입은 흰색 가운에 반응하고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실험을 진행하여 결과를 얻고. 이반 파블로프는 개들의 타액 분비가 실제로 어떠한 특정한 자극에 대한 반응일 것이라는 가정 하에 실험을 진행하여 결과를 얻었다. 이 두 연구의 결과로 개들이 먹이의 출현과 흰색 가운을 연결시키고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내세웠다. 그리하여 조금 더 나아가 이반 파블로프는 먹이가 개들에게 제시될 때 일어나는 타액의 생성이 무조건 반사이고, 개들이 흰색 가운을 본 결과 생성되는 타액은 학습된 반사 또는 조건 반사라는 것에 도달하게 되었다.
(2) 조작적 조건형성과 스키너 상자
조작적 조건형성은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뉠 수 있다. 긍정적인 조건이 행동으로 나타나는 결과에 어떤 행동이 강화되고 또 그런 행동이 다시 일어날 확률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는 긍정적 강화, 부정적인 조건을 피하거나 중지시키려는 행동의 결과로 어떤 행동이 강화되는 것을 의미하는 부정적 강화, 어떤 행동이 부정적인 결과를 낳은 행동에 약화되거나 다시 일어날 확률이 떨어질 때 일어나는 처벌, 마지막으로 어떤 행동의 결과로 긍정적 조건이나 부정적 조건이 나타나지 않아 그 행동이 약화되는 소거가 있다.
긍정적 강화와 부정적 강화는 어떤 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을 높이면서 그 행동을 강화할 것이고, 처벌과 소거는 어떤 행동을 약화시킬 것이다.
조작적 조건형성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조작적 조건형성 체임버를 발명했다. 연구를 결과에 도달시키기 위해 실험을 진행한다. 실험을 실시하기 위해 먼저 쥐 한 마리를 상자 안에 넣는다. 쥐가 상자 안의 지렛대를 누를 때마다 소량의 먹이가 주어진다. 그러면 쥐는 곧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를 얻게 된다는 사실을 배우게 될 것이다. 이 때 먹이는 긍정적 조건이 된다. 따라서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이 긍정적 강화로 인해 강화되고 반복 학습하게 된다. 그 다음 쥐 한 마리를 상자 안에 넣고 그 쥐의 발에 전기 충격을 가한다. 이 때 쥐가 지렛대를 누르게 되면 전기 충격이 멈출 것이다. 그러면 쥐의 발에 전기 충격을 한 번 더 가한다. 다시 쥐가 지렛대를 누를 때 전기 충격을 멈춘다. 그 쥐는 지렛대를 눌러야만 전기 충격을 멈출 수 있다는 사실을 배우게 된다. 이는 부정적 강화의 한 예이다. 계속하여 쥐가 지렛대를 밟을 때마다 쥐의 발에 전기 충격을 가하면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이 그 같은 부정적 조건 때문에 약화될 것이다. 이것이 처벌이 된다. 마지막으로 쥐가 지렛대를 눌러도 전기 충격을 가하지 않거나 먹이를 주지 않으면 쥐는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조건으로 연결시키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이 약화될 것이다. 이것이 소거의 한 예이다.
4. 참고문헌
- 심리학의 모든 지식 (폴 클라인먼 지음/정명진 옮김/부글북스)
추천자료
[발달심리/1학년공통]학습이론 중에서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공통점과 차이점...
학습이론 중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일상생활에서 고...
[심리치료와 상담] 행동치료(behavior therapy)의 주요개념과 성격이론 - 행동치료의 기본가...
(인간과심리2015) 정신분석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인본주의적 접근 설명, 인간의 이상행...
[생활과학과(가정복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B형]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이론의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B형]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이론의 행동주의적 공통점과 차이...
[인간과심리 1공통] (1) 정신분석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인본주의적 접근에 대해 설명,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B형]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이론의 행동주의적 공통점과 차이...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B형]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이론의 행동주의적 공통점과 차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