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트렌드연구 ) 리빙트렌드 사례를 주제별로 2-3개 선택하여 작업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디자인트렌드연구 ) 리빙트렌드 사례를 주제별로 2-3개 선택하여 작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Hyperceptive(다중감각의, 다중감각적인)
(1)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제품들
(2) 다중감각적 요소가 포함된 식품명
(3) 소리를 보석으로 탄생시킨 기업, 'Bra.Biz'
2) Storytelling(스토리텔링)
(1) 스토리텔링 기법을 브랜드에 녹인 외식 기업들
(2) 스토리텔링을 마케팅에 활용한 제품들
3) TransAffecive(감정 전이)
(1) 인공지능 스피커
(2) 아바타(Avatar)
4) Hyperrelational(다중 관계성)
(1) IoT를 통한 사람과 다양한 사물의 다중 관계성 공간 구축
(2) 소셜 데이팅 애플리케이션의 확산
5) ExtraDomestic
(1) 친환경 아파트 단지
(2) 자연주의 관련 브랜드의 대두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mestic’이 더해져 만들어진 신조어로 기존의 주거영역의 경계를 넘어섬과 동시에 주거영역과 외부의 경계 또한 허물어진 새로운 형태의 리빙 트렌드를 의미한다. 이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그 중 첫 번째는 주거공간을 일상으로부터 벗어나 탈출할 수 있는 탈출구이자 하나의 안락한 보호막으로 보는 것으로 정적이고 개인적인 요소에 중심을 두는 형태이다. ‘ExtraDomestic’의 두 번째는 주거공간의 공공 공간에 대한 모방으로 이는 가정 공간의 다양한 물건들에 대해 공공적 요소를 일부 부과하는 것이며 기존 가정의 느낌과 달리 중성적이거나 또는 환경적인 오브제를 통한 외부와 가정의 균형을 부가하는 형태이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ExtraDomestic’의 요소가 포함된 사례는 아래와 같다.
(1) 친환경 아파트 단지
‘친환경(eco-friendly)’란 오늘날에 이르러 크게 이슈가 되고 있는 요소이다. 점차 허물어져가는 자연과 미세먼지의 심화 등은 현대인으로 하여금 환경 친화적인 요소에 대한 갈망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러한 요구를 기반으로 아파트 단지 등 거주지에 친환경적 요소를 포함하고자 하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최초로 건설된 친환경 아파트는 부산의 망미주공아파트이다. 이는 환경친화적이므로 주변의 지형지물과 자연을 최대한 활용함과 동시에 자연과 주변지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주변 산의 등고선을 따라 자연스럽게 아파트를 건축하였으며 바다가 보일 수 있는 판상형의 구조를 갖추도록 설계하였다. 이외에도 빗물을 받아 자연스럽게 이를 연못이 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환경 친화적 요소를 건물 곳곳에 배치하였다.18) 이와 같은 환경 친화적 아파트는 해당 아파트의 거주민으로 하여금 자연과 거주공간이 하나로 어우러지는 느낌을 받게 하며 평온감과 안정감을 부여한다. 부산 망미 주공아파트를 시작으로 오늘날 대한민국 곳곳에는 다양한 환경친화적 아파트들이 건설되고 있다. 이는 건설지에 따라 그 특성이 다양하며 산을 주변에 둔 경우에는 산과 아파트가 최대한 어우러짐과 동시에 환경의 훼손이 적고 산림을 최대한 느낄 수 있는 방향으로 건설되며 바닷가 주변에 이와 같은 친환경 아파트가 건설되는 경우에는 바다 전망을 최대한 활용하여 거주민들에게 자연과 어우러지는 듯한 안락함을 제공한다.
2) 자연주의 관련 브랜드의 대두
‘자연주의’라는 단어는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안정감과 안락함을 주는 단어로 인식되고 있다. 이로 인해 자연주의적 요소를 담은 제품과 브랜드에 대한 수요는 그 분야에 관계없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요구에 힘입어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자연주의와 연관된 ‘Extradomestic’한 요소가 포함된 여러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구매자들은 이를 본인의 집에 배치하거나 일상생활에 적극 활용함에 따라 자연과 가까워지는 감각을 느껴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 Extradomestic한 요소를 포함한 자연주의적 제품의 예는 다음과 같다. 가구는 대부분이 원목 등 큰 나무를 가공하여 만들어진다. 그러나 최근 유행하기 시작한 \'라탄\'을 중심으로 한 가구는 작고 얇은 나무로 이를 꼬아 엮는 방식을 통새 주로 라탄가구가 제작된다. 라탄을 이용해 제작한 가구는 나무의 훼손이 적다는 측면에서 자연친화성을 가질 뿐 아니라 주로 휴양지에서 활용도가 높으므로 라탄가구의 구매자들에게 여행을 온 듯한 안락함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extradomestic 한 요소가 더욱 강조된다. 의류 및 생활잡화와 같은 경우에도 ‘자주’등 자연염색을 이용하거나 염색하지 않은 천을 이용해 만든 옷을 판매하는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이와 같은 감각을 제공할 수 있다.
3. 결론
본문에서는 다섯 가지의 리빙 트렌드의 정의를 살펴보고 거주공간, 제품, 제품의 마케팅 등 전반에 걸쳐 이와 같은 리빙 트렌드가 활용된 사례를 확인하였다. 우리의 삶 전반과 연결되는 ‘리빙’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는 삶의 공간인 거주지 또는 공공시설, 매일 이용하는 가구 등의 오브제 뿐 아니라 의상,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시대의 변화에 따라 바뀌는 리빙 트렌드를 면밀히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품을 생산하거나 홍보한다면 이는 곧 소비자의 요구를 적절히 수용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
1) ‘living’, 「동아출판 영어사전」
2) ‘프루스트 현상’,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박문각, 2017
3)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비밀, ‘시온안료’, 한화케미칼 네이버 포스트, 2017
4) [마트]“어, 이런 유아용품도 있었나?”...아이디어상품 봇물, 이헌진 기자, 동아일보, 2001년 11월 5일
5) ‘Bra.biz: soundwave.love’, ‘
6) ‘스토리텔링’, 「문학비평용어사전」, 한국문학펴론가협회, 국학자료원, 2006
7) ‘KFC(Kentucky Fried Chicken)’, 「세계 브랜드 백과」, 인터브랜드
8) ㈜놀부 홈페이지,
9) ‘인공지능(AI) 스피커’, 「용어로 보는 IT」, 이지영, 블로터, 2016
10) ‘아바타’,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11) 엔씨 ‘리니지2M’ 일매출 얼마나 될까?, 강인석 기자, 더 게임스, 2019년 9월 25일
12) \'사물인터넷\', <용어로 보는 IT>, 이지영, 블로터
13) \'국내 IoT 시장\', <사물인터넷의 미래>, 박종현 외 8인 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4
14) \'소셜 데이팅\', <네이버 국어사전>
15) ‘온라인 데이팅’, 「위키피디아」
16) \'A global shift in the social relationships of networked individuals: Meeting and dating online comes of age\', Bernie Hogan & William H. Dutton, 2011
17) \"오프라인보다 편해요\"...\'소셜 데이팅\'에 빠진 지구촌 남녀, 안정훈 기자, 매일경제, 2018년 8월 23일
18) \'부산 망미 주공아파트\', <아파트문화사>, 장박원 외 1인 저, 2009
  • 가격1,9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9.12.19
  • 저작시기201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04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